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광역시
2009년 대구
2009년 대구
시기 휘장
대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대구
대구
북위 35° 52′ 17″ 동경 128° 36′ 05″ / 북위 35.87139° 동경 128.60139°  / 35.87139; 128.60139
행정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행정 구역7구 2군
청사 소재지동인청사: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1] 산격청사: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
시장홍준표(국민의힘)
지리
면적1,499.52km2[2]
해발49 m
인문
인구2,364,334(11월 기준)(2024년)
인구 밀도1,576.75명/㎢
지역어동남 방언
상징
시목전나무
시화목련
시조독수리
지역 부호
지역번호053,054(군위군)
ISO 3166-2KR-27
웹사이트https://www.daegu.go.kr/index.do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영어: Daegu Metropolitan City)는 대한민국의 동남부인 경상북도 지방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이다. 2024년 11월 기준 면적은 1,499.52㎢로 대한민국 광역시 중 가장 넓다.

조선시대에는 경상감영 소재지로서 경상도의 중심지였다. 일제강점기 말 대구는 서울, 평양, 부산에 이어 네 번째로 주요 도시가 되었다. 20세기에는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도시가 성장하였다. 1950년 6.25 한국전쟁이 터지자 임시정부가 대구로 이전하여 임시수도의 역할을 하였다. 21세기에는 2023년 7월 1일에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고, 총 7개 구[3]와 2개 군[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편집]

선사시대

[편집]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구석기시대의 유물인 좀돌날 석기가 포함된 유적의 발굴로 미루어 대략 2만~1만년 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대구의 옛 이름엔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대구(大丘) 등이 있다. 모두 어딘가 비슷한 이름인데 한자의 뜻과는 관계없는 고유어의 음차이며, 이 가운데 물론 달구벌과 대구(大丘)가 가장 유명하다.
  • 달구벌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한 설명은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 '달구'의 '달'에 "높다", "크다"의 의미가 있고, 신라의 계림사상에서 기원된 새로움 혹은 철기 문화의 상징인 '닭'에서 유래하였다는 연구자료가 있다. 그래서 달구벌은 대체로 '크고 넓은 벌판'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 선사시대 달구화(達句火)[5], 달구벌(達句伐), 달불(達弗), 달성(達城)으로 성읍이 형성되었다.
  • 청동기시대 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대구의 지방조직 변천
- 달구벌
5C말~6C초
양주 위화군 달구화현
757년
양주 수창군 대구현
940년
영남도 수성군 대구현
1018년
영남도 경산부 대구현
1394년
경상도 대구현
1419년
경상도 대구군
1466년
경상도 대구도호부
1895년
대구부 대구군
1896년
경상북도 대구군
1910년
경상북도 대구부
1949년
경상북도 대구시
1981년
대구직할시 -
1995년
대구광역시 -
  • 940년(고려 태조 23년) 수창군을 수성군으로 개칭하였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수성군·장산군·해안현(解顔縣)과 대구현·화원현(花園縣)·팔리현(八里縣)·하빈현(河濱縣)으로 행정 계통이 양분되었다. 대구현 등은 성주군 관하에 두었다.
  • 1143년(고려 인종 21년) 대구현이 현령관으로 승격하여 하빈현, 화원현을 영속하였다.
  • 1203년(고려 신종 6년) 무신정권기에 부인사 승려의 반무신란이 있었다.
  • 1232년(고려 고종 19년)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팔공산 부인사대장경을 소실하였다.
  • 1255년(고려 고종 42년) 공산성에서 항몽 투쟁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대구도호부의 영역이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구, 서구, 동구(안심동 제외), 북구(옛 칠곡동 지역 제외), 수성구(고산동 제외), 달서구, 달성군(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제외), 청도군 각북면, 풍각면, 각남면에 이를 정도로 넓었다.

  • 1899년(광무 3년) (광무 3년) 7월 대구 최초 근대 중등교육기관 달성학교(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 계승, 1950년 경북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로 분리, 1970년 경북중학교 폐교, 현 경운중학교 계승)가 설립되었다.
  • 1902년(광무 6년) 애덤스 선교사에 의해 신명여자소학교가 여성교육기관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 1905년(광무 9년) 달성공원이 조성되었다.
  • 1906년(광무 10년) 9월 24일 대구군 소속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은 청도군으로 이속하였다.[9]
  • 1906년(광무 10년) 10월 대구읍성 성벽이 대구군수 겸 관찰사 서리였던 박중양에 의해 황제의 윤허없이 철거되었다.[10] 또한, 경상감영의 선화당 정남쪽에 위치했던 포정문(布政門)의 문루인 관풍루를 지금의 달성공원으로 옮겼다.[11]
  • 1906년(광무 10년) 일제 통감부 이사청이 설치되었다.
  • 1907년(광무 11년) 2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 1907년(광무 11년) 대구 첫 영화관 금좌(錦座)가 현재 태평로2가에 문을 열어 12년 동안 번창하였다.
  • 1907년(광무 11년) 애덤스 선교사의 부인 부르엔(Marda Bruen)에 의해 여자중등학교로 신명여학교가 문을 열였다.[12]
  • 1908년(융희 2년) 경상감영의 객사와 주요 건물이 파괴되었고, 약령시를 현재 남성로로 이전하였다.
  •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로 부임한 박중양은 이른바 십자도로(포정동에서 서문로에 이르는 동서 도로와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 도로)를 개통하였으며, 공사비는 국고에서 지원됐다.[10]
대구부 휘장

