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비 이씨
근비 이씨
謹妃 李氏 | |
---|---|
고려 우왕의 왕비 |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미상 |
가문 | 고성 이씨 |
부친 | 이림 |
모친 | 변한국부인 홍씨 |
배우자 | 우왕 |
자녀 | 창왕 |
근비 이씨(謹妃 李氏, 생몰년 미상)는 이림(李琳)과 변한국부인 홍씨(卞韓國夫人 洪氏) 딸이자 고려(高麗) 제32대 군주(君主)였던 고려 우왕(禑王)의 제1비이다. 고성(固城) 출신으로, 판개성부사 이림(李琳)과 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고성(固城)이다[1]. 생년은 확실하지 않고, 생일은 음력 12월 12일이다[2].
생애
[편집]우왕 5년(1379년) 4월에 왕비로 책봉되어 근비(謹妃)가 되었다. 동시에 근비를 위한 부가 설치되어 그 이름을 후덕부(厚德府)라고 하였고, 아버지 이림은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졌다[3]. 또 근비의 어머니 홍씨는 변한국부인(卞韓國夫人)에, 할머니 이씨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1]. 근비가 책봉될 당시 최고의 권력자는 이인임(李仁任)이었는데, 이인임은 자신의 족질녀가 되는 근비를 우왕의 왕비로 입궁시켜 자신의 지위를 더욱 단단히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1]. 입궐한 근비는 우왕 6년(1380년) 훗날 창왕(昌王)이 되는 왕자 창을 낳았다[4].
우왕 14년(1388년) 6월에 요동 정벌의 명을 받아 압록강까지 갔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개경을 친 우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와 그 일파에 의해 우왕이 폐위되어 강화도로 쫓겨가고 창왕이 옹립되었다. 그리고 그 모후인 근비는 왕대비에 책봉되었다[5]. 그러나 불과 1년 뒤인 창왕 원년(1389년)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근비의 아버지 이림은 충주(忠州)로 귀양을 갔다가 죽었고, 우왕과 창왕은 모두 살해되었다[1].
이후 근비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창왕 폐위 후의 그녀에 대한 생애는 물론, 생몰년이나 능지에 대한 것도 알 수가 없다. 《고려사》의 저자들은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후손으로 몰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왕의 후비들은 《고려사》 후비 열전에 수록되지 못했으며, 시호도 받지 못했다.
일화
[편집]《청파극담》에 보면, 우왕과 창왕이 폐위되고 시해된 뒤에도 근비 이씨는 개경에서 살았는데, 근비의 집에는 살 한 폭이 부러진 병풍이 하나 있었는데 우왕이 부러뜨린 것이었다. 시비(侍婢)가 그걸 고치려 하면 근비는 “선왕께서 친히 부러뜨리신 것이니 고쳐선 안 된다.”라며 반대했고, 우왕의 기일이 되면 눈물을 흘리며 제사를 지냈다. 이성계는 근비와 더불어 영비 최씨에게 정절을 기려 각각 수신전(守信田) 3백 결을 주는데, 근비에게 특별히 3백 결을 더 주었다고 한다.
가계
[편집]- 아버지 : 이림(李琳, ? ~ 1391년)
- 어머니 : 변한국부인(卞韓國夫人) 홍씨(洪氏, 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공민왕(恭愍王, 1330~1374 재위 1351~1374)
- 시어머니: 반야(般若, ? ~ 1376)
근비 이씨가 등장하는 작품
[편집]출처
[편집]- ↑ 가 나 다 라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근비〉항목”. 2014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일에 확인함.
- ↑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7년 12월 - 근비 생일에 사면을 베풀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5년 4월 - 이림의 딸을 맞아 근비로 책봉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6년 8월 - 근비가 아들 왕창을 낳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창왕 즉위년 6월 - 왕의 모친 근비를 왕대비로 높여 책봉하고 전왕의 왕비와 옹주를 모두 쫓아내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