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대수 (Lie代數, 영어 : Lie algebra )는 리 군 의 국소적 구조를 나타내는 대수 구조 이다. 좀 더 엄밀히 말하면, 리 괄호라 부르는, 야코비 항등식 을 만족하는 교대 쌍선형 이항 연산 을 지닌 벡터 공간 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에 정의된 리 대수
(
g
,
[
⋅
,
⋅
]
)
{\displaystyle ({\mathfrak {g}},[\cdot ,\cdot ])}
는
K
{\displaystyle K}
-가군
g
{\displaystyle {\mathfrak {g}}}
와 다음을 만족하는 선형 변환
[
⋅
,
⋅
]
:
g
×
g
→
g
{\displaystyle [\cdot ,\cdot ]:{\mathfrak {g}}\times {\mathfrak {g}}\to {\mathfrak {g}}}
로 이루어진다.
(쌍선형성) 모든
x
,
y
,
z
∈
g
{\displaystyle x,y,z\in {\mathfrak {g}}}
와
a
,
b
∈
K
{\displaystyle a,b\in K}
에 대해
[
a
x
+
b
y
,
z
]
=
a
[
x
,
z
]
+
b
[
y
,
z
]
,
[
z
,
a
x
+
b
y
]
=
a
[
z
,
x
]
+
b
[
z
,
y
]
{\displaystyle [ax+by,z]=a[x,z]+b[y,z],\quad [z,ax+by]=a[z,x]+b[z,y]}
이다.
(교대성) 모든
x
∈
g
{\displaystyle x\in {\mathfrak {g}}}
에 대하여
[
x
,
x
]
=
0
{\displaystyle [x,x]=0}
이다.
(야코비 항등식 ) 모든
x
,
y
,
z
∈
g
{\displaystyle x,y,z\in {\mathfrak {g}}}
에 대해
[
x
,
[
y
,
z
]
]
+
[
y
,
[
z
,
x
]
]
+
[
z
,
[
x
,
y
]
]
=
0
{\displaystyle [x,[y,z]]+[y,[z,x]]+[z,[x,y]]=0}
이다.
이 이항 연산 은 리 괄호 (Lie括弧, 영어 : Lie bracket )로 불린다. 리 대수의 준동형 은 리 괄호를 보존하는 선형 변환 이다.
만약
K
{\displaystyle K}
에서 2의 역원
2
−
1
{\displaystyle 2^{-1}}
이 존재한다면 (예를 들어,
K
{\displaystyle K}
가 표수 가 2가 아닌 체 라면), 교대성을 반대칭성, 즉 모든
x
,
y
∈
g
{\displaystyle x,y\in {\mathfrak {g}}}
에 대하여
[
x
,
y
]
+
[
y
,
x
]
=
0
{\displaystyle [x,y]+[y,x]=0}
인 성질로 대체할 수 있다. (2가 가역원 이 아니라면, 교대성이 반대칭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통상적으로 리 대수는 흑자체 소문자
g
,
h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h}}}
등으로 나타낸다.
정수환
Z
{\displaystyle \mathbb {Z} }
위의 리 대수를 리 환 (Lie環, 영어 : Lie ring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름과 달리 리 환은 (곱셈 결합 법칙 을 따르는) 환 을 이루지 않는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부분 리 대수 (영어 : Lie subalgebra )
h
{\displaystyle {\mathfrak {h}}}
는 리 괄호에 대하여 닫힌
K
{\displaystyle K}
-부분 가군 이다. 즉,
h
⊆
g
{\displaystyle {\mathfrak {h}}\subseteq {\mathfrak {g}}}
이며
[
h
,
h
]
⊆
h
{\displaystyle [{\mathfrak {h}},{\mathfrak {h}}]\subseteq {\mathfrak {h}}}
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리 대수 아이디얼
I
⊂
g
{\displaystyle I\subset {\mathfrak {g}}}
는
[
g
,
I
]
⊆
I
{\displaystyle [{\mathfrak {g}},I]\subseteq I}
를 만족하는
K
{\displaystyle K}
-부분 가군이다. 모든 리 대수 아이디얼 은 부분 리 대수다. 이는 군론 의 정규 부분군 이나 환론 의 아이디얼 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마찬가지로 몫 리 대수 (영어 : quotient Lie algebra )
g
/
I
{\displaystyle {\mathfrak {g}}/I}
를 정의할 수 있다. 모든 리 대수 아이디얼 은 부분 리 대수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환 의 개념에 등급을 붙여 등급환 을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 등급 리 대수 (等級Lie代數, 영어 : graded Lie algebra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가환 모노이드
(
D
,
+
)
{\displaystyle (D,+)}
가 주어졌다고 하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D
{\displaystyle D}
등급을 갖는 등급 리 대수
(
g
,
[
⋅
,
⋅
]
)
{\displaystyle ({\mathfrak {g}},[\cdot ,\cdot ])}
는 다음과 같이, 등급이 붙어 있고, 리 괄호가 등급을 보존하는 리 대수이다. 즉,
g
=
⨁
d
∈
D
g
d
{\displaystyle {\mathfrak {g}}=\bigoplus _{d\in D}{\mathfrak {g}}_{d}}
[
⋅
,
⋅
]
:
g
d
×
g
d
′
→
g
d
+
d
′
{\displaystyle [\cdot ,\cdot ]\colon {\mathfrak {g}}_{d}\times {\mathfrak {g}}_{d'}\to {\mathfrak {g}}_{d+d'}}
이다.
리 군론 에서,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리 대수는 실수 또는 복소수 리 군 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모든 리 군 에 대하여, 그 왼쪽 불변 벡터장들은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를 이루며, 반대로 모든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는 유일한 연결 단일 연결 리 군 의 동형류에 표준적으로 대응한다.
통상적으로, 주어진 리 군의 리 대수는 리 군의 이름의 흑자체 소문자로 쓴다. 예를 들어 SO(5)의 리 대수는
Lie
(
SO
(
5
)
)
=
s
o
(
5
)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operatorname {SO} (5))={\mathfrak {so}}(5)}
이다.
리 군 과 달리, 주어진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들의 모임은 대수 구조 다양체 를 이룬다. 이 대수 구조 다양체는 다음과 같은 연산을 갖는다.
0항 연산:
1항 연산:
− (덧셈 역원)
임의의
a
∈
K
{\displaystyle a\in K}
에 대하여, 스칼라곱
a
⋅
{\displaystyle a\cdot }
2항 연산:
+ (덧셈)
[
−
,
−
]
{\displaystyle [-,-]}
(리 괄호)
이는
K
{\displaystyle K}
위의 벡터 공간의 대수 구조 에 리 괄호를 추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자유 리 대수 의 개념이나 리 대수의 직접곱 을 정의할 수 있다. 유한 개의 리 대수의 직접곱 은 직합 과 같다.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리 대수들의 모임은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룬다.
