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점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극점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함수f(x) = cos(3πx)/x, 0.1≤x≤1.1에서의 극값. 일부 극값은 최대/최솟값이기도 하다.
해석학 에서, 함수 의 극대점 (極大點, 영어 : local maximum point )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상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다. 극댓값 (極大값, 영어 : local maximum (value) )은 극대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마찬가지로, 함수의 극소점 (極小點, 영어 : local minimum point )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하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며, 극솟값 (極小값, 영어 : local minimum (value) )은 극소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극대점과 극소점을 통틀어 극점 (極點, 영어 : local extremum point )이라고 하며,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 (영어 : local extremum (value) )이라고 한다. 기하학적으로, 함수의 그래프 는 극대점에서 위로 우뚝 솟아있으며, 극소점에서 아래로 움푹 꺼져있다.
함수의 최대점 (最大點, 영어 : global maximum point )과 최소점 (最小點, 영어 : global minimum point )은 각각 정의역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상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다. 최댓값 (最大값, 영어 : global maximum (value) )과 최솟값 (最小값, 영어 : global minimum (value) )은 각각 최대점과 최소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최댓값과 최솟값은 극댓값과 극솟값보다 더 강한 개념이다.
극댓값·극솟값·최댓값·최솟값은 최적화 문제 등에서 응용된다.
함수
f
:
[
a
,
b
]
→
R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
의 그래프. 최소점은
A
{\displaystyle A}
, 최대점은
J
{\displaystyle J}
, 극소점은
E
{\displaystyle E}
,
G
{\displaystyle G}
, 극대점은
B
{\displaystyle B}
,
D
{\displaystyle D}
,
F
{\displaystyle F}
,
J
{\displaystyle J}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함수
f
:
X
→
R
{\displaystyle f\colon X\to \mathbb {R} }
그렇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x
∈
X
{\displaystyle x\in X}
의 근방
x
∈
U
⊆
X
{\displaystyle x\in U\subseteq X}
가 존재한다면,
x
{\displaystyle x}
를
f
{\displaystyle f}
의 극대점 이라고 하며,
f
(
x
)
{\displaystyle f(x)}
를
f
{\displaystyle f}
의 극댓값 이라고 한다.
임의의
y
∈
U
{\displaystyle y\in U}
에 대하여,
f
(
y
)
≤
f
(
x
)
{\displaystyle f(y)\leq f(x)}
마찬가지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x
∈
X
{\displaystyle x\in X}
의 근방
x
∈
U
⊆
X
{\displaystyle x\in U\subseteq X}
가 존재한다면,
x
{\displaystyle x}
를
f
{\displaystyle f}
의 극소점 이라고 하며,
f
(
x
)
{\displaystyle f(x)}
를
f
{\displaystyle f}
의 극솟값 이라고 한다.
임의의
y
∈
U
{\displaystyle y\in U}
에 대하여,
f
(
y
)
≥
f
(
x
)
{\displaystyle f(y)\geq f(x)}
또한,
x
∈
X
{\displaystyle x\in X}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x
{\displaystyle x}
를
f
{\displaystyle f}
의 최대점 이라고 하며,
f
(
x
)
{\displaystyle f(x)}
를
f
{\displaystyle f}
의 최댓값 이라고 한다.
임의의
y
∈
X
{\displaystyle y\in X}
에 대하여,
f
(
y
)
≤
f
(
x
)
{\displaystyle f(y)\leq f(x)}
마찬가지로,
x
∈
X
{\displaystyle x\in X}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x
{\displaystyle x}
를
f
{\displaystyle f}
의 최소점 이라고 하며,
f
(
x
)
{\displaystyle f(x)}
를
f
{\displaystyle f}
의 최솟값 이라고 한다.
임의의
y
∈
X
{\displaystyle y\in X}
에 대하여,
f
(
y
)
≥
f
(
x
)
{\displaystyle f(y)\geq f(x)}
또한, 위의 극댓값/극솟값/최댓값/최솟값의 정의에서
y
≠
x
{\displaystyle y\neq x}
인 경우에 한하여 부등호
≤
{\displaystyle \leq }
와
≥
{\displaystyle \geq }
를
<
{\displaystyle <}
와
>
{\displaystyle >}
로 대신하면, 엄격한 극댓값/극솟값/최댓값/최솟값 (嚴格한..., 영어 : strict ... )의 정의를 얻는다.
유계인 닫힌 구간에서 함수가 연속이면 최대 최소 정리 로 최대점,최소점은 항상 유일하게 존재한다.
극소점, 극대점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극대점, 극소점이 최대점, 최소점과 다를 수 있다.
