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턴 역학의 창시자, 윌리엄 로언 해밀턴
해밀턴 역학 (Hamilton 力學, Hamiltonian mechanics )은 고전역학 적 계 를 좌표와 이에 대응하는 운동량 으로 이루어진 위상 공간 으로 나타내어 다루는 해석 역학 이론이다. 위상 공간 대신 짜임새 공간 에 정의된 라그랑주 역학 은 2차 미분 방정식 을 쓰나, 해밀턴 역학은 1차 미분 방정식을 쓴다. 해밀턴 역학의 동역학을 나타내는 함수인 해밀토니언 은 계의 에너지 로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양자역학 과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
아일랜드 의 수학자 윌리엄 로언 해밀턴 이 기존의 라그랑주 역학 을 바탕으로 1833년에 도입하였다.[ 1] [ 2]
계의 주어진 시간의 상태는 위상 공간
(
M
,
ω
)
{\displaystyle (M,\omega )}
위의 한 점으로 주어진다. 위상 공간은 심플렉틱 다양체 (사교 다양채)로서, 이는 일반화 좌표 와 일반화 운동량 으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심플렉틱 구조
ω
μ
ν
{\displaystyle \omega _{\mu \nu }}
를 써서, 푸아송 괄호 라는 연산자
{
⋅
,
⋅
}
{\displaystyle \{\cdot ,\cdot \}}
를 정의할 수 있다.
ω
μ
ν
{\displaystyle \omega _{\mu \nu }}
는 2-형식 이다. 이는 가역행렬이므로, 그 역을 취하여 (2,0)-텐서
ω
μ
ν
{\displaystyle \omega ^{\mu \nu }}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두 함수
f
,
g
:
M
→
R
{\displaystyle f,g\colon M\to \mathbb {R} }
의 푸아송 괄호는 다음과 같다.
{
f
,
g
}
=
ω
μ
ν
∂
μ
f
∂
ν
g
{\displaystyle \{f,g\}=\omega ^{\mu \nu }\partial _{\mu }f\partial _{\nu }g}
.
계의 시간 변화는
M
{\displaystyle M}
위에 주어진 함수
H
:
M
→
R
{\displaystyle H\colon M\to \mathbb {R} }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해밀토니언 (영어 : Hamiltonian )이라고 부른다. 계의 어떤 관측가능량을
f
:
M
→
R
{\displaystyle f\colon M\to \mathbb {R} }
로 나타내자. 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서,
f
{\displaystyle f}
의 값은 바뀌게 된다. 이 때,
f
{\displaystyle f}
의 시간 변화는 다음과 같다.
d
f
d
t
=
{
f
,
H
}
{\displaystyle {\frac {df}{dt}}=\{f,H\}}
.
국소적 좌표
(
q
i
,
p
i
)
{\displaystyle (q_{i},p_{i})}
를 잡고, 관측가능량이
q
i
{\displaystyle q_{i}}
(입자 위치) 또는
p
i
{\displaystyle p_{i}}
(입자의 운동량)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의 시간 변화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d
q
i
d
t
=
∂
H
∂
p
i
{\displaystyle {\frac {dq_{i}}{dt}}={\frac {\partial H}{\partial p_{i}}}}
d
p
i
d
t
=
−
∂
H
∂
q
i
{\displaystyle {\frac {dp_{i}}{dt}}=-{\frac {\partial H}{\partial q_{i}}}}
.
이를 해밀턴 방정식 (영어 : Hamilton's equations )이라고 부른다.
보존계 의 경우, 해밀토니언은 운동 에너지
T
{\displaystyle T}
와 위치 에너지
U
{\displaystyle U}
의 합으로 주어진다.
H
=
T
+
U
{\displaystyle H=T+U}
따라서 해밀토니언을 일종의 총 에너지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해밀토니언 및 관측가능량이 시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으나, 시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경우도 해밀턴 역학으로 다룰 수 있다. 이 때는 해밀토니언과 관측량은
M
×
R
→
R
{\displaystyle M\times \mathbb {R} \to \mathbb {R} }
과 같은 함수로 나타내어지고, 그 시간 변화는 다음과 같다.
d
f
d
t
=
{
f
,
H
}
+
∂
f
∂
t
.