일제강점기에 대구는 일본어로 다이큐(일본어: 大邱, たいきゅう)라고 불렀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부 명치정1·2정목, 본정1·2정목, 서성정1·2정목, 경정1·2정목, 원정1·2정목, 금정1·2정목, 동성정1~3정목 대구부 계산동1·2가, 서문로1·2가, 서성로1·2가·종로1·2가·북성로1·2가·태평로2·3가·동성로1~3가
대구부 팔운정, 수정(壽), 시장정, 북내정, 횡정, 시장북통, 서내정, 남성정, 수정(竪), 달성정, 팔중원정, 덕산정, 대화정, 동천대전정, 서천대전정, 동운정, 행정, 궁정, 삼립정, 남용강정, 북용강정, 남정, 동본정, 남욱정, 북욱정, 전정(田), 전정(前), 영정, 봉산정, 촌상정, 칠성정, 상정, 동문정, 상서정, 하서정, 신정, 남산정, 대봉정 대구부 수창동, 수동, 동산동, 북내동, 서야동, 시장북로, 서내동, 남성로, 인교동, 달성동, 도원동, 덕산동, 대안동, 동일동, 장관동, 동인동, 태평로1가, 사일동, 삼덕동, 공평동, 완전동, 남일동, 교동, 문화동, 상덕동, 화전동, 전동, 용덕동, 봉산동, 향촌동, 칠성동, 포정동, 동문동, 상서동, 하서동, 대신동, 남산동, 대봉동
미국의 대한군사원조(AFAK)를 통한 자재 원조로 지어진 대구시청사 감사식(1955년)

※ 이후의 행정구역 변경에 대한 내용은 각 구별 문서로 대신한다.

대구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막식
대구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막식

지리

[편집]

대구광역시는 한반도 동남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이다. 대구는 영남 지방 내륙 지방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의성군, 칠곡군, 남쪽으로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과 경계를 접한다.

동성로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하고 있다.

지형

[편집]
대구광역시 (지산동과 범물동)

대구는 높고 규모가 큰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는 팔공산(1,193m)의 산줄기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비슬산(1,084m)의 높은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하천으로는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북쪽에서 금호강과 합쳐진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기후

[편집]

대구는 전체적인 강수량이 적은 소우지이다. 최고기록기온이 40˚C, 최저기록기온이 -20.2˚C에 달한 적이 있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높은 편이다. 1942년에 기록한 40도는 관측 이래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최고 기온 기록이기도 하다. 이런 특수한 기후로 인해 지리적 기후 구분으로는 남부 내륙 중에서도 '대구 특수형 기후'에 속한다.[31] 또한,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대구의 기후는 온대 하우 기후(Cwa)를 띄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대구광역시 (대구지방기상청, 동구 효목동[32])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6.5
(61.7)
24.4
(75.9)
26.9
(80.4)
32.0
(89.6)
37.4
(99.3)
38.0
(100.4)
39.7
(103.5)
40.0
(104.0)
37.5
(99.5)
31.8
(89.2)
26.6
(79.9)
20.8
(69.4)
40.0
(104.0)
일평균 최고 기온 °C (°F) 5.9
(42.6)
8.8
(47.8)
14.2
(57.6)
20.6
(69.1)
25.7
(78.3)
28.7
(83.7)
30.8
(87.4)
31.3
(88.3)
27.0
(80.6)
22.0
(71.6)
14.9
(58.8)
7.9
(46.2)
19.8
(67.6)
일일 평균 기온 °C (°F) 1.1
(34.0)
3.5
(38.3)
8.4
(47.1)
14.5
(58.1)
19.7
(67.5)
23.4
(74.1)
26.3
(79.3)
26.7
(80.1)
22.1
(71.8)
16.2
(61.2)
9.4
(48.9)
3.0
(37.4)
14.5
(58.1)
일평균 최저 기온 °C (°F) −2.9
(26.8)
−1.1
(30.0)
3.3
(37.9)
8.8
(47.8)
14.1
(57.4)
18.8
(65.8)
22.8
(73.0)
23.1
(73.6)
18.0
(64.4)
11.4
(52.5)
4.8
(40.6)
−1.2
(29.8)
10.0
(50.0)
역대 최저 기온 °C (°F) −20.2
(−4.4)
−16.4
(2.5)
−10.9
(12.4)
−6.0
(21.2)
1.8
(35.2)
7.8
(46.0)
11.3
(52.3)
12.3
(54.1)
6.2
(43.2)
−2.0
(28.4)
−8.6
(16.5)
−15.2
(4.6)
−20.2
(−4.4)
평균 강수량 mm (인치) 18.6
(0.73)
25.4
(1.00)
49.0
(1.93)
70.6
(2.78)
77.9
(3.07)
129.2
(5.09)
223.9
(8.81)
245.3
(9.66)
142.4
(5.61)
50.1
(1.97)
29.7
(1.17)
18.7
(0.74)
1,080.8
(42.55)
평균 강수일수 (≥ 0.1 mm) 4.5 4.7 7.1 8.2 8.8 9.4 13.9 13.4 9.3 5.2 5.1 4.4 94.0
평균 강설일수 4.2 2.2 1.4 0.1 0.0 0.0 0.0 0.0 0.0 0.0 0.5 3.0 11.4
평균 상대 습도 (%) 51.4 49.8 49.8 50.8 55.8 63.8 71.7 72.2 69.3 62.8 58.2 53.3 59.1
평균 월간 일조시간 195.5 188.6 210.8 220.2 232.6 175.1 153.0 156.6 164.0 206.2 183.9 189.4 2,275.9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07년~현재)[33][34]