공역 에 부분순서 가 존재하는 모든 함수가 극대, 극소를 판정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공역 이 실수 집합
R
{\displaystyle \mathbb {R} }
인 함수
f
:
U
⊂
R
n
→
R
{\displaystyle f:U\subset \mathbb {R} ^{n}\to \mathbb {R} }
를 생각하자.(여기서
U
{\displaystyle U}
는 열린집합이다.) 만약 이 함수가 미분가능 하고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값을 가진다면
D
f
(
x
0
)
=
0
{\displaystyle \mathbf {D} f\left(\mathbf {x} _{0}\right)=\mathbf {0} }
이다. 즉,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임계점 이다. 이렇게 임계점 을 통해 극값을 찾는 방법을 일계 도함수 판정법 이라고 한다. 이때 미분 계수가 0 이기 위해서는
1
{\displaystyle 1}
부터
n
{\displaystyle n}
까지의 모든
i
{\displaystyle i}
에 대해
∂
f
∂
x
i
=
0
{\displaystyle {\frac {\partial f}{\partial x_{i}}}=0}
임을 알 수 있다. 다만, 극값을 가지기 위해서는 임계점 이어야 하지만 임계점 이라고 모두 극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 그래프의 점 I나 점 K의 경우 임계점 이긴 하지만 극솟값이나 극댓값은 아니다.
n=1일 때
극댓값의 정의에 의하여
x
∈
I
⇒
f
(
x
)
≤
f
(
x
0
)
{\displaystyle x\in I\Rightarrow f\left(x\right)\leq f\left(x_{0}\right)}
를 만족하는
x
0
{\displaystyle x_{0}}
를 포함하는 어떤 개구간
I
{\displaystyle I}
가 존재한다. 개구간 은 열린 집합 이므로
(
x
0
−
δ
1
,
x
0
+
δ
1
)
∈
I
{\displaystyle \left(x_{0}-\delta _{1},x_{0}+\delta _{1}\right)\in I}
를 만족하는 어떤 양의 실수
δ
1
{\displaystyle \delta _{1}}
이 존재한다.
f
′
(
x
0
)
{\displaystyle f'\left(x_{0}\right)}
가 존재하므로 이를
K
{\displaystyle K}
라하자. 그렇다면
lim
h
→
0
f
(
x
0
+
h
)
−
f
(
x
0
)
h
=
lim
h
→
0
+
f
(
x
0
+
h
)
−
f
(
x
0
)
h
=
lim
h
→
0
−
f
(
x
0
+
h
)
−
f
(
x
0
)
h
=
K
{\displaystyle \lim _{h\to 0}{\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lim _{h\to 0^{+}}{\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lim _{h\to 0^{-}}{\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K}
이다.
0
<
h
<
δ
1
{\displaystyle 0<h<\delta _{1}}
일 때
f
(
x
0
+
h
)
−
f
(
x
0
)
h
<
0
{\displaystyle {\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0}
이므로
lim
h
→
0
+
f
(
x
0
+
h
)
−
f
(
x
0
)
h
=
K
≤
0
{\displaystyle \lim _{h\to 0^{+}}{\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K\leq 0}
이다.(극한 의 성질 중 함수와 극한의 대소 문단 참고) 마찬가지로
−
δ
1
<
h
<
0
{\displaystyle -\delta _{1}<h<0}
일 때
f
(
x
0
+
h
)
−
f
(
x
0
)
h
>
0
{\displaystyle {\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0}
이므로
lim
h
→
0
−
f
(
x
0
+
h
)
−
f
(
x
0
)
h
=
K
≥
0
{\displaystyle \lim _{h\to 0^{-}}{\frac {f\left(x_{0}+h\right)-f\left(x_{0}\right)}{h}}=K\geq 0}
이다.
K
≥
0
{\displaystyle K\geq 0}
인 동시에
K
≤
0
{\displaystyle K\leq 0}
이므로
K
=
0
{\displaystyle K=0}
이다. 극솟값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함수
f
{\displaystyle f}
가 미분가능하고
x
0
{\displaystyle x_{0}}
에서 극값을 가진다면
f
′
(
x
0
)
=
0
{\displaystyle f'\left(x_{0}\right)=0}
이다.
모든 n에 대해
임의의 벡터
h
∈
R
n
{\displaystyle \mathbf {h} \in \mathbb {R} ^{n}}
에 대해 함수
g
:
U
′
⊂
R
→
R
{\displaystyle g:U'\subset \mathbb {R} \to \mathbb {R} }
을
g
(
t
)
=
f
(
x
0
+
t
h
)
{\displaystyle g\left(t\right)=f\left(\mathbf {x} _{0}+t\mathbf {h} \right)}
로 정의하자.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는
t
=
0
{\displaystyle t=0}
에서 극값을 가져야 한다. 위에서 증명했듯이
g
′
(
0
)
=
0
{\displaystyle g'(0)=0}
이므로 연쇄법칙 에 의하여
D
f
(
x
0
)
h
=
0
{\displaystyle \mathbf {D} f\left(\mathbf {x} _{0}\right)\mathbf {h} =0}
이다. 임의의
h
{\displaystyle \mathbf {h} }
에 대해
0
{\displaystyle 0}
이므로
D
f
(
x
0
)
=
0
{\displaystyle \mathbf {D} f\left(\mathbf {x} _{0}\right)=0}
이다.