아벨 리 대수. 이는 항등식
[
x
,
y
]
=
0
{\displaystyle [x,y]=0}
으로 정의된다.
k
{\displaystyle k}
형의 멱영 리 대수 . 이는 내림 중심렬의 길이가
k
{\displaystyle k}
이하인 리 대수이다.
k
{\displaystyle k}
형의 가해 리 대수 . 이는 유도열의 길이가
k
{\displaystyle k}
이하인 리 대수이다.
리 대수의 대수 구조 다양체들의 모임 위에는 다음과 같이 이항 연산을 정의할 수 있다. 리 대수의 대수 구조 다양체
U
{\displaystyle {\mathcal {U}}}
,
V
{\displaystyle {\mathcal {V}}}
가 주어졌을 때, 그 곱
U
V
{\displaystyle {\mathcal {U}}{\mathcal {V}}}
는
V
{\displaystyle {\mathcal {V}}}
의 원소들의,
U
{\displaystyle {\mathcal {U}}}
에 속한 리 대수 아이디얼 에 대한 리 대수 확대로 구성된다.
주어진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와 리 대수 준동형의 범주
LieAlg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Alg} _{K}}
는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이므로, 완비 범주 이자 쌍대 완비 범주 이다.
리 대수의 범주에서, 유한 곱 과 유한 쌍대곱 이 일치하며, 이는 둘 다 직합 이다. 리 대수의 범주는 영 대상 을 가지며, 이는 유일한 0차원 리 대수이다. 리 대수의 범주는 또한 핵과 여핵 을 갖는다. 리 대수 준동형
ϕ
:
g
→
h
{\displaystyle \phi \colon {\mathfrak {g}}\to {\mathfrak {h}}}
의 핵은
0
∈
h
{\displaystyle 0\in {\mathfrak {h}}}
의 원상
ϕ
−
1
(
0
)
{\displaystyle \phi ^{-1}(0)}
이며, 이는 리 대수 아이디얼 을 이룬다.
ϕ
{\displaystyle \phi }
의 여핵은 그 치역
ϕ
(
g
)
{\displaystyle \phi ({\mathfrak {g}})}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리 대수 아이디얼 에 대한 몫 리 대수이다. (이러한 리 대수 아이디얼 은 유일하다.)
리 대수의 범주는 아벨 군 의 범주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Ab} }
위의 풍성한 범주 (영어 : enriched category )이다. 그러나 아이디얼이 아닌 부분 리 대수가 존재하므로, 리 대수의 범주는 아벨 범주 를 이루지 않는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단위 결합 대수 의 범주
u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uAssoc} _{K}}
에서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의 범주
LieAlg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Alg} _{K}}
로 가는 망각 함자
Forget
:
uAssoc
K
→
LieAlg
K
{\displaystyle \operatorname {Forget} \colon \operatorname {uAssoc} _{K}\to \operatorname {LieAlg} _{K}}
가 존재한다. 이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 는 보편 포락 대수 함자
U
:
LieAlg
K
→
uAssoc
K
{\displaystyle {\mathcal {U}}\colon \operatorname {LieAlg} _{K}\to \operatorname {uAssoc} _{K}}
이다.
리 대수의 구조를 묘사하는 오퍼라드 인 리 오퍼라드 (영어 : Lie operad )
Lie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
가 존재한다. 즉,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는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의 범주 위의
Lie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
-대수이다. 마찬가지로,
K
{\displaystyle K}
-초 벡터 공간 의 범주 위의
Lie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
-대수는 리 초대수 라고 한다.
다른 오퍼라드와 마찬가지로, 리 오퍼라드의 호모토피화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야코비 항등식 이 "호모토피 동치 아래" 성립하는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L∞-대수 라고 한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중심 (中心, 영어 : center )
Z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mathfrak {g}})}
은 모든 원소와 가환하는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 리 대수이다.
Z
(
g
)
=
{
x
∈
g
:
[
x
,
g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mathfrak {g}})=\{x\in {\mathfrak {g}}\colon [x,{\mathfrak {g}}]=0\}}
이는 아벨 리 대수를 이루며, 또한 리 대수 아이디얼 을 이룬다. 이는 군론 에서의 군의 중심 의 개념에 대응한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리 대수 아이디얼
a
⊆
g
{\displaystyle {\mathfrak {a}}\subseteq {\mathfrak {g}}}
가 주어졌을 때, 몫 리 대수 (영어 : quotient Lie algebra )
g
/
a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a}}}
를 정의할 수 있다.
K
{\displaystyle K}
-가군 으로서,
g
/
a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a}}}
는 몫가군
g
/
a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a}}}
이다. 이 위의 리 괄호는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
x
+
a
,
y
+
a
]
=
[
x
,
y
]
+
a
{\displaystyle [x+{\mathfrak {a}},y+{\mathfrak {a}}]=[x,y]+{\mathfrak {a}}}
이는 아이디얼의 정의에 따라 동치류 의 대표원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두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
h
{\displaystyle {\mathfrak {h}}}
가 주어졌을 때, 그 직합
g
⊕
h
{\displaystyle {\mathfrak {g}}\oplus {\mathfrak {h}}}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가군 으로서의 직합과 일치하며, 그 위의 리 괄호는 다음과 같이 성분별로 정의된다.
[
g
,
g
′
]
g
⊕
h
=
[
g
,
g
′
]
g
∀
g
,
g
′
∈
g
{\displaystyle [g,g']_{{\mathfrak {g}}\oplus {\mathfrak {h}}}=[g,g']_{\mathfrak {g}}\qquad \forall g,g'\in {\mathfrak {g}}}
[
h
,
h
′
]
g
⊕
h
=
[
h
,
h
′
]
h
∀
h
,
h
′
∈
h
{\displaystyle [h,h']_{{\mathfrak {g}}\oplus {\mathfrak {h}}}=[h,h']_{\mathfrak {h}}\qquad \forall h,h'\in {\mathfrak {h}}}
[
g
,
h
]
g
⊕
h
=
[
h
,
g
]
g
⊕
h
=
0
∀
g
∈
g
,
h
∈
h
{\displaystyle [g,h]_{{\mathfrak {g}}\oplus {\mathfrak {h}}}=[h,g]_{{\mathfrak {g}}\oplus {\mathfrak {h}}}=0\qquad \forall g\in {\mathfrak {g}},\;h\in {\mathfrak {h}}}
보다 일반적으로,
K
{\displaystyle K}
-리 대수의 집합
{
g
i
}
i
∈
I
{\displaystyle \{{\mathfrak {g}}_{i}\}_{i\in I}}
이 주어졌을 때, 그 직합
⨁
i
∈
I
g
i
{\displaystyle \bigoplus _{i\in I}{\mathfrak {g}}_{i}}
를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K
{\displaystyle K}
-리 대수의 집합
{
g
i
}
i
∈
I
{\displaystyle \{{\mathfrak {g}}_{i}\}_{i\in I}}
이 주어졌을 때, 그 직접곱
∏
i
∈
I
g
i
{\displaystyle \prod _{i\in I}{\mathfrak {g}}_{i}}
를 정의할 수 있다. 유한 직접곱은 유한 직합과 일치하지만, 무한 직접곱은 일반적으로 무한 직합보다 더 크다.