지질

[편집]

행정

[편집]
대구광역시청 본관 전경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대구광역시의 행정구역

대구광역시는 7개 와 2개 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12월 31일 주민등록 인구는 1,070,873세대 2,417,055명이다.[35]

자치구·군 한자 세대 인구 (명) 면적 (km2)
중구 中區 40,749 80,965 7.06
동구 東區 159,422 341,326 182.15
서구 西區 81,116 159,827 17.32
남구 南區 76,401 141,519 17.43
북구 北區 192,697 436,173 93.99
수성구 壽城區 171,480 413,180 76.53
달서구 達西區 235,883 547,387 62.37
달성군 達城郡 113,125 268,788 428.36
군위군 軍威郡 13,693 23,796 614.31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1,084,566 2,412,961 1,499.52
2023년 기준[36]

경북권

[편집]

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1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의 별표 1(대도시권의 범위(제2조관련))에 의하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구미시, 영천시, 경산시, 의성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경상남도창녕군이 경북권으로 규정되어 있으면 2026년 7월 대구경북이 통합된다.

주거 지구

[편집]
대구시 범물지구
범물지구

택지개발사업은 대구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주택 시민에게 양질의 택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수도·전기·통신·도시가스·난방 등 생활기반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고, 공원·학교·녹지·운동장 등 공공시설과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도시공사 시행 대한주택공사 시행 한국토지공사 시행 한국토지주택공사 시행
지산지구 (1992년)
범물지구 (1993년)
상인지구 (1994년)
노변지구 (1995년)
시지지구 (1997년)
용산지구 (1998년)
장기지구 (1999년)
동서변지구 (2002년)
죽곡1지구 (2007년)
죽곡2지구 (2010년)
등촌지구 (2014년)
각산지구 (2015년)
불로지구 (1986년)
송현지구 (1987년)
월배지구 (1987년)
안심1지구 (1987년)
천내1지구 (1988년)
천내2지구 (1990년)
월성지구 (1992년)
칠곡1지구 (1993년)
칠곡2지구 (1994년)
안심2지구 (1994년)
성서지구 (1997년)
대곡지구 (1997년)
칠곡3지구 (2000년)
명곡1지구 (2001년)
동호지구 (2002년)
명곡2지구 (2002년)
본리지구 (2004년)
칠곡4지구 (2005년)
율하1지구 (2008년)
매천지구 (2008년)
율하2지구 (2009년)
금호지구
신서지구
옥포지구 (2016년)
연경지구 (2018년)

비전

[편집]

대구광역시의 일반행정은 대구광역시청이, 유·초·중등교육행정은 대구광역시교육청이 담당한다.

시청은 동인청사와 산격청사로 나눠져 있는데, 동인청사의 소재지는 중구 동인동 1가이고, 산격청사는 산격동의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치안

[편집]

대구경찰청은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경찰 치안대를 가동시키기로 했다. 2021년 대한민국 치안률 순위 1위 도시에 지정되었다.[37]

환경지수

[편집]

2020년 기준 세계 공기질 지수에서 대구광역시가 전국에서 가장 공기질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도시임에도 녹지 조성을 활발히 한 공로로 친환경 도시가 조성된 결과이다.[38] 대구는 1996년부터 이어온 ‘도시 식히기’ 정책으로 여름 기온을 관리해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바로 문희갑 시장 시절 시작된 ‘푸른대구 가꾸기’다. 대구시는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심에 나무 3677만 3958그루를 심었다. 사업비로 현금 1조 2142억원을 들인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해 2016년에 성사시켰다.[39]

