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 방진
조합론에서 라틴 방진(Latin方陣, 영어: Latin square)은 각 행과 열이 각각 주어진 알파벳의 문자를 모두 중복되지 않게 포함하는 정사각 행렬이다.[1]
정의
[편집]라틴 방진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 라틴 방진은 특별한 성질을 갖는, 기호들로 구성된 일종의 정사각 행렬이다.
- 라틴 방진은 특별한 성질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집합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 정의는 행렬을 통한 정의보다 더 대칭적이지만, 조금 덜 직관적이다.
- 라틴 방진은 유한 유사군으로 여겨질 수 있다.
행렬을 통한 정의
[편집]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알파벳 에 대한 라틴 방진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 원소를 성분으로 하는, 정사각 행렬
이다.
- 각 행은 의 모든 원소를 (정확히 하나씩) 포함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각 열은 의 모든 원소를 (정확히 하나씩) 포함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순서쌍을 통한 정의
[편집]알파벳 를 생각하자.
크기 의 라틴 방진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이다.
- 이다.
- 의 서로 다른 두 원소는 세 성분 가운데 임의의 두 개 만으로도 구별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며, 이며, 이다.
이 정의는 행렬을 통한 정의와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행렬 이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순서쌍 집합은
이다.
대수적 정의
[편집]크기 의 라틴 방진은 집합 위에 정의된, 다음 두 조건을 따르는 이항 연산
이다.
- (왼쪽 역원의 존재)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오른쪽 역원의 존재)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즉, 라틴 방진의 개념은 유한 유사군의 개념과 사실상 동치이다.
이 경우, 에 대응되는 행렬은
이며, 마찬가지로 에 대응되는 순서쌍 집합은
이다.
연산
[편집]동위 라틴 방진
[편집]임의의 라틴 방진 이 주어졌다고 하자.
- 의 행들의 순열을 취해도 라틴 방진을 이룬다. 즉, 임의의 순열 에 대하여, 역시 라틴 방진이다.
- 의 열들의 순열을 취해도 라틴 방진을 이룬다. 즉, 임의의 순열 에 대하여, 역시 라틴 방진이다.
- 의 각 성분에 의 순열을 취해도 라틴 방진을 이룬다. 즉, 임의의 순열 에 대하여, 역시 라틴 방진이다.
만약 같은 알파벳 위의 두 라틴 방진을 위와 같은 연산들을 가하여 같게 만들 수 있다면, 이 두 라틴 방진이 서로 동위(同位, 영어: isotopic)라고 한다.
이에 따라, 알파벳 가 전순서 집합일 때, 임의의 -라틴 방진에 순열을 가해 첫 행과 첫 열이 둘 다 순서대로 배열되게 놓을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이를 표준형 라틴 방진(標準型Latin方陣, 영어: normal-form/standard-form/reduced Latin square)이라고 한다.
켤레 라틴 방진
[편집](순서쌍으로 표현된) 라틴 방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크기 3의 집합 위의 순열 에 대하여, 순서쌍 집합
역시 라틴 방진을 이루며, 이 경우 과 이 서로 켤레(영어: conjugate)라고 한다.
특히, 예를 들어 일 경우 이는 행렬 표현에서 정사각 행렬의 전치 행렬을 취하는 것에 해당한다.
직교성
[편집]같은 크기의 두 라틴 방진 ,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각 칸에서 두 라틴 방진의 성분이 각각 다른 순서쌍을 이룬다면, 즉 만약
라면, 과 이 서로 직교(直交, 영어: orthogonal)라고 하며,
으로 표기한다.
같은 크기의 라틴 방진의 집합 에 대하여, 만약 임의의 에 대하여 일 경우 일 때, 을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영어: set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약자 MOLS)이라고 한다. 특히, 크기가 2인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 즉 직교하는 두 라틴 방진의 순서쌍 을 직교 라틴 방진 (쌍)(直交Latin方陣順序雙, 영어: (pair of) orthogonal Latin square(s)) 또는 그레코라틴 방진(Greco-Latin方陣, 영어: Greco–Latin square)이라고 한다.
성질
[편집]라틴 방진의 수
[편집]라틴 방진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주어진 크기 의 라틴 방진의 수(즉, 넷째 열)는 표준형 라틴 방진의 수(즉, 셋째 열) × 이다.