실수체 위의 리 대수의 직합 ·직접곱 은 리 군 의 직접곱 에 대응한다. 반면, 리 대수의 텐서곱 은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없다.
군 에 대하여 군의 확대 를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 리 대수의 확대 (擴大, 영어 : extension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리 대수의 범주에서는 영 대상 과 핵 · 여핵 이 존재하므로, 완전열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리 대수의 짧은 완전열
0
→
h
↪
i
e
↠
q
g
→
0
{\displaystyle 0\to {\mathfrak {h}}{\stackrel {i}{\hookrightarrow }}{\mathfrak {e}}{\stackrel {q}{\twoheadrightarrow }}{\mathfrak {g}}\to 0}
이 주어졌다면,
e
{\displaystyle {\mathfrak {e}}}
를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h
{\displaystyle {\mathfrak {h}}}
로의 확대 라고 한다. 만약
ker
q
{\displaystyle \ker q}
가
e
{\displaystyle {\mathfrak {e}}}
의 중심에 속한다면, 이를 (군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심 확대 (中心擴大, 영어 : central extension )라고 한다.
군 에 대하여 반직접곱 을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 두 개의 리 대수의 반직접합 (영어 : semidirect sum )을 정의할 수 있다. 리 대수의 범주는 아벨 범주 를 이루지 못하므로, 직합이 아닌 반직접합이 존재한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위의 미분 (微分, 영어 : derivation )은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이다.
δ
:
g
→
g
{\displaystyle \delta \colon {\mathfrak {g}}\to {\mathfrak {g}}}
이는 다음과 같은 곱 규칙 을 만족시켜야 한다.
δ
[
x
,
y
]
=
[
δ
x
,
y
]
+
[
x
,
δ
y
]
∀
x
,
y
∈
g
{\displaystyle \delta [x,y]=[\delta x,y]+[x,\delta y]\qquad \forall x,y\in {\mathfrak {g}}}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위의 미분들의 벡터 공간 을
d
e
r
(
g
)
{\displaystyle {\mathfrak {der}}({\mathfrak {g}})}
라고 쓰자. 이 위에 다음과 같은 리 괄호를 부여한다면 이 역시 리 대수를 이루며, 이를 미분 리 대수 (영어 : Lie algebra of derivations )
d
e
r
(
g
)
{\displaystyle {\mathfrak {der}}({\mathfrak {g}})}
라고 한다.
[
δ
,
δ
′
]
=
δ
∘
δ
′
−
δ
′
∘
δ
∀
δ
,
δ
′
∈
d
e
r
(
g
)
{\displaystyle [\delta ,\delta ']=\delta \circ \delta '-\delta '\circ \delta \qquad \forall \delta ,\delta '\in {\mathfrak {der}}({\mathfrak {g}})}
이는
g
l
(
g
;
K
)
{\displaystyle {\mathfrak {gl}}({\mathfrak {g}};K)}
의 부분 리 대수를 이룬다. 만약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아벨 리 대수라면
g
l
(
g
;
K
)
=
d
e
r
(
g
)
{\displaystyle {\mathfrak {gl}}({\mathfrak {g}};K)={\mathfrak {der}}({\mathfrak {g}})}
이다.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일 경우,
d
e
r
(
g
)
{\displaystyle {\mathfrak {der}}({\mathfrak {g}})}
는 리 대수의 (리 군 인) 자기 동형군
Aut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ut} ({\mathfrak {g}})}
의 리 대수와 같다. 즉, 리 대수의 미분은 무한소 자기 동형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임의의 원소
x
∈
g
{\displaystyle x\in {\mathfrak {g}}}
에 대하여, 딸림표현
ad
x
:
y
↦
[
x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_{x}\colon y\mapsto [x,y]}
는 미분을 이룬다. 이러한 미분을 내부 미분 (內部微分, 영어 : inner derivation )이라고 한다.
우선 다음 성질을 정의하자.
아벨 리 대수 (Abel Lie代數, 영어 : Abelian Lie algebra )는 임의의
x
,
y
∈
g
{\displaystyle x,y\in {\mathfrak {g}}}
에 대하여
[
x
,
y
]
=
0
{\displaystyle [x,y]=0}
인 대수다.
멱영 리 대수 는 다음을 만족한다.
g
0
=
g
{\displaystyle {\mathfrak {g}}_{0}={\mathfrak {g}}}
이고,
g
k
+
1
=
[
g
k
,
g
]
{\displaystyle {\mathfrak {g}}_{k+1}=[{\mathfrak {g}}_{k},{\mathfrak {g}}]}
로 정의하자. 그렇다면
g
k
=
0
{\displaystyle {\mathfrak {g}}_{k}=0}
인
k
∈
N
{\displaystyle k\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가해 리 대수 는 다음을 만족한다.
g
0
=
g
{\displaystyle {\mathfrak {g}}_{0}={\mathfrak {g}}}
이고,
g
k
+
1
=
[
g
k
,
g
k
]
{\displaystyle {\mathfrak {g}}_{k+1}=[{\mathfrak {g}}_{k},{\mathfrak {g}}_{k}]}
로 정의하자. 그렇다면
g
k
=
0
{\displaystyle {\mathfrak {g}}_{k}=0}
인
k
∈
N
{\displaystyle k\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단순 리 대수 는 자신이나 0이 아닌 리 대수 아이디얼 을 가지지 않고, 가환하지 않는 리 대수다.
반단순 리 대수 는 0이 아닌 가환 리 대수 아이디얼 을 지니지 않는 리 대수다.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아벨 리 대수 ⊊ 멱영 리 대수 ⊊ 가해 리 대수 ⊊ 리 대수
단순 리 대수 ⊊ 반단순 리 대수 ⊊ 리 대수
다음을 보일 수 있다.