첨단기술

[편집]
대구광역시 미래비전 2030
비전 World Smart Leader, DAEGU
목표 Again! 대한민국 대도약의 심장

첨단기술과 휴머니즘의 도시

글로벌 Top 30 도시

추진방향 글로벌 미래산업 허브 월드클래스 대도시권의 중심 시민이 행복한 도시 공동체
핵심사업
  • 제조업 스마트 혁신
  • 5+α 신산업 연구·생산기지
  • 4차 산업혁명 생태계 조성
  • 글로벌 게이트웨이
  • 1,000만 대구대도시권 구축
  • 대도시권 중심도시 역량 강화
  • 대구 케어 프로젝트
  • 스마트 & 세이프 시티
  • 시민 학습문화도시

인구

[편집]

대구광역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40][41]

연도 총인구 인구그래프 비고
1925년 76,534명
1930년 93,319명
1935년 107,414명
1940년 178,923명 1938년 달성군 수성면·달서면·성북면이 대구부로 편입
1944년 206,638명
1949년 313,705명
1955년 487,252명
1960년 676,692명 1958년 달성군 동촌면·성서면·월배면·가창면·공산면이 대구시로 편입
1966년 845,189명 1963년달성군 성서면·월배면·가창면·공산면에 해당하는 법정동이 달성군으로 환원 (가창면 파동 제외)
1970년 1,063,553명
1975년 1,310,768명
1980년 1,604,934명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
1985년 2,029,853명 1981년 7월 1일 달성군 성서읍·월배읍·공산면, 경산군 안심읍·고산면, 칠곡군 칠곡읍이 대구직할시로 편입
1990년 2,229,040명
1991년 2,238,146명 1990년까지는 상주인구조사 결과, 1991년 이후는 주민등록인구통계(외국인 포함)
1992년 2,286,305명
1993년 2,315,353명
1994년 2,346,956명
1995년 2,485,977명 경상북도 달성군 편입
1996년 2,490,960명
1998년 2,504,645명
1999년 2,517,203명
2000년 2,538,212명
2001년 2,539,587명
2002년 2,540,647명
2003년 2,544,811명
2004년 2,539,738명
2005년 2,525,836명
2006년 2,513,219명
2007년 2,512,670명
2008년 2,512,601명
2009년 2,509,187명
2010년 2,532,077명
2011년 2,529,285명
2012년 2,527,566명
2013년 2,524,890명
2014년 2,518,467명
2015년 2,513,970명
2016년 2,511,050명
2017년 2,501,673명
2018년 2,489,802명
2019년 2,468,222명
2020년 2,446,144명
2021년 2,412,642명

2024년 10월 기준 대구광역시의 인구수는 2,364,8922이다.

교육

[편집]
대구광역시 교육기관 (2022년)
학교별 대학교 전문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 특수학교 기타
학교수 805 4 8 94 125 233 327 11 3
학생수 383,550 60,657 46,077 58,653 61,847 121,515 32,850 1,829 122
교원수 27,843 2,188 950 6,436 5,435 9,097 2,942 708 87
자료 : 2023 시정현황[42]

교육 수준

[편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평가하길 대구 수성구는 2010년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수능 순위 1위~2위를 기록했다.[43][44][45]

문화

[편집]

2020년 4월, 한국관광공사는 야간관광 100선으로 대구의 ‘아양기찻길’, ‘앞산공원’, ‘수성못’, ‘서문시장 야시장’을 선정하였다.[46] 대구시는 대한민국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선정된 5개 장소를 비롯하여 숨겨진 야간 관광 자원들을 적극 발굴해 육성하기로 했다.[47]

상징

[편집]

대구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목련(1972년 7월 18일 지정), 나무는 전나무(1972년 7월 18일 지정), 새는 독수리(1983년 7월 1일 지정)이다.

축제

[편집]

대구광역시 대표 축제에는 컬러풀대구페스티벌, 국제오페라축제, 치맥페스티벌, 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 있다. 컬러풀대구페스티벌은 매년 5월에 열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시민축제로 다양한 문화 예술 체험행사와 화려한 퍼레이드를 자랑하는 대구만의 페스티벌이다.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선정된 대구는 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을 통해 대구시민은 물론 세계인과 함께 뮤지컬을 향유할 수 있도록 2006년부터 매해 개최하고 있다. 국제뮤지컬페스티벌은 대한민국 유일의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이다. 치맥페스티벌은 대구를 대표하는 치킨과 맥주를 모토로 탄생한 페스티벌이다. 매년 1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고, 치킨과 맥주 그리고 체험 공간까지 있어, 관광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페스티벌이다. 「대구국제오페라축제」는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개관을 계기로 하여 매년 9~10월경에 열리며, 지역의 풍부한 음악적 역량을 활용하고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타 도시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대구광역시가 개최하고 있다.

