겨울
보이기
동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려의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동계 (양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겨울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상학 관련 문서 | ||||||||||||
날씨 | ||||||||||||
---|---|---|---|---|---|---|---|---|---|---|---|---|
계절 | ||||||||||||
|
||||||||||||
폭풍 | ||||||||||||
강수 | ||||||||||||
기상학 | ||||||||||||
겨울은 온대 또는 냉대 지방의 사계절 중 하나로 한대 지방에서도 일부지역은 나타난다.
겨울철, 동계(冬季), 동절(冬節), 동기(冬期)라고도 하며, 냉대의 경우 온대보다 더 춥다.
만일 겨울이 없어진다면 정체 불명의 해충들이 출현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의
[편집]기상학에 따른 구분
[편집]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 겨울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2][3][4][5]
이는 다음 같이 더 세분화한다.[6]
- 초겨울, 늦겨울 : 일평균기온이 5°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0°C 이하
- 한겨울 : 일평균기온이 0°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5°C 이하
일반적인 구분
[편집]천문학에 따른 구분
[편집]천문학에서는 동지점(또는 동지, 12월 22일 경)에서 춘분점(또는 춘분, 3월 20일 경)까지를 말한다.[9][10]
절기에 따른 구분
[편집]절기로는 입동(11월 7일 경)에서 입춘(2월 4일 경)까지를 말한다. (약 90일간이다. 아래에 언급된 기상학적 겨울 참고)
나라별 현황
[편집]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2024년 5월) |
대한민국
[편집]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겨울의 시작일을 9일간 일평균 기온의 평균값이 5°C 미만으로 내려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은 첫날로 정의한다.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10년 단위 평균 겨울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11][12]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12년 ~ 1920년 | 11월 30일 ~ 3월 16일 | 107일 | 29.3% |
2 | 1921년 ~ 1930년 | 11월 28일 ~ 3월 18일 | 111일 | 30.4% |
3 | 1931년 ~ 1940년 | 11월 29일 ~ 3월 18일 | 110일 | 30.1% |
4 | 1941년 ~ 1950년 | 11월 30일 ~ 3월 13일 | 104일 | 28.5% |
5 | 1951년 ~ 1960년 | 12월 2일 ~ 3월 14일 | 103일 | 28.2% |
6 | 1961년 ~ 1970년 | 11월 29일 ~ 3월 13일 | 105일 | 28.8% |
7 | 1971년 ~ 1980년 | 12월 1일 ~ 3월 14일 | 104일 | 28.5% |
8 | 1981년 ~ 1990년 | 11월 28일 ~ 3월 9일 | 102일 | 27.9% |
9 | 1991년 ~ 2000년 | 12월 2일 ~ 3월 1일 | 90일 | 24.7% |
10 | 2001년 ~ 2010년 | 12월 5일 ~ 3월 7일 | 93일 | 25.5% |
11 | 2011년 ~ 2020년 | 12월 2일 ~ 2월 26일 | 87일 | 23.8% |
- 서울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12년 ~ 1920년 | 11월 17일 ~ 3월 28일 | 132일 | 36.2% |
2 | 1921년 ~ 1930년 | 11월 17일 ~ 3월 23일 | 127일 | 34.8% |
3 | 1931년 ~ 1940년 | 11월 22일 ~ 3월 23일 | 122일 | 33.4% |
4 | 1941년 ~ 1950년 | 11월 24일 ~ 3월 23일 | 120일 | 32.9% |
5 | 1951년 ~ 1960년 | 11월 25일 ~ 3월 18일 | 114일 | 31.2% |
6 | 1961년 ~ 1970년 | 11월 23일 ~ 3월 25일 | 123일 | 33.7% |
7 | 1971년 ~ 1980년 | 11월 19일 ~ 3월 17일 | 119일 | 32.6% |
8 | 1981년 ~ 1990년 | 11월 23일 ~ 3월 13일 | 111일 | 30.4% |
9 | 1991년 ~ 2000년 | 11월 23일 ~ 3월 6일 | 104일 | 28.5% |
10 | 2001년 ~ 2010년 | 11월 30일 ~ 3월 11일 | 102일 | 27.9% |
11 | 2011년 ~ 2020년 | 11월 23일 ~ 3월 11일 | 109일 | 29.9% |
사진
[편집]-
눈이 쌓인 나무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네이버 지식in. 2023년 6월 15일)
- ↑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2021년 4월 30일) 11쪽, 14쪽, 43쪽 참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열린마당 → 발간물 → 기후변화 시나리오)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후통계분석 → 평년값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 ↑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 ↑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5°C 미만인 경우이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겨울'
- ↑ 기온 상승으로인해, 이상기후, 기상이변, 기후변화가 일어나서, 기상청에서는 계절 길이를 재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르면, 여름은 기존에는 6월~8월, 3개월 간이었으나, 앞으로는 5월~9월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봄, 가을, 겨울 길이도 조정된다. [단독. 5월도 9월도 ‘여름’ 된다...기상청장 “사계절 재설정 논의”. (조선일보. 2024년 7월 3일) 여름이 길어져… 기상청, 계절별 길이 조정 착수 (조선일보. 2024년 9월 2일) 기상청, 이상 기후 탓 117년 만에 ‘사계절’ 재조정한다… 어떻게? (조선일보. 2024년 9월 13일)
- ↑ 과거 음력을 썼을 때에는 음력 10월, 음력 11월, 음력 12월을 겨울로 보았다. 음력 10월은 맹동, 음력 11월은 중동, 음력 12월은 계동이었다.
- ↑ 계절#천문학적 계절 변화 참고
- ↑ 하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천문학에서는 계절 구분을 하지 않는다.
- ↑ 관측자료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과거 기후변화 → 관측자료 → 기타분석 → 계절길이
- ↑ 일별자료 기상청 날씨누리 → 관측·기후 → 육상 → 과거관측 (1960년부터 자료가 있음)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겨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겨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겨울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겨울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 겨울 - 네이버 학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