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00 장갑차
보이기
종류 | 병력수송장갑차(APC) |
---|---|
용도 및 목적 | 기계화보병 탑승 및 전투용 |
개발국가 | 대한민국 |
개발사 | 국방과학연구소 대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현재 두산DST) |
제작사 | S&T 중공업 |
배치년도 | 1984년 |
역사 | |
개발년도 | 1978년 |
생산기간 | 생산기간 |
사용국가 |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
사용된 전쟁 | 보스니아 내전 |
개량형 | K200A1 |
생산 대수 | 2,500대 이상 |
일반 제원 | |
승무원 | 3명 + 9명(하차 보병) |
길이 | 5.486 m |
높이 | 2.518 m |
폭 | 2.846 m |
중량 | 13.2톤 |
공격력 | |
주무장 | 12.7 mm K6 기관총 |
부무장 | 7.62 mm M60 기관총 |
기동력 | |
엔진 | D2848 (K200) D2848T (K200A1) |
마력 | 280마력 (K200) 350마력 (K200A1) |
출력/중량 | 21.21 (K200) 26.5 (K200A1) |
현가장치 | 토션바 |
노상 속도 | 70km/h (수상 7km/h) |
기동 가능 거리 | 480km |
변속 | T-300 (K200) X-200-5D (K200A1) |
등판 능력 | 60도 |
장애물 통과 | 0.63m (수직 장애물) |
도하 | 1.68 |
방어력 | |
전면 장갑 | 강철구조물, 공간장갑 |
측면 장갑 | 강철구조물, 공간장갑 |
상부 장갑 | 강철구조물 |
증가 장갑 | 없음 |
장갑 | 공간장갑 |
방어 수단 | 연막탄 발사기 탑재 |
K200은 대한민국이 최초로 개발한 병력수송장갑차(APC)이며, 1984년부터 실전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한 이래 2008년 2월 현재 계열차량등을 합쳐 약 2,500대 이상이 생산되었다. K21 보병전투차가 전방 기계화보병사단에 배치된 후에도 후방 부대나 보병사단용으로 계속 운용될 예정이다.
역사
[편집]월남전에서 유명해진 서방국가 베스트셀러 병력수송장갑차(APC)는 M113 장갑차이다. 미국 육군은 2032년까지 M113을 사용할 계획이다.[1] 한국 육군은 월남전의 참전 대가로 월남전에 사용된 M113 장갑차를 공여받아 최초의 기계화 보병 사단을 창설했다.
한국이 최초의 병력수송장갑차(APC)인 K200을 개발할 당시, 궤도차량 설계 기술은 전무했으며, 참고자료는 미군의 M113 장갑차 정비유지 도면뿐이었다.[2]
두산인프라코어 방위산업의 시발점이었던 보병전투장갑차 K200 개발은 1980년께 한국형 장갑차 개발계획을 수립한 국방과학연구소가 당시 M113 장갑차 정비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에 차기 장갑차 개발을 제안하여, 우연한 계기로 시작되었다.[3]
미국은 서방국가 베스트셀러 병력수송장갑차(APC)인 M113 장갑차의 후속인 en:Armored Multi-Purpose Vehicle(AMPV) 시제품을 2016년에 생산했다.
개량형 및 계열 차량
[편집]개량형
[편집]- K200A1
- 동력 계통을 개량하여 보다 고출력의 엔진(D-2848T형 엔진)과 새로운 변속기(미국 DDA사의 X-200-5D)를 장착한 모델이다. K200의 실전 배치 이후 일선 부대에서 기동력 부족을 지적함에 따라 개발되었다. 엔진은 350마력의 고출력이어서 톤당 중력비가 26.5t/HP에 이르러 동급 장갑차량 중에서는 가장 우수하다[4]
계열 차량
[편집]- K263A1 자주발칸포
- 이 차량은 M-167 견인용 발칸포 체계를 K200에 탑재한 것이다. 주 임무는 저공 침투하는 적 항공기에 대하여 아군 부대를 보호하는 것이다. 명칭에서 A1은 K200A1의 차대를 이용했음을 의미하며, 263은 미국의 M163을 의식한 것이다. 1982년 8월에 개발을 시작하여 1986년 7월에 무기 체계로 채택되어 약 200여대가 일선 부대에 배치되었다.
