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타-류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타-류신
β-Leucine
이름
IUPAC 이름
3-Amino-4-methylpentanoic acid
별칭
DL-β-Leucine; Homovaline
식별자
3D 모델 (JSmol)
3DMet
ChEBI
ChemSpider
ECHA InfoCard 100.200.152
KEGG
  • InChI=1S/C6H13NO2/c1-4(2)5(7)3-6(8)9/h4-5H,3,7H2,1-2H3,(H,8,9)
    Key: GLUJNGJDHCTUJY-UHFFFAOYSA-N
  • CC(C)C(CC(=O)O)N
성질
C6H13NO2
몰 질량 131.175 g·mol−1
위험
GHS 그림문자 GHS07: Harmful
신호어 경고
H315, H319, H335
P261, P264, P271, P280, P302+352, P304+340, P305+351+338, P312, P321, P332+313, P337+313, P362, P403+233, P405, P50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β-류신(영어: β-leucine)은 L-류신의 위치 이성질체로, 류신 2,3-아미노뮤테이스에 의한 L-류신의 대사 경로를 통해 사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β-아미노산이다.[1][2][3] 코발라민(비타민 B12) 결핍증이 있는 사람의 혈장에서 β-류신의 농도가 높아진다.[3]

사람에서 생합성 및 대사

[편집]

L-류신 대사의 작은 부분(약 33%를 차지하는 고환을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5% 미만)은 처음에 류신 2,3-아미노뮤테이스에 의해 촉매되어 β-류신을 생성한다. β-류신은 일련의 효소들에 의해 β-케토아이소카프로산, β-케토아이소카프로일-CoA를 거쳐 아세틸-CoA로 대사된다.[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ohlmeier M (May 2015). 〈Leucine〉. 《Nutrient Metabolism: Structures, Functions, and Genes》 2판. Academic Press. 385–388쪽. ISBN 978-0-12-387784-0. 22 March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June 2016에 확인함. Energy fuel: Eventually, most Leu is broken down, providing about 6.0kcal/g. About 60% of ingested Leu is oxidized within a few hours ... Ketogenesis: A significant proportion (40% of an ingested dose) is converted into acetyl-CoA and thereby contributes to the synthesis of ketones, steroids, fatty acids, and other compounds 
    Figure 8.57: Metabolism of L-leucine 보관됨 22 3월 2018 - 웨이백 머신
  2. “Leucine metabolism”. 《BRENDA》.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17 August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August 2016에 확인함. 
  3. http://www.hmdb.ca/metabolites/HMDB0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