임의의 유한 차원 실수 또는 복소 리 대수는 행렬로 충실히 표현할 수 있다. (아도 정리 영어 : Ado’s theorem )[ 1] [ 2]
임의의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는 가해 아이디얼과 반단순 부분 리 대수의 반직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레비 분해 영어 : Levi decomposition )[ 3]
(실수 또는 복소수) 콤팩트 리 군의 리 대수는 반단순 리 대수와 아벨 리 대수의 직합 이다. (이를 간혹 콤팩트 리 대수 라 부르기도 한다. 물론, 리 대수는 벡터 공간이므로 위상수학적으로 절대 콤팩트 공간 이 아니다.)
모든 반단순 리 대수 는 단순 리 대수 의 직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아벨 리 대수는 자명하게 차원으로 분류된다. 실수와 복소수 단순 리 대수 는 완전히 분류되었다. 복소수 단순 리 대수는 4개의 무한한 족과 5개의 예외적 대수로 분류되며, 주어진 복소수 단순 리 대수 에 대응되는 (유한한 수의) 실수 단순 리 대수 역시 완전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해 리 대수 의 분류는 매우 어렵다.
3차원 이하의 실수 리 대수에 대하여, 비앙키 분류 (영어 : Bianchi classification )라는 분류가 존재한다.[ 4] [ 5] 이는 루이지 비앙키 가 도입하였다.
임의의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2차원 이하의 리 대수는 다음 네 가지밖에 없다.
0차원 아벨 리 대수
{
0
}
{\displaystyle \{0\}}
1차원 아벨 리 대수
K
{\displaystyle K}
2차원 아벨 리 대수
K
⊕
2
{\displaystyle K^{\oplus 2}}
2차원 비아벨 가해 리 대수
K
⊕
ψ
K
{\displaystyle K\oplus _{\psi }K}
. 여기서
ψ
:
K
×
K
→
K
{\displaystyle \psi \colon K\times K\to K}
는 곱셈
ψ
(
a
,
b
)
=
a
b
{\displaystyle \psi (a,b)=ab}
으로 잡을 수 있다.
2차원에서의 유일한 비아벨 실수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특수 상삼각 행렬 대수
s
t
(
2
;
R
)
⊂
g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st}}(2;\mathbb {R} )\subset {\mathfrak {gl}}(2;\mathbb {R} )}
. 이는 2×2 상삼각 행렬 가운데, 대각합 이 0인 것들로 구성된다.
1차원 아핀 대수
a
f
f
(
1
;
R
)
{\displaystyle {\mathfrak {aff}}(1;\mathbb {R} )}
모든 3차원 실수 리 대수는 단순 리 대수 이거나 가해 리 대수 이다. 3차원 단순 리 대수는
실수 반단순 리 대수 는
s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sl}}(2;\mathbb {R} )}
와
o
(
3
;
R
)
≅
s
u
(
2
)
{\displaystyle {\mathfrak {o}}(3;\mathbb {R} )\cong {\mathfrak {su}}(2)}
두 개가 있다. 전통적으로
s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sl}}(2;\mathbb {R} )}
는 VIII형 ,
o
(
3
;
R
)
{\displaystyle {\mathfrak {o}}(3;\mathbb {R} )}
는 IX형 으로 불린다.
3차원 실수 가해 리 대수 는 아벨 리 대수의 반직접합
R
2
⊕
ψ
R
{\displaystyle \mathbb {R} ^{2}\oplus _{\psi }\mathbb {R}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작용
ψ
:
R
→
d
e
r
(
R
2
)
=
g
l
(
2
;
R
)
{\displaystyle \psi \colon \mathbb {R} \to {\mathfrak {der}}(\mathbb {R} ^{2})={\mathfrak {gl}}(2;\mathbb {R} )}
ψ
:
t
↦
t
ψ
(
1
)
{\displaystyle \psi \colon t\mapsto t\psi (1)}
는 2×2 실수 정사각 행렬
ψ
(
1
)
∈
g
l
(
2
;
R
)
{\displaystyle \psi (1)\in {\mathfrak {gl}}(2;\mathbb {R} )}
에 의하여 완전히 결정된다.
ψ
(
1
)
{\displaystyle \psi (1)}
과
α
M
−
1
ψ
(
1
)
M
{\displaystyle \alpha M^{-1}\psi (1)M}
(
α
∈
R
×
{\displaystyle \alpha \in \mathbb {R} ^{\times }}
,
M
∈
GL
(
2
;
R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GL} (2;\mathbb {R} )}
)는 동형인 반직접합을 결정하므로, 이러한 리 대수의 분류는 2×2 실수 정사각 행렬 의 닮음 분류로 귀결된다. 이는 다음과 같이
ψ
(
1
)
{\displaystyle \psi (1)}
의 조르당 표준형 으로 결정되며, 이들에는 전통적으로 I형 ~VII형 으로의 이름이 붙어 있다.