{\displaystyle {\frac {df}{dt}}=\{f,H\}+{\frac {\partial f}{\partial t}}.}
해밀턴 역학은 라그랑주 역학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고, 반대로 라그랑주 역학을 해밀턴 역학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이론은 서로 동등하다. 해밀토니언은 라그랑지언의 르장드르 변환 이다.
H
=
H
(
q
i
,
p
i
,
t
)
=
∑
i
p
i
q
˙
i
−
L
{\displaystyle H=H(q_{i},\;p_{i},\;t)=\sum _{i}p_{i}{\dot {q}}_{i}-L}
해밀턴 방정식의 유도는 라그랑지언 L의 전미분 으로부터 시작한다.
d
L
=
∑
i
∂
L
∂
q
i
d
q
i
+
∑
i
∂
L
∂
q
˙
i
d
q
˙
i
+
∂
L
∂
t
d
t
{\displaystyle dL=\sum _{i}{\partial L \over \partial q_{i}}dq_{i}+\sum _{i}{\partial L \over \partial {\dot {q}}_{i}}d{\dot {q}}_{i}+{\partial L \over \partial t}dt}
그런데 일반화 운동량 의 정의에 따르면
p
i
≡
∂
L
∂
q
˙
i
{\displaystyle p_{i}\equiv {\partial L \over \partial {\dot {q}}_{i}}}
이고, 라그랑주 방정식 으로부터,
p
˙
i
=
∂
L
∂
q
i
{\displaystyle {\dot {p}}_{i}={\partial L \over \partial q_{i}}}
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라그랑지언의 전미분에 대입하면
d
L
=
∑
i
p
˙
i
d
q
i
+
∑
i
p
i
d
q
˙
i
+
∂
L
∂
t
d
t
{\displaystyle dL=\sum _{i}{\dot {p}}_{i}dq_{i}+\sum _{i}p_{i}d{\dot {q}}_{i}+{\partial L \over \partial t}dt}
를 얻는다. 여기서 우변의 둘째항을 곱 규칙 을 사용해
∑
i
p
i
d
q
˙
i
=
d
(
∑
i
p
i
q
˙
i
)
−
∑
i
q
˙
i
d
p
i
{\displaystyle \sum _{i}p_{i}d{\dot {q}}_{i}=d\left(\sum _{i}p_{i}{\dot {q}}_{i}\right)-\sum _{i}{\dot {q}}_{i}dp_{i}}
와 같이 표현하고 이를 정리하면
d
(
∑
i
p
i
q
˙
i
−
L
)
=
−
∑
i
p
˙
i
d
q
i
+
∑
i
q
˙
i
d
p
i
−
∂
L
∂
t
d
t
{\displaystyle d\left(\sum _{i}p_{i}{\dot {q}}_{i}-L\right)=-\sum _{i}{\dot {p}}_{i}dq_{i}+\sum _{i}{\dot {q}}_{i}dp_{i}-{\partial L \over \partial t}dt}
여기서 해밀토니언 H를 정의한다.
H
=
∑
i
p
i
q
˙
i
−
L
{\displaystyle H=\sum _{i}p_{i}{\dot {q}}_{i}-L}
이를 이용해 식을 다시 쓰면
d
H
=
−
∑
i
p
˙
i
d
q
i
+
∑
i
q
˙
i
d
p
i
−
∂
L
∂
t
d
t
{\displaystyle dH=-\sum _{i}{\dot {p}}_{i}dq_{i}+\sum _{i}{\dot {q}}_{i}dp_{i}-{\partial L \over \partial t}dt}
가 된다. 이 식은 해밀토니언 H가 일반화 좌표 qi , 일반화 운동량 pi , 시간 t의 함수임을 보여준다. 그와 동시에 해밀토니언 H를 알면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변수 qi , pi 를 알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q
˙
i
=
∂
H
∂
p
i
{\displaystyle {\dot {q}}_{i}=~~{\partial H \over \partial p_{i}}}
p
˙
i
=
−
∂
H
∂
q
i
{\displaystyle {\dot {p}}_{i}=-{\partial H \over \partial q_{i}}}
이 두 식을 해밀턴 방정식 (Hamilton's equations )이라 한다. 그리고 마지막 항에서 해밀토니언과 라그랑지언의 다른 관계를 알 수 있다.