문화재

[편집]
대구광역시 문화재 현황(2018) Archived 2018년 9월 3일 - 웨이백 머신
종별 총계 국가지정문화재 시지정문화재
소계 국보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국가민속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소계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분화재 등록문화재 문화재자료
265 87 3 66 9 2 5 2 114 76 17 17 4 11 53

시티투어

[편집]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2일 시작된 시티투어는 각종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현장 등을 순회하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 등을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순환코스

[편집]

정기코스

[편집]

공원

[편집]
두류공원
두류공원
공원명 위치 주요시설
달성공원 중구 달성동 ㆍ달구벌 토성, 향토역사관, 동물원, 관풍루, 최재우동상

ㆍ달성서씨, 유허비, 어린이 헌장비 등

경상감영공원 중구 포정동 ㆍ조선조 경상감영이 있었던 곳

ㆍ선화당, 징청각, 통일종각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중구 동인동 ㆍ달구벌대종, 도서관, 영상시설, 화합의 광장, 명언의 오솔길

ㆍ국채보상운동기념관

2·28기념 중앙공원 중구 동인동 ㆍ중앙분수, 실개천, 청소년광장
앞산공원 남구 대명동 ㆍ낙동강 승전기념관, 충혼탑, 안일사, 은적사

ㆍ케이블카, 승마장, 심신수련장

두류공원 달서구 성당동 ㆍ야외공연장, 대구문화예술회관, 관광정보센터, 두류도서관, 이월드

ㆍ인물동산, 두류야구장, 두류수영장, 유도관, 테니스장

팔공산자연공원 동구 도학동 동화사, 파계사, 부인사, 갓바위, 북지장사, 야영장(3개소)

ㆍ통일약사대불, 팔공스카이라인, 집단시설지구(3개소) , 시민안전테마파크 등

비슬산자연공원 달성군 유가읍 용연사, 유가사, 대견사, 대견봉

ㆍ참꽃군락지, 천연기념물 제435호 비슬산 암괴류

대구 12경

[편집]

대구광역시가 선정한 대구 12경으로 팔공산, 비슬산, 강정고령보(디아크), 신천, 수성못, 달성토성, 경상감영공원, 국채보상기념공원, 동성로, 서문시장, 그리고 대구스타디움이 있다.

요리

[편집]

한우육회, 납작만두, 야끼우동, 중화비빔밥, 석쇠불고기(북성로), 뭉티기, 막창구이, 곱창구이(안지랑) 등이 대구광역시에서 유명한 음식이다.

대구 10미

[편집]

대구광역시 10미에는 육개장, 막창 구이, 뭉티기(소 생고기), 동인동 찜갈비, 논메기매운탕, 복어불고기, 누른국수, 무침회, 야끼우동, 납작만두가 있다.

교통

[편집]

대구는 버스와 도시철도가 주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외부 지역 및 국가와는 철도, 버스, 항공 등으로 연결된다.

도로

[편집]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난다. 이상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도시고속화도로로 확충되어 있다.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영천상주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버스

[편집]
  • 시외버스 :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버스 등급은 급행·순환·간선·지선·출근 등급이다.
  • 시내버스 : 수입금의 분배는 대구광역시에서 맡아 하고, 버스의 운행은 개별 회사가 맡아 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버스 운임은 다음과 같다.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4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급행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800원, 청소년 1,300원, 어린이 8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65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65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 모두 최초 교통 수단의 하차부터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 수단으로 갈아탈 경우 무료/할인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 시스템)

도시철도

[편집]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2018년)

택시

[편집]

중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4,0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10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소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8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5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5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경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2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2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 나드리콜 : 대구시에서 중증장애인, 만65세이상의 사람으로서 대중교통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콜택시이다. 기본요금이 1,000원이고 거리당 요금이 책정되며, 시내는 최대 3,300원 시외는 최대 6,600원이 한도이다.

철도

[편집]

대구역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KTXSRT동대구역서대구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2024년 12월 20일부터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어 군위역으로 이전 통합되었다.

  • 대경선 : 2018년 4월 구미 ~ 경산 구간 공사에 들어가고 2024년 12월 14일에 개통했다. 2, 3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밀양과 김천까지 공사를 할 계획이고 서대구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건설해 KTX와 SRT가 개통된다.
동대구역 광장
동대구역

공항

[편집]
대구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동구 지저동에 대구국제공항이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항공편은 매년 동계항공기간이 끝나면 대폭 늘어난다. 대구공항에서는 국내선 제주․김포 2개 노선이 매주 215편 운항하고 있으며, 국제선은 매주 중국(상하이, 베이징, 싼야) 24편,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오키나와, 구마모토, 사가) 177편, 동남아(홍콩, 세부, 방콕, 타이베이, 다낭, 마카오, 하노이) 148편, 대양주(괌) 14편,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14편이 운항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