ψ
(
1
)
=
{
(
λ
1
λ
)
,
λ
∈
R
{
λ
=
0
II
λ
≠
0
IV
(
λ
1
0
0
λ
2
)
,
λ
1
,
λ
2
∈
R
,
λ
1
≤
λ
2
{
λ
1
=
λ
2
=
0
I
λ
1
=
λ
2
≠
0
V
λ
1
=
−
λ
2
≠
0
VI
0
λ
1
=
0
<
λ
2
∨
λ
1
<
λ
2
=
0
III
λ
1
≠
±
λ
2
,
λ
1
≠
0
≠
λ
2
VI
(
a
−
i
b
0
0
a
+
i
b
)
,
a
∈
R
,
b
∈
R
+
{
a
=
0
VII
0
a
≠
0
VII
{\displaystyle \psi (1)={\begin{cases}{\begin{pmatrix}\lambda &1\\&\lambda \end{pmatrix}},\;\lambda \in \mathbb {R} &{\begin{cases}\lambda =0&{\text{II}}\\\lambda \neq 0&{\text{IV}}\end{cases}}\\{\begin{pmatrix}\lambda _{1}&0\\0&\lambda _{2}\end{pmatrix}},\;\lambda _{1},\lambda _{2}\in \mathbb {R} ,\;\lambda _{1}\leq \lambda _{2}&{\begin{cases}\lambda _{1}=\lambda _{2}=0&{\text{I}}\\\lambda _{1}=\lambda _{2}\neq 0&{\text{V}}\\\lambda _{1}=-\lambda _{2}\neq 0&{\text{VI}}_{0}\\\lambda _{1}=0<\lambda _{2}\lor \lambda _{1}<\lambda _{2}=0&{\text{III}}\\\lambda _{1}\neq \pm \lambda _{2},\;\lambda _{1}\neq 0\neq \lambda _{2}&{\text{VI}}\end{cases}}\\{\begin{pmatrix}a-ib&0\\0&a+ib\end{pmatrix}},\;a\in \mathbb {R} ,\;b\in \mathbb {R} ^{+}&{\begin{cases}a=0&{\text{VII}}_{0}\\a\neq 0&{\text{VII}}\end{cases}}\end{cases}}}
이 가운데 I형 은 아벨 리 대수이며, II형 은 하이젠베르크 대수
h
(
3
;
R
)
{\displaystyle {\mathfrak {h}}(3;\mathbb {R} )}
이자 2차원 갈릴레이 대수
g
a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gal}}(2;\mathbb {R} )}
이다. 이 둘은 위 분류 가운데 유일한 멱영 리 대수 들이다. III형 은 직합
R
⊕
s
t
(
2
;
R
)
{\displaystyle \mathbb {R} \oplus {\mathfrak {st}}(2;\mathbb {R} )}
와 같다. V형 은 평면의 닮음 변환군(영어 : homothety , 평행 이동과 확대 변환으로 생성되는 군)의 리 대수
i
d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id}}(2;{\mathfrak {R}})}
이며, VI0 형 은 (1,1)차원 푸앵카레 대수
i
s
o
(
1
,
1
;
R
)
{\displaystyle {\mathfrak {iso}}(1,1;\mathbb {R} )}
와 같으며, VII0 형 은 2차원 유클리드 대수
i
s
o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iso}}(2;\mathbb {R} )}
와 같다. II형과 VI0 형은 3차원 다양체의 기하화 추측 의 8가지 기하 가운데 각각 영기하와 해기하에 대응한다. VI형 과 VII형 은 무한한 족을 이루며, 나머지는 모두 (동형 아래) 하나의 리 대수에 대응한다.
즉,
ψ
(
1
)
=
(
a
b
0
c
)
{\displaystyle \psi (1)={\begin{pmatrix}a&b\\0&c\end{pmatrix}}}
일 경우,
g
=
Span
{
x
,
y
,
t
}
{\displaystyle {\mathfrak {g}}=\operatorname {Span} \{x,y,t\}}
로 잡으면 그 리 괄호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t
,
x
]
=
a
x
{\displaystyle [t,x]=ax}
[
t
,
y
]
=
t
(
b
x
+
c
y
)
{\displaystyle [t,y]=t(bx+cy)}
형
다른 이름
단일 연결 리 군 의 중심
외부자기동형군
성질
I형
아벨 리 대수
R
3
{\displaystyle \mathbb {R} ^{3}}
R
3
{\displaystyle \mathbb {R} ^{3}}
GL
(
3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3;\mathbb {R} )}
아벨 리 대수
II형
하이젠베르크 대수
h
(
3
;
R
)
{\displaystyle {\mathfrak {h}}(3;\mathbb {R} )}
, 갈릴레이 대수
g
a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gal}}(2;\mathbb {R} )}
R
{\displaystyle \mathbb {R} }
GL
(
2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2;\mathbb {R} )}
멱영 리 대수
III형
R
⊕
s
t
(
2
;
R
)
{\displaystyle \mathbb {R} \oplus {\mathfrak {st}}(2;\mathbb {R} )}
R
{\displaystyle \mathbb {R} }
R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
가해 리 대수
IV형
0
R
×
(
Z
/
2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mathbb {Z} /2)}
V형
닮음 변환 대수
i
d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id}}(2;\mathbb {R} )}
{
M
∈
GL
(
2
;
R
)
:
det
M
=
±
1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GL} (2;\mathbb {R} )\colon \det M=\pm 1\}}
VI형
R
×
×
(
Z
/
2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times (\mathbb {Z} /2)}
VI0 형
푸앵카레 대수
i
s
o
(
1
,
1
;
R
)
{\displaystyle {\mathfrak {iso}}(1,1;\mathbb {R} )}
R
×
Dih
(
Z
/
4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operatorname {Dih} (\mathbb {Z} /4)}
VII형
R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
VII0 형
유클리드 대수
i
s
o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iso}}(2;\mathbb {R} )}
Z
{\displaystyle \mathbb {Z} }
R
×
×
(
Z
/
2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times (\mathbb {Z} /2)}
VIII형
특수 선형 대수
s
l
(
2
;
R
)
{\displaystyle {\mathfrak {sl}}(2;\mathbb {R} )}
Z
{\displaystyle \mathbb {Z} }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단순 리 대수
IX형
직교 대수 /유니터리 대수
o
(
3
;
R
)
≅
u
(
2
)
{\displaystyle {\mathfrak {o}}(3;\mathbb {R} )\cong {\mathfrak {u}}(2)}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1
3차원의 복소수 리 대수의 비앙키 분류는 실수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대수적으로 닫힌 체 이므로 더 간단하다.
3차원 복소수 단순 리 대수 의 경우,
o
(
3
;
C
)
≅
s
l
(
2
;
C
)
{\displaystyle {\mathfrak {o}}(3;\mathbb {C} )\cong {\mathfrak {sl}}(2;\mathbb {C} )}
하나밖에 없다. 이는 전통적으로 VIII/IX형 으로 불린다.
3차원 복소수 가해 리 대수 의 경우, 마찬가지로 2×2 복소수 행렬의 조르당 표준형 의 분류로 귀결되는데, 이 경우 VI형과 VII형이 같아지며, VI0 형과 VII0 형이 같아진다.
