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노헵툴로스
보이기
이름 | |
---|---|
IUPAC 이름
d-Manno-hept-2-ulos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0.723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14O7 | |
몰 질량 | 210.182 g·mol−1 |
밀도 | 1.7 g cm−3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만노헵툴로스(영어: mannoheptulose)는 7개의 탄소 원자가 포함된 단당류이며, 헥소키네이스의 억제제이다. 만노헵툴로스는 헥소키네이스를 억제함으로써 포도당의 인산화를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포도당의 분해가 저해된다. 아보카도에서 D-만노헵툴로스로 발견된다.[1]
만노헵툴로스는 이자에서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억제는 만노헵툴로스가 존재할 때 해당과정이 억제되므로(글루코스 6-인산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자 β세포의 KATP 통로를 닫아서 칼슘의 유입 및 인슐린의 분비를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ATP의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생체 외에서 해당과정을 억제하기 때문에, 개의 체중 관리를 위한 새로운 영양보조식품으로 연구되었다.[3][4] 만노헵툴로스는 개의 에너지 균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섭취량과 신체활동과는 무관하게 개가 에너지 소비를 크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는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ai, N; Schaffer, A; Petreikov, M; Shahak, Y; Giller, Y; Ratner, K; Levine, A; Granot, D (1999). “Overexpression of Arabidopsis hexokinase in tomato plants inhibits growth, reduces photosynthesis, and induces rapid senescence”. 《The Plant cell》 11 (7): 1253–66. doi:10.1105/tpc.11.7.1253. PMC 144264. PMID 10402427.
- ↑ Lucke, Christoph; Kagan, Avir; Adelman, Neil; Glick, Seymour (1972). “Effect of 2-Deoxy-D-Glucose and Mannoheptulose on the Insulin Response to Amino Acids in Rabbits”. 《Diabetes》 21 (1): 1–5. doi:10.2337/diab.21.1.1.
- ↑ McKnight, Leslie; Root-McCraig, Jared; Wright, David; Davenport, Gary; France, James; Shoveller, Anna Kate (2015). “Dietary Mannoheptulose Does Not Significantly Alter Daily Energy Expenditure in Adult Labrador Retrievers”. 《PLos One》 10 (12): e0143324. doi:10.1371/journal.pone.0143324. PMC 4684352.
- ↑ McKnight, Leslie; Eyre, Ryan; Gooding, Margaret; Davenport, Gary; Shoveller, Anna Kate (2015). “Dietary Mannoheptulose Increases Fasting Serum Glucagon Like Peptide-1 and Post-Prandial Serum Ghrelin Concentrations in Adult Beagle Dogs”. 《Animals》 5 (2): 442–454. doi:10.3390/ani5020365. PMC 4494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