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모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모(歲暮)에 대해서는
섣달그믐 문서를, 세모(細毛)에 대해서는
참풀가사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삼각형
|
|
변과 각의 수 |
3
|
내각의 합 |
180°
|
삼각형(三角形, 세모꼴)은 세 개의 점과 세 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이다. 삼각형의 세 점을 꼭짓점이라 하고, 선분을 변(邊)이라고 한다.
밑변의 길이가
이고, 높이가
인 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기본 공식)
![{\displaystyle S={\frac {ah_{a}}{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be664eac3c130716ff3174ae8f7d34ebaf86589)
세 변의 길이가 각각 a, b, c 이고,
일 때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헤론의 공식)
![{\displaystyle S={\sqrt {k(k-a)(k-b)(k-c)}}}](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3ed8a4597b3eceb129214ddcb90bbc693504bfa)
세 변의 길이가 각각 a, b, c이고, 세 각의 크기가 각각 A, B, C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bc\sin A}{2}}={\frac {ca\sin B}{2}}={\frac {ab\sin C}{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4cd059bbd8472de4fbf4407c23f988dd139fe05)
한 변의 길이와 양 끝각의 크기를 알 때
[편집]
세 변의 길이가 각각 a, b, c이고, 세 각의 크기가 각각 A, B, C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a^{2}\sin B\sin C}{2\sin(B+C)}}={\frac {b^{2}\sin C\sin A}{2\sin(C+A)}}={\frac {c^{2}\sin A\sin B}{2\sin(A+B)}}}](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f9e6d36c4ae493889d8bf15dbd3e14897e78bfb)
세 변의 길이와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알 때
[편집]
세 변의 길이가 각각
,
,
이고, 내접원의 반지름이
이며,
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 S=rs}](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96d8318a97ea5a28d04b6f6f57ae7ec589b3ebb)
세 변의 길이와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알 때
[편집]
세 변의 길이가 각각
,
,
이고, 외접원의 반지름이
인 삼각형의 넓이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abc}{4R}}}](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5ed85d8a15cb658efe62c801705a6c1c7924260)
세 변의 길이와 방접원의 반지름 중 하나의 길이를 알 때
[편집]
세 변의 길이가 각각
,
,
이고, A, B, C와 반대편에 있는 방접원의 반지름이 각각
,
,
이며,
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 S=(s-a)r_{a}=(s-b)r_{b}=(s-c)r_{c}}](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da8dbad48a680d96c3c0b8315118ddcf10a493d)
세 각의 크기와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알 때
[편집]
세 각의 크기가 각각
,
,
이고, 내접원의 반지름이
인 삼각형의 넓이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r^{2}\left(\cot {\frac {A}{2}}+\cot {\frac {B}{2}}+\cot {\frac {C}{2}}\right)}](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32cb73710d5c96da49edf29efc0a218b47614fc)
세 각의 크기와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알 때
[편집]
세 각의 크기가 각각
,
,
이고, 외접원의 반지름이
인 삼각형의 넓이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2R^{2}\cdot \sin A\sin B\sin C}](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e64c1a84b82cbea2ede9a7aba9eb6919182765e)
내접원의 반지름이
이고, A, B, C와 반대편에 있는 방접원의 반지름이 각각
,
,
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sqrt {rr_{a}r_{b}r_{c}}}}](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cd905abe804b0964cfb706da4741e6f40968ffe)
2차원 직교좌표에서 세 점의 좌표가 (0,0),(x1,y1),(x2,y2)인 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x_{1}y_{2}-x_{2}y_{1}|}{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415e1e3c3a1afd7d35c96081c3822f1b641f259)
2차원 극좌표에서 세 점의 좌표가 (0,0),(r1,θ1),(r2,θ2)인 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r_{1}\cos \theta _{1}r_{2}\sin \theta _{2}-r_{2}\cos \theta _{2}r_{1}\sin \theta _{1}|}{2}}={\frac {r_{1}r_{2}\sin(|\theta _{1}-\theta _{2}|)}{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ef236a3219cae0661930c6d989ec13ee99bd28f)
한 점을 두 벡터의 시점으로 하고 각각 다른 벡터를 종점으로 하는 두 벡터를
라 하자. 2보다 크거나 같은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표현된 삼각형의 넓이를
라 하면
![{\displaystyle S_{n}={\frac {1}{2}}{\sqrt {(\left|{\vec {X}}\right|\left|{\vec {Y}}\right|)^{2}-({\vec {X}}\cdot {\vec {Y}})^{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45e45733bbdf56323b8789b65f5964aee2e3a9c)
이 표현을 성분으로 바꾸어서 표현하여
라 하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
![{\displaystyle S_{n}={\frac {1}{2{\sqrt {2}}}}{\sqrt {\sum _{i=1}^{n}\sum _{j=1}^{n}{\begin{vmatrix}x_{i}&y_{i}\\x_{j}&y_{j}\end{vmatrix}}^{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18f862248f73f1d671e98ccef48451c4fad04d3)
벡터의 증명은 사인을 이용한 삼각형 넓이 공식과 벡터의 내적을, 성분의 증명은 귀납법을 통해서 증명 가능하다.
성분의 증명에서
인 경우가 #2차원 직교좌표가 된다.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S={\frac {\sqrt {3}}{4}}a^{2}}](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5111a90377b2be4ee38002e90f46804cc055674)
다음의 성질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성립한다.
- 세 내각의 합은 180도이다. 단, 쌍곡면, 구면, 타원면 등에서는 이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비유클리드 기하학 문서 참고.
- 삼각형의 어떤 각의 외각은 그 각을 제외한 다른 두 각의 합과 같다.
- 그 어떤 삼각형도 어느 한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길거나 같을 수 없다. 예를 들어, 각 변의 길이가 2cm, 3cm, 5cm인 삼각형이나 각 변의 길이가 3cm, 4cm, 10cm인 삼각형 등은 성립할 수 없다.
- 중점연결정리
- 피타고라스의 정리
- 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 체바 정리/메넬라오스 정리
지구 위에 그려진 직각삼각형의 예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되지 않는다. 오른쪽 그림은 지구 위에 직각삼각형을 그릴 경우 내각의 합이 180도를 초과함을 보여준다.
삼각형의 합동 조건에는 대표적인 4가지가 있다.
- SSS 합동: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을 때, 삼각형은 서로 합동이다. 변의 길이만으로 모양이 확정되는 다각형은 오직 삼각형밖에 없다.
- SAS 합동: 두 변과 한 끼인각을 아는 경우.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이 아닌 각을 알 경우 두 가지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합동이 아닐 수 있다. 이 때, 둘 다 예각삼각형, 또는 직각삼각형, 또는 둔각삼각형이면 합동이다.)
- ASA 합동: 두 각과 그 사이의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 AAS 합동: 두 각과 이웃한 변의 길이를 아는 경우.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라는 것과 ASA 합동으로부터 나온다.
- RHS 합동: 한 각이 직각이고 빗변과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같은 경우.
- RHA 합동: 한 각이 직각이고 빗변과 다른 한 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
|
---|
변의 수로 나열 |
1–10변 | |
---|
11–20변 | |
---|
21–30변 | |
---|
31–100변 | |
---|
>257변 | |
---|
다각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