- K242/K281 박격포 탑재 차량
- K242는 4.2인치 박격포를 탑재한 것이며, K281은 81mm 박격포를 뜻한다. 242의 42는 4.2인치를, 281의 81은 81mm를 뜻한다. 이 차량들은 1989년 9월에 채택되었다. 향후 대한민국 육군은 120mm 박격포 체계를 개발한 후에 K200 차체에 탑재할 계획이다.[5]
- K288A1 구난장갑차
- 1988년 12월에 채택되었다. 제식 번호는 채택년도인 1988년을 따서 붙인 것이다. 기본 차체에 K200 및 계열 차량 등을 견인할 수 있도록 20 톤급의 윈치와 엔진의 착탈(정비 또는 교체 등을 위해 필요)을 위한 3.5톤을 들 수 있는 크레인을 설치했다. 주 임무는 K200 및 계열 차량들의 수리 및 구난이다. 그러나 이 차량으로는 K21이나 K-30 비호, 천마 대공미사일 등을 견인할 수 없어서 신형 구난장갑차를 개발할 예정이다.
- K277 지휘장갑차
- 미국의 M577 지휘장갑차의 이름을 따서 K277이라 명명된 지휘장갑차는 기계화부대의 대대급 부대 지휘를 위해 개발되었다. 다른 차량들과 달리 지휘관이 서서 부대를 지휘할 수 있도록 높이가 0.54m가량 올라갔다. 부대 지휘를 위해 다양한 안테나 및 통신장비가 설치되며, 이외에 지휘에 필요한 장비 - 도판, 상황판, 텐트, 지도, NBC 방호시스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휘관을 비롯하여 6명의 지휘본부 요원만 탑승한다.
- K216 NBC 정찰 장갑차
- K200A1 차체를 바탕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MM-1) 같은 화학탐지장치를 정착하여 적의 화학전 여부를 탐색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NBC 병기에 의한 오염 지역 정찰이 주임무여서 내부 기압을 외부 기압보다 높게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차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 K221 발연장갑차
- 가장 최근에 개발된 계열 차량으로 적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감시 수단으로부터 연막을 발사하여 아군 부대 및 지역, 시설을 보호하는 것이다. 가시광선 차단용으로 액체 파라핀을 사용하여 90분간 차폐할 수 있으며, 적외선 감시 수단을 막기 위해서는 분말 흑연을 사용하여 30분간 차폐할 수 있다. 도입 단가는 7억 6,000만원이며, 2007년 9월부터 실전배치되었다.[6]
운용 국가
[편집]- 대한민국 - 기갑부대의 주력 기계화보병용 보병수송차로 1700여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계열차량 800여대를 생산하여 배치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 보스니아 평화유지군으로 파견된 말레이시아군이 K200 장갑차 111대를 구입하여 배치했다.[7]
각주
[편집]- ↑ [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 이야기] "속도 2배·무게 1/2"...신개념 다목적 장갑차로 10년내 전량 교체, 서울경제, 2017-12-29
- ↑ [e-무기]'두꺼비의 번식력 처럼'…국산 기동전력의 모태 'K200 장갑차', 이데일리, 2017.02.19.
- ↑ [육군 무기] 두산인프라코어, 세계 장갑차 경연장 보스니아서 맹활약, 매일경제, 2007-10-22
- ↑ 밀리터리리뷰. “K200 보병전투차의 성능과 운용 전술”. 《밀리터리리뷰》. 통권 53호 (2008년 2월 호): 50쪽.
- ↑ 같은 책, 54쪽
- ↑ 같은 책, 55쪽
-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K-200”. 2008년 2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