ψ
(
1
)
=
{
(
λ
1
λ
)
,
λ
∈
C
{
λ
=
0
II
λ
≠
0
IV
(
λ
1
0
0
λ
2
)
,
λ
1
,
λ
2
∈
C
{
λ
1
=
λ
2
=
0
I
λ
1
=
λ
2
≠
0
V
λ
1
=
−
λ
2
≠
0
VI
0
/
VII
0
λ
1
=
0
≠
λ
2
∨
λ
1
≠
λ
2
=
0
III
λ
1
≠
±
λ
2
,
λ
1
≠
0
≠
λ
2
VI
/
VII
{\displaystyle \psi (1)={\begin{cases}{\begin{pmatrix}\lambda &1\\&\lambda \end{pmatrix}},\;\lambda \in \mathbb {C} &{\begin{cases}\lambda =0&{\text{II}}\\\lambda \neq 0&{\text{IV}}\end{cases}}\\{\begin{pmatrix}\lambda _{1}&0\\0&\lambda _{2}\end{pmatrix}},\;\lambda _{1},\lambda _{2}\in \mathbb {C} &{\begin{cases}\lambda _{1}=\lambda _{2}=0&{\text{I}}\\\lambda _{1}=\lambda _{2}\neq 0&{\text{V}}\\\lambda _{1}=-\lambda _{2}\neq 0&{\text{VI}}_{0}/{\text{VII}}_{0}\\\lambda _{1}=0\neq \lambda _{2}\lor \lambda _{1}\neq \lambda _{2}=0&{\text{III}}\\\lambda _{1}\neq \pm \lambda _{2},\;\lambda _{1}\neq 0\neq \lambda _{2}&{\text{VI}}/{\text{VII}}\end{cases}}\end{cases}}}
레비 분해에 따라, 리 대수의 분해는 가해 리 대수 의 분류로 귀결된다. 임의의 표수 의 체 위의, 4차원 이하의 리 대수는 그뢰브너 기저 를 사용하여 최근에 완전히 분류되었다.[ 6] [ 7] [ 8]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자명한 가군
{
0
}
{\displaystyle \{0\}}
위에, 자명한 리 괄호
[
0
,
0
]
=
0
{\displaystyle [0,0]=0}
를 준다면 이는 리 대수를 이룬다. 이는 리 대수의 범주의 영 대상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가군
V
{\displaystyle V}
위에 자명한 리 괄호
[
a
,
b
]
=
0
{\displaystyle [a,b]=0}
을 준다면 이 역시 리 대수를 이룬다. 이를 아벨 리 대수 (영어 : Abelian Lie algebra )라고 한다.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실수체 이거나 복소수체 라면, 이는 실수 또는 복소수 아벨 리 군 의 리 대수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단위 결합 대수
(
A
,
⋅
)
{\displaystyle (A,\cdot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A}
위에 다음과 같이 리 괄호를 환 교환자 로 정의하면,
A
{\displaystyle A}
는 리 대수를 이룬다.
[
a
,
b
]
=
a
⋅
b
−
b
⋅
a
{\displaystyle [a,b]=a\cdot b-b\cdot a}
특히,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들은 행렬 곱셈에 대하여 단위 결합 대수를 이루며, 이에 대한 리 대수는 일반 선형 대수
g
l
(
n
;
K
)
{\displaystyle {\mathfrak {gl}}(n;K)}
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결합 대수 가 아닐 수 있는)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A
{\displaystyle A}
위의 미분 들의 집합을
d
e
r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
라고 쓰자.
d
e
r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
위에 다음과 같은 리 괄호를 교환자 로서 정의하자.
[
δ
,
δ
′
]
=
δ
∘
δ
′
−
δ
′
∘
δ
{\displaystyle [\delta ,\delta ']=\delta \circ \delta '-\delta '\circ \delta }
그렇다면
[
δ
,
δ
′
]
{\displaystyle [\delta ,\delta ']}
역시 미분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이 리 괄호에 대하여
d
e
r
(
A
)
{\displaystyle {\mathfrak {der}}(A)}
는
K
{\displaystyle K}
-리 대수를 이룬다.
리 대수의 모임은 대수 구조 다양체 이므로, 자유 리 대수 (영어 : free Lie algebra )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S
{\displaystyle S}
위의 자유 리 대수를
L
(
S
)
{\displaystyle L(S)}
라고 하고,
S
{\displaystyle S}
위의 자유 단위 결합 대수 (=텐서 대수 , 비가환 다항식 대수)를
K
⟨
S
⟩
{\displaystyle K\langle S\rangle }
라고 하자. 그렇다면
L
(
S
)
{\displaystyle L(S)}
는 자연스럽게
K
⟨
S
⟩
{\displaystyle K\langle S\rangle }
의 부분 집합을 이루며,
K
⟨
S
⟩
{\displaystyle K\langle S\rangle }
는
L
(
S
)
{\displaystyle L(S)}
의 보편 포락 대수 이다.
L
(
S
)
{\displaystyle L(S)}
는
K
⟨
S
⟩
{\displaystyle K\langle S\rangle }
속의,
S
{\displaystyle S}
로 생성되는 부분 리 대수이다.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들의 벡터 공간
Vect
M
{\displaystyle \operatorname {Vect} M}
은 리 미분 에 대하여 리 대수를 이룬다.
리 군
G
{\displaystyle G}
위의, 왼쪽 불변 벡터장들은 리 대수
Lie
G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G}
를 이룬다. 즉,
Lie
G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G}
는
Vect
G
{\displaystyle \operatorname {Vect} G}
의 부분 리 대수로 생각할 수 있다.
심플렉틱 다양체
(
M
,
ω
)
{\displaystyle (M,\omega )}
위의 매끄러운 함수
f
,
g
∈
C
∞
(
M
,
R
)
{\displaystyle f,g\in {\mathcal {C}}^{\infty }(M,\mathbb {R}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푸아송 괄호 를 정의하자.
{
f
,
g
}
=
ω
−
1
(
d
f
,
d
g
)
{\displaystyle \{f,g\}=\omega ^{-1}(df,dg)}
그렇다면 이는 야코비 항등식 을 만족시키며, 따라서
C
∞
(
M
,
R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R} )}
는
R
{\displaystyle \mathbb {R} }
-리 대수를 이룬다.
{
f
,
−
}
{\displaystyle \{f,-\}}
의 꼴로 나타내어지는 벡터장 을 해밀턴 벡터장 이라고 하며, 해밀턴 벡터장의 리 미분 은 푸아송 괄호 와 일치한다. 즉,
C
∞
(
M
,
R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R} )}
는 해밀턴 벡터장 들로 구성된
Vect
M
{\displaystyle \operatorname {Vect} M}
의 부분 리 대수로 생각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푸아송 다양체
(
M
,
{
,
}
)
{\displaystyle (M,\{,\})}
가 주어졌을 때,
C
∞
(
M
,
R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R} )}
는
R
{\displaystyle \mathbb {R} }
-리 대수를 이룬다.
표수가 0인 체
K
{\displaystyle K}
위의 형식적 멱급수환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K[[x_{1},\dots ,x_{n}]]}
을 생각하자. 이 가환환 위의 미분 은
n
{\displaystyle n}
차원 공간 위의 형식적 벡터장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미분들의 집합
Der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r} K[[x_{1},\dots ,x_{n}]]}
은 리 대수를 이룬다.
Der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r} K[[x_{1},\dots ,x_{n}]]}
의 부분 리 대수를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 (영어 : Lie algebra of formal vector fields )라고 한다.[ 9]
두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
g
⊆
Der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mathfrak {g}}\subseteq \operatorname {Der} K[[x_{1},\dots ,x_{n}]]}
가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K[[x_{1},\dots ,x_{n}]]}
의 자기 동형 을 통해 관련된다면, 서로 좌표 변환 아래 동치 (영어 : equivalent under coordinate transformation )라고 한다.