항공노선
구분 노선명 운항편수 취항 항공사 비고
국내선(3) 대구-인천 4편/일 대한항공
대구-제주 32편/일 대한, 아시아나, 티웨이, 제주, 에어부산
대구-김포 2편/일 에어부산
국제선(23) 중국 대구-상하이 7편/주 中동방항공
대구-베이징 3편/주 제주항공
대구-선양 2편/주 대한항공
대구-싼야 4편/주 에어부산
일본 대구-구마모토 3편/주 티웨이항공항공
대구-가고시마 3편/주 제주항공
대구-도쿄 35편/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대구-오사카 36편/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후쿠오카 28편/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대구-삿포로 14편/주 에어부산
대구-오키나와 8편/주 티웨이항공
동남아 대구-홍콩 6편/주 티웨이항공
대구-타이베이 23편/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타이거에어, 제주항공
대구-세부 12편/주 티웨이항공
대구-다낭 42편/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비엣젯항공
대구-나트랑 2편/주 제주항공
대구-클라크 3편/주 티웨이항공
대구-하노이 7편/주 티웨이항공
대구-마카오 5편/주 제주항공
대구-방콕 14편/주 티웨이항공
대양주 대구-괌 7편/주 티웨이항공
유럽 대구-블라디보스톡 3편/주 티웨이항공

경제

[편집]

2012년 대구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38조 7,00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2.4%이다. 2013년 대구광역시의 1인당 개인소득은 16개 시도 중 6번째로 상위권이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1,538만원으로 울산 1,916만원, 서울 1,869만원, 부산 1,618만원, 대전 1,576만원, 제주 1,564만원에 이어 16개 시ㆍ도중 6번째로 높았다. 시ㆍ도 전체 명목 개인소득은 796조원으로 1년 전보다 30조원(3.9%)이 늘었다. 실질 지역 내 총생산 성장률(경제성장률)도 3.8%로 전국 5위를 나타냈다. 이밖에 대구의 지역 총소득은 52조 6,000억원으로 전국의 3.7%를 차지했으며 지역 내 총생산 대비 지역 총소득 비율은 117.3 수준이었다.[48][49]

2018년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 규모는 50조 8,000억원으로 전국의 2.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당 개인소득은 2,060만원으로 증가했다.[50]

국세청의 재산 보유현황 '2020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대구에는 1만6천명, 경북에는 7천명의 부호가 살고 있다. 대구는 서울(16만2천명), 경기(7만7천명), 부산(2만5천명)에 이어 네 번째로 부호가 많은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부호'는 35만4천명이다.[51]

산업

[편집]

농업

[편집]

대구의 농업은 1995년 달성군과의 도농 통합으로 비중이 높아졌다. 2015년 기준 농가호수는 16,571호, 농가인구는 44,542명, 농경지면적은 8.291ha이다. 낙동강과 금호강을 끼고 있는 달성군 지역에서 쌀이 많이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근교농업과 낙농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상업

[편집]

대구는 옛날부터 교통의 요충지에 있어 영남지방 상권의 중심지로 발달하였고, 조선시대에 이미 전국 3대 시장의 하나인 서문시장과 약령시가 이름을 떨쳤다. 2017년 기준 대구에는 9개의 백화점과 21개의 대형마트, 7개의 쇼핑센터, 151개소의 등록시장, 1개의 종합유통단지가 있다.

대구광역시 유통시설
계(단위: 개소) 백화점 쇼핑센터 대형마트 전문점 등록시장 그밖의

대규모점포

207 9 7 21 4 151 15
주요 전통시장
시장명 소재지 점포수(단위: 개)
서문시장 중구 국채보상로 380일원 3,817
칠성시장 북구 칠성시장로 28일원 996
팔달시장 북구 팔달로 37길 11일원 900
서남(신)시장 달서구 달구벌대로 329길 17일원 196
봉덕(신)시장 남구 봉덕로 27길 16일원 323
종합유통단지
구분 전시컨벤션센터 도매단지 기업관 물류단지 지원시설 공공시설용지
면적(㎡) 837,721.1 79,966.0 165,102.6 56,449.2 160,588.3 50,470.8 325,144.2
업체수 2,977 32 2,538 217 108 82 -

공업

[편집]

대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내륙공업지역으로 주종산업인 섬유·금속·기계 공업 부문을 통해 지속 성장해 왔다. 과거 섬유업체 수가 전채 사업체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섬유공업에 편중된 구조였으나. 2017년 대구시 전체 산업단지 내 업체 수는 기계·금속공장이 3,882개소로 섬유공장 1,736개소보다 비중이 크다.