∂
H
∂
t
=
−
∂
L
∂
t
{\displaystyle {\partial H \over \partial t}=-{\partial L \over \partial t}}
이 식도 해밀토니언의 전미분에서 얻어지지만, 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식이기 때문에 보통 해밀턴 방정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해밀턴의 원리로부터 해밀턴 방정식의 유도[ 편집 ]
해밀턴 방정식은 해밀턴의 원리 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먼저 해밀턴의 원리에서의 작용 은 다음과 같다.
S
[
q
(
t
)
]
=
∫
t
1
t
2
L
(
q
,
q
˙
,
t
)
d
t
{\displaystyle S[\mathbf {q} (t)]=\int _{t_{1}}^{t_{2}}L(\mathbf {q} ,{\dot {\mathbf {q} }},t)\,dt}
여기서, 라그랑지언
L
{\displaystyle L}
에 해밀토니언
H
{\displaystyle H}
의 르장드르 변환
L
=
∑
i
p
i
q
˙
i
−
H
{\displaystyle \textstyle L=\sum _{i}p_{i}{\dot {q}}_{i}-H}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을 얻는다.
S
[
q
(
t
)
]
=
∫
t
1
t
2
[
∑
i
p
i
d
q
i
−
H
d
t
]
{\displaystyle S[\mathbf {q} (t)]=\int _{t_{1}}^{t_{2}}\left[\sum _{i}p_{i}dq_{i}-Hdt\right]}
이 작용에 변분을 취하면
δ
S
[
q
(
t
)
]
=
∫
t
1
t
2
[
∑
i
(
δ
p
i
q
˙
i
+
p
i
δ
q
˙
i
−
∂
H
∂
p
i
δ
p
i
−
∂
H
∂
q
i
δ
q
i
)
]
d
t
{\displaystyle \delta S[\mathbf {q} (t)]=\int _{t_{1}}^{t_{2}}\left[\sum _{i}\left(\delta p_{i}{\dot {q}}_{i}+p_{i}\delta {\dot {q}}_{i}-{\partial H \over \partial p_{i}}\delta p_{i}-{\partial H \over \partial q_{i}}\delta q_{i}\right)\right]dt}
이 된다. 여기서 두 번째 항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p
i
δ
q
˙
i
=
d
d
t
p
i
δ
q
i
−
p
˙
i
δ
q
i
{\displaystyle p_{i}\delta {\dot {q}}_{i}={d \over dt}p_{i}\delta q_{i}-{\dot {p}}_{i}\delta q_{i}}
따라서 이를 대입하고 각 좌표의 변분을 묶어주면 작용의 변분은 다음과 같이 된다.
δ
S
[
q
(
t
)
]
=
p
i
δ
q
i
|
t
1
t
2
+
∫
t
1
t
2
[
∑
i
{
(
q
˙
i
−
∂
H
∂
p
i
)
δ
p
i
−
(
p
˙
i
+
∂
H
∂
q
i
)
δ
q
i
}
]
d
t
{\displaystyle \delta S[\mathbf {q} (t)]=\left.p_{i}\delta q_{i}\right|_{t_{1}}^{t_{2}}+\int _{t_{1}}^{t_{2}}\left[\sum _{i}\left\{\left({\dot {q}}_{i}-{\partial H \over \partial p_{i}}\right)\delta p_{i}-\left({\dot {p}}_{i}+{\partial H \over \partial q_{i}}\right)\delta q_{i}\right\}\right]dt}
여기서, 첫 번째 항은 위치의 변분은 양 끝에서 0이라는 조건에 의해 0이 되고 나머지 뒤 항에선 작용의 변분이 0이 되어야 하므로, 위치와 운동량의 변분의 계수가 0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해밀턴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q
˙
i
=
∂
H
∂
p
i
{\displaystyle {\dot {q}}_{i}=~~{\partial H \over \partial p_{i}}}
p
˙
i
=
−
∂
H
∂
q
i
{\displaystyle {\dot {p}}_{i}=-{\partial H \over \partial q_{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