X
∈
Der
K
[
[
x
1
,
…
,
x
n
]
]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Der} K[[x_{1},\dots ,x_{n}]]}
의 차수 는 다음과 같다.
ord
X
=
−
1
+
min
i
=
1
n
ord
X
(
x
i
)
∈
{
−
1
,
0
,
1
,
2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X=-1+\min _{i=1}^{n}\operatorname {ord} X(x_{i})\in \{-1,0,1,2,\dots \}}
여기서 우변에서
ord
(
x
n
(
c
+
O
(
x
)
)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left(x^{n}(c+O(x))\right)=n}
이다. 이렇게 형식적 벡터장의 차수를 정의한다면,
ord
[
X
,
Y
]
≥
ord
X
+
ord
Y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X,Y]\geq \operatorname {ord} X+\operatorname {ord} Y}
가 된다. 따라서,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속에서, 차수가 0 이상인 원소들의 부분 벡터 공간
g
0
⊆
g
{\displaystyle {\mathfrak {g}}_{0}\subseteq {\mathfrak {g}}}
는 부분 리 대수를 이룬다.
L
0
{\displaystyle L_{0}}
의
L
{\displaystyle L}
속의 여차원 은
n
{\displaystyle n}
이하이다. 만약
L
0
{\displaystyle L_{0}}
의 여차원 이
n
{\displaystyle n}
이라면,
L
{\displaystyle L}
을 추이적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 (영어 : transitive Lie algebra of formal vector fields )라고 한다.
1차원 공간 위의 유한 차원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는 모두 분류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무한 족과 하나의 예외가 있다.
⟨
x
i
∂
x
⟩
{\displaystyle \langle x^{i}\partial _{x}\rangle }
,
i
=
0
,
1
,
2
,
3
,
…
{\displaystyle i=0,1,2,3,\dots }
. 이는 1차원 아벨 리 대수 이다.
⟨
x
∂
x
,
x
i
∂
x
⟩
{\displaystyle \langle x\partial _{x},x^{i}\partial _{x}\rangle }
,
i
=
0
,
2
,
3
,
4
,
…
{\displaystyle i=0,2,3,4,\dots }
. 이는 2차원 비아벨 가해 리 대수 이다.
⟨
∂
x
,
x
∂
x
,
x
2
∂
x
⟩
{\displaystyle \langle \partial _{x},x\partial _{x},x^{2}\partial _{x}\rangle }
. 이는 3차원 단순 리 대수 이며, 2차원 특수 선형 대수
s
l
(
2
;
K
)
{\displaystyle {\mathfrak {sl}}(2;K)}
와 동형이다.
이 가운데 추이적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는
⟨
∂
x
⟩
{\displaystyle \langle \partial _{x}\rangle }
,
⟨
∂
x
,
x
∂
x
⟩
{\displaystyle \langle \partial _{x},x\partial _{x}\rangle }
,
⟨
∂
x
,
x
∂
x
,
x
2
∂
x
⟩
{\displaystyle \langle \partial _{x},x\partial x,x^{2}\partial _{x}\rangle }
세 개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계수의 2차원 공간 위의 유한 차원 추이적 형식적 벡터장 리 대수들은 소푸스 리 가 분류하였다.[ 9] 실수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사한 분류가 존재한다.[ 10]
표수 0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반단순 리 대수 는 모두 분류되었다. 반단순 리 대수는 단순 리 대수들의 직합이며, 단순 리 대수는
a
n
{\displaystyle {\mathfrak {a}}_{n}}
,
b
n
{\displaystyle {\mathfrak {b}}_{n}}
,
c
n
{\displaystyle {\mathfrak {c}}_{n}}
,
d
n
{\displaystyle {\mathfrak {d}}_{n}}
4개의 무한 족과
e
6
{\displaystyle {\mathfrak {e}}_{6}}
,
e
7
{\displaystyle {\mathfrak {e}}_{7}}
,
e
8
{\displaystyle {\mathfrak {e}}_{8}}
,
f
4
{\displaystyle {\mathfrak {f}}_{4}}
,
g
5
{\displaystyle {\mathfrak {g}}_{5}}
5개의 예외 단순 리 대수로 분류된다.
표수 0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반단순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속에 카르탕 부분 대수
h
⊂
g
{\displaystyle {\mathfrak {h}}\subset {\mathfrak {g}}}
를 잡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mathfrak {a}}}
속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근계
Φ
⊂
h
∗
{\displaystyle \Phi \subset {\mathfrak {h}}^{*}}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단순 리 대수의 구조론에 따라
g
{\displaystyle {\mathfrak {g}}}
는
Span
Z
Φ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_{\mathbb {Z} }\Phi }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g
∈
g
{\displaystyle g\in {\mathfrak {g}}}
의 등급은
(
deg
g
)
h
=
[
h
,
g
]
{\displaystyle (\deg g)h=[h,g]}
이다.
군
G
{\displaystyle G}
속의 한 중심렬
G
=
G
0
≥
G
1
≥
⋯
{\displaystyle G=G_{0}\geq G_{1}\geq \cdots }
이 주어졌다고 하자. 즉, 모든
i
∈
N
{\displaystyle i\in \mathbb {N} }
에 대하여
[
G
i
,
G
j
]
≤
G
i
+
j
{\displaystyle [G_{i},G_{j}]\leq G_{i+j}}
라고 하자. 그렇다면,
G
i
/
G
i
+
1
{\displaystyle G_{i}/G_{i+1}}
은 모두 아벨 군 을 이룬다. 이 몫군 들의 직합 을 생각하자.
L
=
⨁
i
=
0
∞
G
i
/
G
i
+
1
{\displaystyle L=\bigoplus _{i=0}^{\infty }G_{i}/G_{i+1}}
이는 자연스럽게 아벨 군 을 이룬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이 리 괄호를 군 교환자 로 정의하자.
[
x
G
i
,
y
G
j
]
=
x
−
1
y
−
1
x
y
G
i
+
j
{\displaystyle [xG_{i},yG_{j}]=x^{-1}y^{-1}xyG_{i+j}}
그렇다면, 이는 자연수 등급이 붙은 등급 리 환을 이룬다.
점을 가진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호모토피 군
π
k
(
X
)
{\displaystyle \pi _{k}(X)}
위에는 화이트헤드 괄호 라는 다음과 같은 쌍선형 이항 연산 이 존재한다.