크기 n | 라틴 방진의 동위류의 수 (OEIS의 수열 A40082) |
표준형 라틴 방진의 수 (OEIS의 수열 A315) |
모든 라틴 방진의 수 (OEIS의 수열 A2860) |
---|---|---|---|
0 | 1 | 1 | 1 |
1 | 1 | 1 | 1 |
2 | 1 | 1 | 2 |
3 | 1 | 1 | 12 |
4 | 2 | 4 | 576 |
5 | 2 | 56 | 161 280 |
6 | 22 | 9 408 | 812 851 200 |
7 | 564 | 16 942 080 | 61 479 419 904 000 |
8 | 1 676 267 | 535 281 401 856 | 108 776 032 459 082 956 800 |
9 | 115 618 721 533 | 377 597 570 964 258 816 | 5 524 751 496 156 892 842 531 225 600 |
10 | 208 904 371 354 363 006 | 7 580 721 483 160 132 811 489 280 | 9 982 437 658 213 039 871 725 064 756 920 320 000 |
11 | 12 216 177 315 369 229 261 482 540 | 5 363 937 773 277 371 298 119 673 540 771 840 | 776 966 836 171 770 144 107 444 346 734 230 682 311 065 600 000 |
크기 의 라틴 방진의 수를 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물론, 크기 의 표준형 라틴 방진의 수는 이다. (일 경우, 좌변에서 로 놓으며, 우변에서 0개의 항의 곱은 1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에 대한 공식이 존재한다.[2]
여기서
직교 라틴 방진의 존재
[편집]임의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서로 직교하는 두 라틴 방진을 찾을 수 있다.
- 이다.
다시 말해, 2×2 및 6×6을 제외한 다른 모든 크기에서는 직교 라틴 방진 쌍이 존재한다.
보아 일반적으로, 일 때, 크기 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의 크기는 항상 이하이다. 또한, 만약 이 소수의 거듭제곱일 때 (즉, 만약 크기 의 유한체가 존재할 때) 이 상계는 포화된다. 구체적으로, 크기 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은 크기 의 유한 사영 평면의 존재와 동치이다.
각 에 대하여,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의 최대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1438)
크기 | 상호 직교 라틴 방진 집합의 최대 크기 |
---|---|
0 | ∞ |
1 | ∞ |
2 | 1 |
3 | 2 |
4 | 3 |
5 | 4 |
6 | 1 |
7 | 6 |
8 | 7 |
9 | 8 |
예
[편집]크기 3 이하의 (유일한) 표준형 라틴 방진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응용
[편집]역사
[편집]최석정(1646~1715)은 1710년~1715년 경 출판된 것으로 여겨지는 수학서 《구수략》[3]에서 서로 직교인 9×9 라틴 방진 쌍 및 (서로 직교가 아닌) 두 개의 10×10 라틴 방진을 수록하였다.[4] 최석정은 두 10×10 라틴 방진을 각각 백자자수음양착종도(白子子數陰陽錯綜圖) · 백자모수음양착종도(白子母數陰陽錯綜圖)라고 명명하였으며, 9×9 직교 라틴 방진을 구구모수변궁양도(九九母數變宮陽圖)라고 명명하였다.
프랑스의 수학자 자크 오자낭(프랑스어: Jacques Ozanam, 1640~1718)은 1694년에 각종 수학 퍼즐이 수록된 책을 출판하였다.[5] 이후 오자낭의 사후 1778년에 장에티엔 몽튀클라(프랑스어: Jean-Étienne Montucla, 1725~1799)가 이를 편집하고 새 퍼즐들을 추가하여 재출판하였으며, 이 개정판에는 (제1판에 수록되지 않았던) 4×4 직교 라틴 방진에 해당하는 퍼즐이 수록되어 있다.[6] 개정판 4권에 수록된 산수 퍼즐 29번은 플레잉카드의 4개의 슈트(◆, ♥, ♠, ♣)에 속하는, 숫자 대신 라틴 문자가 달린 카드(킹 K, 퀸 Q, 잭 J, 에이스 A)를 사용하여 직교 라틴 방진을 구성하는 것이었으며, 책에 수록된 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9년에 집필되고 1782년에 출판된 논문[7]에서, 만약 일 경우 서로 직교하는 라틴 방진의 쌍이 존재함을 증명하였으며, 또한 이것이 직교하는 라틴 방진의 쌍이 존재할 필요 충분 조건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논문[7]에서 이러한 조합론적 구조를 다룰 때, 알파벳의 원소를 (그리스 문자 대신) 라틴 문자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꼴이다.
a b c c a b b c a
마찬가지로, “그레코라틴 방진”이라는 용어는 오일러가 두 라틴 방진의 원소를 각각 라틴 문자와 그리스 문자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꼴이다.
