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범절지동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절지동물
발톱벌레
발톱벌레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후편모생물
계: 동물계
아계: 진정후생동물아계
(미분류): 좌우대칭동물
상문: 탈피동물상문
(미분류): 범절지동물
(Panarthropoda)
Nielsen, 1997

범절지동물(Panarthropoda)은 절지동물유조동물 그리고 완보동물로 구성된 동물 분류이다.[1][2] 던(Dunn) 등은 2008년에 완보동물은 선형동물과 함께 묶일 수 있으며, 유조동물은 자매군으로서 절지동물군에 남겨 둘 수 있음을 제안했다.[3] 원래, 이 동물들은 환형동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체절동물(Articulata)로서 함께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범절지동물은 탈피동물로, 환형동물은 나선동물로 분류된다.

범절지동물의 공통적인 특징들로는 부속지와 발톱, 복신경계, 체절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조동물과 완보동물만을 기술하기 위해 "Lobopoda"라는 용어가 사용된 적도 있다.[4]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탈피동물의 계통 분류이다.[5][6]

탈피동물
유극동물

동갑동물

새예동물

동문동물

Cryptovermes
네마토이다

선형동물

유선형동물

범절지동물

완보동물

유조동물

절지동물

각주

[편집]
  1. Claus Nielsen (1995). 《Animal Evolution: Interrelationships of the Living Phyl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50682-1. 
  2. Telford MJ, Bourlat SJ, Economou A, Papillon D, Rota-Stabelli O (2008년 4월). “The evolution of the Ecdysozoa”.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3 (1496): 1529–37. doi:10.1098/rstb.2007.2243. PMC 2614232. PMID 18192181. 
  3. Dunn; 외. (2008). “Broad phylogenomic sampling improves resolution of the animal tree of life”. 《Nature》 452: 745–749. doi:10.1038/nature06614. 
  4. Cavalier-Smith T (1998년 8월). “A revised six-kingdom system of life”. 《Biol Rev Camb Philos Soc》 73 (3): 203–66. PMID 9809012. 2012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5. Nielsen, Claus; Brunet, Thibaut; Arendt, Detlev (2018년 8월 22일). “Evolution of the bilaterian mouth and anus”. 《Nature Ecology & Evolution》 2 (9): 1358–1376. Bibcode:2018NatEE...2.1358N. doi:10.1038/s41559-018-0641-0. ISSN 2397-334X. PMID 30135501. S2CID 52067372. 
  6. Howard, Richard J.; Giacomelli, Mattia; Lozano-Fernandez, Jesus; Edgecombe, Gregory D.; Fleming, James F.; Kristensen, Reinhardt M.; 외. (10 March 2022). “The Ediacaran origin of Ecdysozoa: Integrating fossil and phylogenomic da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9 (4). Bibcode:2022JGSoc.179..107H. doi:10.1144/jgs2021-107. hdl:2445/186596. ISSN 0016-7649. S2CID 24649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