산업 단지

[편집]
산업단지 명 위치(구·군) 면적(천m2) 업체수 등급 비고
성서산업단지 달서구, 달성군 다사읍 10,835 2,566 지방 1, 2, 3, 4, 5차
달성산업단지 달성군 논공읍, 구지면 6,820 316 지방 1, 2차
대구염색산업단지 서구 비산7동 855 124 지방 비산염색공단
검단산업단지 북구 검단동 796 323 지방
옥포농공단지 달성군 옥포읍 160 38 농공
구지농공단지 달성군 구지면 193 23 농공
제3공단 북구 노원동 1,094 991 일반
서대구공단 서구 상중이동 2,417 533 일반
현풍공단 달성군 현풍읍 265 8 일반
대구 사이언스 파크 달성군 구지면 265 8 국가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동구 신서동 1,030 0 국가 2009~2038년

미래 신성장 산업

[편집]

대구는 미래첨단의료 선도도시, 미래형 자동차 선도도시, ICT․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조성,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통한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첨단 의료

[편집]

의료산업 분야는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 15개, 의료기업 130개, 양질의 일자리 창출 4,300개, 의료관광객 유치 25,000명을 목표로 「메디시티 대구」 조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글로벌 수준 발전과 의료관광의 확대 등을 통해 대구를 세계적인 메디시티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대구 소재 한국뇌연구원-첨단장비센터
대구 소재 한국뇌연구원-첨단장비센터
의료기관 현황(2017년)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방병원 한의원 조산원 부설의원
3,667 4 8 112 61 1 1,714 18 868 2 871 - 8

미래형 자동차

[편집]

미래형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상용차 생산공장 건립 투자협약, 대동공업-르노삼성 컨소시엄을 통한 1톤급 전기상용차 개발 및 생산 확정,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단지 지정(국토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로서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2017년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
2017년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

스마트시티

[편집]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혁신플랫폼인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하기 위하여 ICT·IoT(사물인터넷) 융합기술 경쟁력확보, SW융합 산업육성, ICT융복합스포츠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인프라 건설과 운영체계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그 결과 2020년 1월 22일 영국 왕립 표준협회(BSI)로부터 스마트시티국제표준 인증서 ISO 37106 인증을 받았다.

스마트시티국제표준은 2018년 ‘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마련한 기준으로, BSI가 비전, 시민중심, 디지털, 개방 및 협력 등 4개 기준에 맞는 도시에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한국 내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대구가 처음으로 ISO인증을 받았다.

대구 2017 대한민국ICT융합엑스포
대구 2017 대한민국ICT융합엑스포

신재생 에너지

[편집]

대구광역시는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 20% 이상, 에너지 소비 15% 절감 목표로 에너지 신사업 Test-bed 구축. 분산전원 및 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대구 2017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대구 2017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생활

[편집]

안전 도시

[편집]

2020년 대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시국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52] 철저한 방역과 치료를 통해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53][54] 세계 부부의 날 위원회는 ‘2020 세계 부부의 날 국가 기념 행사’에서 대구시민 일동과 대구시 의료진(대구시의사회, 대구시간호사회)에게 ‘2020 올해의 특별 가족상’을 수상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의료진 등 모든 구성원들이 선진 시민 의식을 발휘해 한마음 한 뜻으로 뭉쳐 코로나19를 극복해 전세계로부터 찬사를 받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적을 창출했기에 특별 가족상의 취지와 부합한다”라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55]

청결 도시

[편집]

2020년 6월 11일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가정집 수도꼭지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대구 시내 수도관 전체를 세척할 계획을 발표했다.[56]

기업

[편집]

건설

[편집]

금융

[편집]

방송

[편집]

언론

[편집]

유통

[편집]

정치

[편집]

군사 기지

[편집]

한강 이남에서는 대전권(대전, 계룡, 논산, 세종)과 함께 주요 국방 도시이기도 하다.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등의 육군 부대와 공군 1방공유도탄여단, K2 공군비행장공군공중전투사령부, 중앙방공통제소, 공군군수사령부, 제11전투비행단 등과 주한 미군 부대 캠프 워커, 캠프 헨리가 대구에 주둔하고 있다.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전진기지 중 하나였으며 지금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수성구의 고산지구 개발을 위해 제50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를 칠곡군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57][58]

김범일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시정 당시에 이러한 군사보안 부분이 강화되어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보완하게 되었다.[59]

역대 시장

[편집]

스포츠

[편집]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K리그1 대구 FC, KBL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있다.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1982년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K리그1 대구 FC 2002년 DGB대구은행파크
KBL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1994년 대구실내체육관

출신 인물

[편집]

교류

[편집]