aα bγ cβ cγ aβ bα bβ cα aγ
이 논문에서 오일러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
§1. 매우 흥미로운 한 문제가 […] 내게 아래와 같은 연구를 개시할 동기를 부여하였다 […]. 이 문제는 36인의 장교에 대한 것이다. 이들은 6개의 서로 다른 계급을 가지며, 6개의 서로 다른 연대에 속한다. 이들은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배열하여, 각 행과 각 열이 각각 6인의, 서로 다른 계급과 연대에 속하는 장교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 문제에 많은 노력을 할애한 뒤, 나는 이러한 배열이 (비록 이를 엄밀히 증명할 수는 없지만) 절대로 불가능함을 인정한다.
|
” |
— [7]:85–86, §§1–2
|
1901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가스통 타리(프랑스어: Gaston Tarry, 1843~1913)는 서로 직교하는 두 6×6 라틴 방진이 존재할 수 없음을 엄밀히 증명하여, 오일러의 추측의 일부를 확인하였다.[8]
그러나 1959년에 라지 찬드라 보스와 샤라드찬드라 샨카르 슈리칸데(힌디어: शरदचंद्र शंकर श्रीखंडे, 영어: Sharadchandra Shankar Shrikhande)는 서로 직교하는 22×22 라틴 방진의 존재를 증명하였다.[9] 곧 보스와 슈리칸데와 어니스트 틸던 파커(영어: Ernest Tilden Parker, 1926~1991)는 1960년에 10 이상의 모든 수에 대하여 오일러의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하였다.[1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eedwell, A. Donald; Denes, József (2015). 《Latin squares and applications》 (영어) 2판. North-Holland. doi:10.1016/B978-0-444-63555-6.50016-7. Zbl 1318.05001.
- ↑ Shao, Jia-yu; Wei, Wan-di (1992년 12월 11일). “A formula for the number of Latin squares”. 《Discrete Mathematics》 (영어) 110 (1–3): 293–296. doi:10.1016/0012-365X(92)90722-R.
- ↑ 崔錫鼎 (1715?). 《九數略》 (중국어).
- ↑ 김성숙; 강미경 (2010년 8월).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 (PDF). 《한국수학사학회지》 23 (3): 21–31. 2019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8일에 확인함.
- ↑ Ozanam, Jacques (1694). 《Recreations mathematiques et physiques, qui contiennent Pluſieurs Problêmes d’Arithmetique, utiles & agreables, de Geometrie, d’Optique, de Gnomonique, de Coſmographie, de Mecanique, de Pyrotechnie, & de Phyſique. Avec un Traitè nouveau des Horloges Elementaires》 (프랑스어). 파리: Chez Jean Jombert.
- ↑ Ozanam, Jacques (1778). 《Recreations mathematiques et physiques, ou l’on traite. Des Phoſphores naturels & artificiels, & des lampes perpétuelles. Diſſertation phyſique & chymique. Avec l’explication des tours de gibeciere, de gobelets, & autres récréatifs & divertiſſans》 (프랑스어) 2판. 파리: Chez Claude Jombert.
- ↑ 가 나 다 Euler, Leonhard (1782). “Recherches sur une nouvelle espèce de quarrés magiques”. 《Verhandelingen uitgegeven door het zeeuwsch genootschap der wetenschappen te Vlissingen》 (프랑스어) 9: 85–239. 2020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9일에 확인함.
- ↑ Tarry, Gaston (1901년 8월 4일). “Le problème des 36 officiers”. 《Association française pour l’avancement des Sciences, Paris, Comptes-rendus de la 29° session, Deuxième partie: Notes et mémoires》 (프랑스어): 170-203.
- ↑ Bose, Raj Chandra; Shrikhande, Sharadchandra Shankar (1959년 5월 1일). “On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about the non-existence of two orthogonal Latin squares of order 4t+2”.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영어) 45 (5): 734–737. ISSN 0027-8424. JSTOR 90214. PMC 222625. Zbl 0085.00902.
- ↑ Bose, Raj Chandra; Shrikhande, Sharadchandra Shankar; Parker, Ernest Tilden (1960). “Further results on the construction of mutually orthogonal Latin squares and the falsity of Euler’s conjecture”. 《Canadi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12: 189–203. doi:10.4153/CJM-1960-016-5. ISSN 0008-414X. Zbl 0093.31905.
외부 링크
[편집]- “Latin squar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Latin rectang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Orthogonal Latin square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Latin squar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Partial Latin squar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Latin rectangl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Euler squar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Euler’s Graeco-Roman squares conjectur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36 Officer Probl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Latin square”.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