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민디어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디어족
지리적 분포노던 준주 빅토리아강 및 바클리테이블랜드
계통적 분류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mirn1241[1]
  이람어파
  바클리 제어 (징굴루어 + 응울룬어파)
  기타 비(非)파마늉아 언어

민디어족(영어: Mirndi languages, Mindi languages)은 노던 준주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들이 이루는 어족이다. 민디어족은 이람어파바클리 제어로 나뉜다. 바클리 제어가 사용되는 지역은 이람어파 사용 지역에서 동남쪽으로 20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응움핀어군이 둘 사이를 가로막고 있다.[2][3] 이람어파와 바클리 제어의 가장 큰 차이는, 이람어파 언어들은 다른 비(非)파마늉아어족 언어들처럼 모두 접두사 언어인 반면 바클리 제어들은 대부분의 파마늉아어족 언어처럼 접미사 언어라는 점이다.[4]

민디어족이라는 이름은 어족에 속한 모든 언어들이 공유하는 1인칭 청자포함 쌍수 대명사 (즉 ‘너와 나’라는 뜻이다) ‘mind-’ 또는 ‘mirnd-’에서 따왔다.[2]

분류

[편집]

1980년대 초에 닐 채드윅이 처음 제안한 이후로 학계에서는 대체로 민디어족을 인정해 왔다. 민디어족의 계통 분류는 주로 어휘 비교가 아니라 형태론에 기반하며[4] 가장 결정적인 증거는 대명사 체계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그 밖에 문법의 다른 영역에서는 체계적인 유사성을 찾아보기 힘들며, [따라서] 민디어족이라는 분류는 다소 의심스럽고,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받는다고는 하기엔 부족하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민디조어가 재구된 바 있다.[6]

민디어족 
 이람어파 

눙알리어

자민중어

징울루어

 응울룬어파 

응안카어

왐바야어

여기에 응알리우루어(Ngaliwurru)를 덧붙일 수 있다. 그러나 응알리우루어가 독립된 언어인지 아니면 자민중어의 방언인지는 불확실하다.[3][7][8][9][10] 이와 비슷하게 구단지어(Gudanji)와 빈빙카어(Binbinka)는 일반적으로 왐바야어의 방언으로 여겨진다. 구단지, 빈빙카, 왐바야를 통틀어 맥아더강어(McArthur River language)라 부르기도 한다.[4][9][11]

어휘

[편집]

이람어파, 바클리 제어, 응움핀어군 및 주변의 여러 언어들은 긴밀하게 접촉해 왔기 때문에, 이람어파와 바클리 제어가 공유하는 동근어 중 다수는 실제로는 (특히 응움핀어군에서 온) 차용어일지도 모른다.[2] 예를 들어 바클리 제어에 속하는 징울루어는 이람어파와 단 9%의 어휘만을 공유하지만, 자민중어의 응알리우루 방언은 근방의 응움핀어군 언어인 무드부라어와 28%의 어휘를 공유한다.[4]

바클리 제어 내에서 징울루어는 가장 가까운 친척인 왐바야어응안카어와 각각 29%, 28%의 어휘를 공유한다. 응안카어는 왐바야어와 60%의 어휘를 공유하고, 왐바야어는 빈빙카 방언 및 구단지 방언과 각각 69%, 78%의 어휘를 공유한다. 빈빙카 방언과 구단지 방언은 서로 88%의 어휘를 공유한다.[11]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irndi〉.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Schultze-Berndt 2000, 8쪽
  3. McConvell, Patrick (2009), 〈'Where the spear sticks up' – The variety of locatives in placenames in the Victoria River District, Northern Territory〉, Koch, Harold; Hercus, Luise, 《Aboriginal Placenames: Naming and re-naming the Australian landscape》, ANU E-Press, 359–402쪽, ISBN 978-1-921666-08-7 
  4. Green, Ian (1995). “The death of 'prefixing': contact induced typological change in northern Australia”.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21: 414–425. 
  5. Bowern, Claire; Koch, Harold (2004), 《Australian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the comparative method》,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4–15쪽, ISBN 978-1-58811-512-6 
  6. Harvey, Mark (2008). 《Proto Mirndi: A discontinuous language family in Northern Australia》. PL 593.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ISBN 978-0-85883-588-7. 
  7. Pensalfini, Robert J. (2001), 〈On the Typological and Genetic Affiliation of Jingulu〉, Simpson, Jane; Nash, David; Laughren, Mary; Austin, Peter; Alpher, Barry, 《Forty years on Ken Hale and Australian languages》, Pacific Linguistics, 385–399쪽 
  8. Schultze-Berndt 2000, 7쪽
  9. Harvey, Mark; Nordlinger, Rachel; Green, Ian (2006). “From Prefixes to Suffixes: Typological Change in Northern Australia”. 《Diachronica》 23 (2): 289–311. doi:10.1075/dia.23.2.04har. 
  10. Schultz-Berndt, Eva F. (2002), “Constructions in Language Description”, 《Functions of Language》 9 (2): 267–308 
  11. Pensalfini, Robert J. (1997), 《Jingulu Grammar, Dictionary, and Texts》, Massachusetts, United State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쪽 

참고 문헌

[편집]
  • Chadwick, Neil (1997) "The Barkly and Jaminjungan Languages: A Non-Contiguous Genetic Grouping In North Australia" in Tryon, Darrell, Walsh, Michael, eds. Boundary Rider: Essays in honour of Geoffrey O'Grady. Pacific Linguistics, C-136
  • Schultze-Berndt, Eva F. (2000), 《Simple and Complex Verbs in Jaminjung – A Study of event categorisation in an Australia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