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부 (1910년)
보이기
(대구군 (1895년)에서 넘어옴)
대구군(大邱郡, 1895년 - 1910년) 및 대구부(大邱府, 1910년 - 1914년)는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대구부(大邱府, 1895년 - 1896년) 및 경상북도(慶尙北道, 1896년 - )의 하부 행정구역이다. 일제는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조선의 지방제도의 대대적인 개편을 취한다. 부는 조선시대의 대구부(大邱府) 개념을 상속하는 개념으로 구획되었다. 대구부는 도시 지역의 대구면이 대구부로 승격하였고, 대구면을 제외한 면과 현풍군을 통합하여 농촌 지역의 달성군을 설치하여 개편되었다.
하부 행정구역
[편집]면(面) | 동(洞)·리(里) | 1914년 개편 |
---|---|---|
서상면(西上) | 전동(前), 후동(後), 남일동(南一), 신동(新), 달성동(達城), 쇄환동(刷還), 서내동(西內), 북내동(北內), 동산동(東山), 계산동(桂山), 남산동(南山), 남하동(南下), 남중동(南中), 남외동(南外) | 대구부(大邱)[1] |
동상면(東上) | 전동(前), 후동(後), 남일동(南一), 신동(新), 사일동(射一), 사이동(射二), 남성리(南城), 칠성리(七星), 신전리(薪田), 용덕리(龍德), 신상동(新上), 신천동(新川), 신하동(新下), 가암동(駕岩) | |
동중면(東中) | 침산동(砧山), 옥산동(玉山), 산격동(山格), 신기동(新基), 검단동(檢丹), 복현동(伏賢) | 성북면(城北) |
동하면(東下) | 동변동(東邊), 서변동(西邊), 이곡동(李谷), 연경동(硏經), 도덕동(道德) | |
해서촌면(解西村) | 상리동(上里), 덕산동(德山), 송정동(松亭), 도성동(道成), 택리동(宅里), 대거동(大渠), 중리동(中里), 신천동(新川), 용진동(龍津), 지묘동(智妙), 지산동(芝山), 연경동(硏經) | 공산면(公山) |
해북촌면(解北村) | 내동(內), 옥정동(玉井), 미대동(美垈), 구암동(九岩), 국곡동(局谷), 신기동(新基), 무산동(武山), 백안동(百安), 수대동(水臺), 상충동(上忠), 용천동(龍泉), 미곡동(米谷), 임전동(荏田), 목과동(木果), 내학동(內鶴), 외학동(外鶴), 도장동(道藏), 진정동(眞亭), 당동(唐), 인산동(仁山), 능성동(能城), 양방동(良方), 평리동(坪里), 북광동(北廣), 남광동(南廣) | |
해서부면(解西部) | 지저동(枝底), 도동(道), 상향동(上香), 하향동(下香), 입석동(立石), 도신동(道新), 불로동(不老), 현상동(縣上), 구성동(九成), 봉무동(鳳舞), 단산동(丹山), 독암동(獨岩), 외남동(外南) | 해안면(解顔) |
해동촌면(解東村) | 검사동(檢沙), 연천동(連川), 둔산동(屯山), 대암동(臺岩), 칠동(柒), 상동(上), 방촌동(芳村), 격양동(格陽), 부동(釜), 구명동(九明), 월천동(月川), 평리동(坪里), 신덕동(新德) | |
하수서면(下守西) | 금암동(琴岩), 대명동(大明), 덕산동(德山), 봉산동(鳳山) | 수성면(壽城) |
수동면(守東) | 두산동(斗山), 지산동(池山), 범물동(凡勿) | |
수북면(守北) | 황청동(黃靑), 소지천동(小只川), 범어동(泛魚), 효목동(孝睦), 검정동(檢汀), 만촌동(晩村), 각계동(覺界) | |
수현내면(守縣內) | 상동(上), 중동(中), 하동(下), 신동(新) | |