대구광역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 또는 우호협력 관계를 맺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당산로 176(두류3동)에 위치한 舊 두류정수장 부지가 신청사 건립 예정지다.
  2. “2019년 12월 31일 행정구역현황”. 《대구광역시 공식 홈페이지》. 
  3. “분류:대구광역시의 구”. 2023년 7월 19일. 
  4. “분류:대구광역시의 군”. 2023년 6월 6일. 
  5. 달구벌, 달구화, 달불 등은 모두 똑같은 한국말을 각기 다른 한자로 표기했을뿐인 차자표기다. 벌이란 벌판의 뜻으로 伐(벌), 弗(불) 등은 우리말 벌과 비슷한 소리를 빌려적은 음차표기, 火은 한자의 뜻인 <불>을 빌려적은 석차(釋借)표기다.
  6.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7)대구읍성(상)”. 2012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9일에 확인함. 
  7.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8. 칙령 제36호 (1896년 8월 4일)
  9. 칙령 제49호 (1906년 9월 24일)
  10.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8) 대구읍성(하)”. 2015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9일에 확인함. 
  11. <대구 자랑.3> 경상감영(慶尙監營)
  12. “스토리가 있는 대구 도심 (14) 동산 스토리 ③여성, 주인공으로 서다”. 2015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9일에 확인함. 
  13.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14.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1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2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대구면 팔운정 등 대구부 팔운정 등
    대구부 대구면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달성군 수성면 신천동·신암동
  16. 조선총독부령 제9호 (1917년 2월 15일) (53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9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일부, 봉덕동 일부 대구부 대봉정
  17.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81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성북면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대구부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대구부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대구부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18.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년 11월 2일)
  19.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20. 대구시 조례 제10호 (1951년 6월 9일)
  21.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 삼덕동, 칠성동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칠성동1가·칠성동2가
  22. 대구시 조례 제26호 (1953년 4월 1일)
  23.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24. (11출장소 148법정동)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동촌면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평리동 대구시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상동·하동·대천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월성동·월암동·대천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 대구시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덕산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 대구시 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공산출장소
    시조례 제108호 동명개칭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하동(동부출장소) 대구시 수성동
  25.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26. (5구 101법정동)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중부출장소) 대구시 중구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
    대구시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종로출장소) 대구시 중구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
    대구시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동부출장소)·파동 대구시 동구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파동
    대구시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대구시 동구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 → 동구 동촌출장소
    대구시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서부출장소) 대구시 서구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
    대구시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남부출장소) 대구시 남구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
    대구시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북부출장소)·서변동·동변동 대구시 북구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서변동·동변동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공산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
    대구시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
  27.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년 1월 27일)
  28.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81년 4월 13일)
  29.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30.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31.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807019500038/?did=1825m
  32. 1907년~1916년은 포정동 소재, 1916년~1937년은 덕산동 소재, 1937년~2013년은 신암동 소재, 2014년부터는 효목동 소재 관측소에서 관측
  3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구(143)”.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34.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구(143)”.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35. 대구광역시. “2023시정현황”. 《대구광역시》. 
  36. 대구광역시. “2023시정현황”. 《대구광역시》. 
  37. 강주헌, 기성훈 (2021년 3월 10일). "부자동네가 살기도 좋아" 대구 내 1위 도시는 'OO구'. 머니투데이. 2024년 7월 16일에 확인함. 
  38. “대구광역시 실시간 대기정보 시스템”. 
  39. “도시를 식히는 법, ‘대프리카’서 찾는다”. 
  40.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41. 대구광역시, 대구통계 http://stat.daegu.go.kr/
  42. 대구광역시. “2023시정현황”. 《대구광역시》. 
  43. “대구 수성구 소재 고교 6곳, 의대 합격 전국 30위권 ... 유명 학군지 명색 이어가”. 
  44. “대구 수능성적 전국 상위권…수성구 모든 영역 '두각'. 
  45. “전국 수능 만점자 4명 배출한 대구 경신고”. 
  46. 대구 김광석길 등 5곳 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 100선' 선정 매일경제 2020년 4월 19일
  47. "대구의 밤은 낮보다 아름답다" 대구시, 야간관광지 개발 나서 조선일보 2020년 6월 4일
  48. 대구 작년 개인소득 전국 6위·경제성장률 5위《대구일보》2014년 12월 25일 김명환 기자
  49. 수직상승한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대구신문》2014년 12월 25일
  50. “대구통계”. 
  51. “영남일보”. 
  52. 코로나19 확진자 가장 많은 대구, 경제적 타격도 가장 컸다 뉴스1 2020년 5월 21일
  53. 대구 코로나 완치율 95%, 방심은 금물이다 매일신문 2020년 5월 22일
  54. "방역 성공비결 궁금해"…외신, 권영진 시장 인터뷰 요청 쇄도 경북일보 2020년 4월 29일
  55. ‘코로나 극복’ 대구시민·의료진, 특별 가족상 수상 대구신문 2020년 5월 19일
  56. "안심하고 마셔도..." 대구 수도관 3년 주기로 전체 세척 조선일보 6월 11일
  57. 서민지 (2021년 12월 30일). “대구 수성구 제5군수지원사령부 이전 요구 '분출'...추진위 "대구시에 건의 예정". 영남일보.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58. 김윤기 (2022년 3월 28일). “대구 고산권 '50년 터줏대감' 5군지사…옮기자는 이유는?”. 메일신문.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59. 이채준 국장 (2014년 10월 30일). “[기획-업적평가]김범일 대구시장…공약이행도 67%”. 파이낸셜뉴스. 2024년 7월 16일에 확인함. 
  60. 1975년 이전에는 사이공이라 불리었음.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