[
,
]
:
π
k
(
X
)
×
π
l
(
X
)
→
π
k
+
l
−
1
(
X
)
{\displaystyle [,]\colon \pi _{k}(X)\times \pi _{l}(X)\to \pi _{k+l-1}(X)}
이는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시키며, 반대칭이지만, 일반적으로 교대 형식을 이루지 않는다.[ 11] 만약 여기서 꼬임 부분군 에 대한 몫을 취하면 리 대수를 얻는다. 구체적으로,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에서 유리수 계수의 호모토피 군
g
k
=
π
k
−
1
(
X
;
Q
)
{\displaystyle {\mathfrak {g}}_{k}=\pi _{k-1}(X;\mathbb {Q} )}
을 생각하면, 이는 화이트헤드 괄호 아래 유리수 계수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소푸스 리 가 리 군 을 다루기 위하여 도입하였으며, "무한소군"(영어 : infinitesimal group )으로 일컬었다. 빌헬름 킬링 은 1888년~1890년 동안 반단순 리 대수 의 분류를 제창하였고, 1894년에 엘리 카르탕 이 킬링의 분류를 엄밀하게 증명하였다.[ 12] 1898년에 루이지 비앙키 는 3차원 이하의 리 대수의 비앙키 분류를 제시하였다.[ 4]
1930년대에 헤르만 바일 이 "리 대수"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아도 정리는 이고리 드미트리예비치 아도(러시아어 : И́горь Дми́триевич Адо́ )가 1935년에 증명하였다.[ 1] 레비 분해 정리는 1950년에 에우제니오 엘리아 레비(이탈리아어 : Eugenio Elia Levi )가 증명하였다.[ 3]
↑ 가 나 Адо, Игорь Дмитриевич (1935). “О представлении конечных непрерывных групп помощью линейных подстановок”. 《Известия Физико-математ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при Казанском университете》 (러시아어) 7 : 1–43.
↑ Адо, Игорь Дмитриевич (1947). “Представление алгебр Ли матрицами” . 《Успехи математических наук》 (러시아어) 2 (6): 159–173. ISSN 0042-1316 . MR 0027753 .
↑ 가 나 Levi, Eugenio Elia (1950). “Sulla struttura dei gruppi finiti e continui” . 《Atti della Reale Accademia delle Scienze di Torino》 (이탈리아어) 40 : 551–565. JFM 36.0217.02 .
↑ 가 나 Bianchi, L. (1898). “Sugli spazii a tre dimensioni che ammettono un gruppo continuo di movimenti”. 《Memorie di Matematica e di Fisica della Società Italiana delle Scienze》 (이탈리아어) 11 : 267.
↑ Glas, Manuel; Konstantis, Panagiotis; Krause, Achim; Loose, Frank (2014). “Bianchi’s classification of 3-dimensional Lie algebras revisited” (영어). arXiv :1403.2278 . Bibcode :2014arXiv1403.2278G .
↑ Patera, J.; Zassenhaus, H. (1990년 5월). “The construction of solvable Lie algebras from equidimensional nilpotent algebras”.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33 : 89–120. doi :10.1016/0024-3795(90)90243-6 . ISSN 0024-3795 .
↑ Patera, J.; Zassenhaus, H. (1990년 12월). “Solvable Lie algebras of dimension ≤4 over perfect fields”.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42): 1. doi :10.1016/0024-3795(90)90251-7 . ISSN 0024-3795 .
↑ de Graaf, W. A. (2005). “Classification of solvable Lie algebras” . 《Experimental Mathematics》 (영어) 14 (1): 15–25. arXiv :math/0404071 . Bibcode :2004math......4071D . doi :10.1080/10586458.2005.10128911 . ISSN 1058-6458 . MR 2146516 . Zbl 05122031 .
↑ 가 나 Draisma, Jan (2012년 4월). “Transitive Lie algebras of vector fields: an overview”. 《Qualitative Theory of Dynamical Systems》 (영어) 11 (1): 39–60. arXiv :1107.2836 . Bibcode :2011arXiv1107.2836D . doi :10.1007/s12346-011-0062-9 . ISSN 1575-5460 .
↑ González-López, Artemio; Kamran, Niky; Olver, Peter J. (1992). “Lie algebras of vector fields in the real plane” (PDF) .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64 (2): 339–368. doi :10.1112/plms/s3-64.2.339 . ISSN 0024-6115 .
↑ Uehara, Hiroshi; Massey, William S. (1957). 〈The Jacobi identity for Whitehead products〉. 《Algebraic geometry and topology. A symposium in honor of S. Lefschetz》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1–377쪽. MR 0091473 .
↑ Cartan, Élie (1894). “Sur la structure des groupes de transformations finis et continus” (프랑스어). 파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Librairie Nony et Cie . JFM 25.0638.02 .
Erdmann, Karin; Mark J. Wildon (2006). 《Introduction to Lie Algebras》 . Springer Undergraduate Mathematics Series. Springer. doi :10.1007/1-84628-490-2 . ISBN 978-1-84628-040-5 . ISSN 1615-2085 .
Iachello, Francesco (2006). 《Lie Algebras and Applications》. Lecture Notes in Physics 708 . Springer. doi :10.1007/3-540-36239-8 . ISBN 978-3-540-36236-4 . ISSN 0075-8450 .
Hall, Brian C. (2003). 《Lie Groups,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s: An Elementary Introductio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222 . Springer. arXiv :math-ph/0005032 . doi :10.1007/978-0-387-21554-9 . ISBN 978-0-387-40122-5 . ISSN 0072-5285 .
Serre, Jean-Pierre (1992). 《Lie Algebras and Lie Groups: 1964 Lectures given at Harvard University》.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1500 2판. Springer. doi :10.1007/978-3-540-70634-2 . ISBN 978-3-540-55008-2 . ISSN 0075-8434 .
Steeb, Willi-Hans (2007년 7월). 《Continuous Symmetries, Lie Algebras, Differential Equations and Computer Algebra》 2판. World Scientific. ISBN 978-981-270-809-0 .
Varadarajan, V.S. (1974). 《Lie Groups, Lie Algebras, and Their Representation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102 . Springer. doi :10.1007/978-1-4612-1126-6 . ISBN 978-0-387-90969-1 . ISSN 0072-5285 .
Boza, Luis; Fedriani, Eugenio M.; Núñez, Juan; Tenorio, Ángel F. (2013). “A historical review of the classifications of Lie algebras” (PDF) . 《Revista de la Unión Matemática Argentina》 (영어) 54 (2): 75–99.
Alekseevsky, Dmitri; Michor, Peter W.; Ruppert, Wolfgang (2000). “Extensions of Lie algebras” (영어). arXiv :math/0005042 . Bibcode :2000math......5042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