상수서면(上守西) | 파남동(巴南), 파북동(巴北), 용계동(龍溪), 음오동(陰梧), 양오동(陽梧), 매계동(梅溪), 대암동(大岩), 정대동(亭垈) | 가창면(嘉昌) |
하수남면(下守南) | 흥덕동(興德), 퇴계동(退溪), 신전동(薪田), 행정동(杏亭), 창산동(昌山), 박곡동(朴谷), 상원동(上院), 전평동(錢坪), 단산동(丹山), 대일동(大逸), 상촌동(上村), 중촌동(中村), 대천동(大川), 냉천동(冷泉) | |
상수남면(上守南) | 상백동(上白), 하백동(下白), 우록동(友鹿), 녹문동(鹿門), 금동(金), 옥분동(玉盆), 단양동(丹陽), 중주동(中蛛), 하주동(下蛛), 내주동(內蛛) | |
서중면(西中) | 원대동(院垈), 용천동(龍泉), 조야동(助也), 평리동(坪里), 내비동(內飛), 외비동(外飛), 노곡동(魯谷), 전암동(傳岩) | 달서면(達西) |
달서면(達西) | 감삼동(甘三), 성당동(聖堂), 내당동(內唐), 외당동(外唐), 상리동(上里), 괘이동(掛耳), 중리동(中里), 신기동(新基), 이현동(梨峴) | |
하동면(河東) | 이천동(伊川), 달천동(達川), 박곡동(朴谷), 방천동(坊川), 서재동(鋤齋), 내촌동(內村), 세천동(世川) | 다사면(多斯) |
하남면(河南) | 문산동(汶山), 문양동(汶陽), 서부곡동(西部谷), 부곡동(釜谷), 매곡동(梅谷), 죽곡동(竹谷), 강정동(江亭) | |
하서면(河西) | 감문동(甘文), 동곡동(桐谷), 우목동(友睦), 봉촌동(鳳村), 묘동(竗), 하산동(霞山), 적산동(赤山), 성곡동(城谷) | 하빈면(河濱) |
하북면(河北) | 현내동(縣內), 금천동(琴川), 기곡동(基谷), 성당동(聖堂), 무등동(武等), 겸동(鎌洞), 대평동(大坪), 지산동(池山), 두천동(豆川) | |
성서면(城西) | 파호동(巴湖), 파산동(巴山), 금회동(琴回), 호림동(狐林), 신당동(新塘), 이곡동(梨谷), 율제동(栗堤), 용상동(龍上), 용하동(龍下), 죽전동(竹田) | 성서면(城西) |
감물천면(甘勿川) | 갈산동(葛山), 장동(壯), 망정동(望亭), 장기동(長基), 본리동(本里), 감천동(甘泉), 작촌동(鵲村), 송현동(松峴) | |
월배면(月背) | 상인동(上仁), 채정동(蔡亭), 본리동(本里), 도덕동(道德), 도원동(桃源), 오복동(五福), 진천동(辰泉) | 월배면(月背) |
조암면(租岩) | 상동(上), 하동(下), 대천동(大泉) | |
인흥면(仁興) | 대곡동(大谷), 송정동(松亭), 본리동(本里), 쌍학동(雙鶴), 상리동(上里) | 화원면(花園)[2] |
화현내면(花縣內) | 구라동(九羅), 외촌동(外村), 부미동(富彌), 천내동(川內), 신기동(新基), 현내동(縣內), 성산동(城山), 서촌동(鼠村), 명곡동(椧谷), 현기동(縣基), 설화동(舌化) | |
옥포면(玉浦) | 간경동(干京), 본리동(本里), 대방동(大坊) | 옥포면(玉浦) |
법화면(法花) | 신당동(新塘), 교항동(橋項), 본리동(本里), 강림동(江林), 시저동(時杵) | |
성평곡면(省平谷) | 송촌동(松村), 김흥동(金興), 만수동(晩壽), 능전동(能田), 원전동(元田), 반송동(盤松), 기산동(岐山), 기세동(奇世) |
※ 1911년 11월 14일 서상면(西上)과 동상면(東上)을 통합해 대구면(大邱)을 설치하였다.
연결항목
[편집]이전의 행정구역 | 현재 | 문서 | 다음의 행정구역 |
---|---|---|---|
8도제 경상도 |
23부제 대구부 |
13도제 경상북도 | |
대구도호부 | 대구군 → 대구부 | 대구부 | |
달성군 | |||
현풍현 | 현풍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