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먼-맨듈라 정리
양자장론에서 콜먼-맨듈라 정리(영어: Coleman–Mandula theorem)는 대부분의 이론에서는 각운동량과 4차원 운동량을 제외한 모든 연속적 보존량은 로런츠 스칼라라는 정리다.[1][2] 여기서 "대부분의 이론"이란 질량 간극을 가지고 상호작용을 하는 로런츠 공변 이론이다.
역사
[편집]시드니 콜먼과 제프리 맨듈라(Jeffrey Mandula)가 1967년에 증명하였다.[1]
정의
[편집]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물리 이론을 생각하자.
- 산란 행렬이 국소적이고, 상호작용을 지니고, 4차원 시공에서 푸앵카레 대칭을 따른다.
- 주어진 질량을 가진 입자는 유한개다. (즉 같은 질량을 지닌 무한개의 입자 종이 있을 수 없다.)
- 진공과 1입자 상태 사이에 질량 간극이 있다.
콜먼-맨듈라 정리에 따르면, 위 조건을 만족하는 이론은 다음과 같은 대칭만을 지닐 수 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이론의 산란 행렬의 (보존적인, 즉 초대칭을 포함하지 않는) 대칭군은 국소적으로 다음과 같다.
증명
[편집]콜먼-맨듈라 정리의 증명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만약 푸앵카레 대칭 이 보다 큰 대칭 에 자명하지 않게 포함된다고 하자. 이 경우, 뇌터 정리에 따라서 2차 이상의 텐서 보존량이 존재하게 된다. (만약 가 의 꼴로 자명하다면, 모든 추가 보존량은 로런츠 스칼라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차 텐서 보존량은 성분이 너무 많아, 일반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2차 텐서 보존량 가 있다고 하자. 질량 간극이 존재하므로, 가장 가벼운 입자는 양의 질량을 가진다. 편의상 이 입자가 스칼라 입자라고 하자. 이 입자의 4차원 운동량이 라고 하면, 푸앵카레 대칭에 따라서 는 다음과 같은 꼴이어야만 한다.
여기서 는 상수 텐서인 에만 의존하므로, 또한 보존돼야 한다. 즉, 편의상 으로 놓을 수 있다.
그렇다면 운동량 보존과 보존에 의하여, 산란 에서 다음 두 방정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여기서 변수는 개이지만, 방정식의 수는 개이다. 즉, 일반적으로 해는
또는
밖에 없다. 따라서 2→2 산란 행렬은 자명하다. 모든 산란은 적절한 운동량 극한에서 2→2 산란들의 합성으로 수렴하므로, 산란 행렬의 해석적 성질을 사용하여 모든 산란 행렬이 자명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예외
[편집]이 정리는 산란 행렬의 대칭만을 다루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깨진 대칭은 다루지 않는다. 또한 질량 간극이 없으면 이론에서 다른 보존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 전기역학에서는 벡터와 텐서 보존량이 존재한다 (인프라입자). 또한 이 정리는 (리 군이 아니라) 리 대수로 나타내어지는 대칭을 다루기 때문에, 이산대칭(discrete symmetry) 따위는 다루지 않는다. 또한 초대칭은 리 대수가 아니라 리 초대수로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콜먼-맨듈라 정리에 구속받지 않는다. (초대칭 이론의 경우에는 대신 하크-워푸샨스키-조니우스 정리를 쓴다.) 사인-고든 모형과 같은, 양자군 대칭을 가진 이론의 경우도, 리 대수가 아니기 때문에 예외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Coleman, Sidney; Jeffrey Mandula (1967년 7월). “All possible symmetries of the S matrix”. 《Physical Review》 (영어) 159 (6): 1251–1256. Bibcode:1967PhRv..159.1251C. doi:10.1103/PhysRev.159.1251.
- ↑ Pelc, Oskar; L. P. Horwitz (1997년 1월). “Generalization of the Coleman–Mandula theorem to higher dimension”.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38 (1): 139–172. Bibcode:1997JMP....38..139P. doi:10.1063/1.53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