함수
f
:
U
⊂
R
n
→
R
{\displaystyle f:U\subset \mathbb {R} ^{n}\to \mathbb {R} }
이
C
3
{\displaystyle C^{3}}
함수이고
x
0
∈
U
{\displaystyle \mathbf {x} _{0}\in U}
가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임계점 일 때,
h
T
H
(
f
)
(
x
0
)
h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
가 양의 정부호 이면, 즉 모든
h
∈
R
n
{\displaystyle \mathbf {h} \in \mathbb {R} ^{n}}
에 대하여 0 이상이고
h
=
0
{\displaystyle \mathbf {h} =\mathbf {0} }
일때만 0이라면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소이다. 반대로
h
T
H
(
f
)
(
x
0
)
h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
가 음의 정부호 이면, 즉 모든
h
∈
R
n
{\displaystyle \mathbf {h} \in \mathbb {R} ^{n}}
에 대하여 0 이하이고
h
=
0
{\displaystyle \mathbf {h} =\mathbf {0} }
일때만 0이라면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대이다. 이를 이용하여 극대, 극소를 판별하는 방법을 이계 도함수 판정법 이라고 한다.
여기서
n
=
1
{\displaystyle n=1}
이라는 조금 특별하고 조금 더 익숙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n
=
1
{\displaystyle n=1}
이라면
h
T
H
(
f
)
(
x
0
)
h
=
1
2
f
″
(
x
0
)
h
2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frac {1}{2}}f''\left(x_{0}\right)h^{2}}
이므로
f
″
(
x
0
)
>
0
{\displaystyle f''\left(x_{0}\right)>0}
일때만 양의 정부호 이고
f
″
(
x
0
)
<
0
{\displaystyle f''\left(x_{0}\right)<0}
일때만 음의 정부호 이다. 즉, 일변수 함수의 이차 도함수 판정법은 단순히
f
″
(
x
0
)
{\displaystyle f''\left(x_{0}\right)}
의 부호를 알아보는 것이다.
보조정리 : 어떤
n
×
n
{\displaystyle n\times n}
실수행렬
B
=
[
b
i
j
]
{\displaystyle B=\left[b_{ij}\right]}
가 있을 때 이차 함수
H
:
R
n
→
R
,
(
h
1
,
…
h
n
)
↦
1
2
∑
i
,
j
=
1
n
b
i
j
h
i
h
j
{\displaystyle H:\mathbb {R} ^{n}\to \mathbb {R} ,\left(h_{1},\dots h_{n}\right)\mapsto {\frac {1}{2}}\sum _{i,j=1}^{n}b_{ij}h_{i}h_{j}}
를 정의하자. 만약
H
{\displaystyle H}
가 양의 정부호 라면 모든
h
∈
R
n
{\displaystyle \mathbf {h} \in \mathbb {R} ^{n}}
가
H
(
h
)
≥
M
‖
h
‖
2
{\displaystyle H\left(\mathbf {h} \right)\geq M\left\Vert \mathbf {h} \right\|^{2}}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
M
{\displaystyle M}
이 존재한다.
(증명)
‖
x
‖
=
1
{\displaystyle \left\Vert \mathbf {x} \right\|=1}
인
x
{\displaystyle \mathbf {x} }
에 대해
H
(
x
)
{\displaystyle H\left(\mathbf {x} \right)}
는 연속 이므로 최대 최소 정리 에 의하여 최솟값
M
{\displaystyle M}
을 가진다. 이때
H
{\displaystyle H}
가 양의 정부호 이므로
M
>
0
{\displaystyle M>0}
이다.
H
{\displaystyle H}
는 이차함수 이므로
0
{\displaystyle \mathbf {0} }
이 아닌 모든
h
{\displaystyle \mathbf {h} }
에 대해
H
(
h
)
=
H
(
h
‖
h
‖
‖
h
‖
)
=
H
(
h
‖
h
‖
)
‖
h
‖
2
≥
M
‖
h
‖
2
{\displaystyle H\left(\mathbf {h} \right)=H\left({\frac {\mathbf {h} }{\left\Vert \mathbf {h} \right\|}}\left\Vert \mathbf {h} \right\|\right)=H\left({\frac {\mathbf {h} }{\left\Vert \mathbf {h} \right\|}}\right)\left\Vert \mathbf {h} \right\|^{2}\geq M\left\Vert \mathbf {h} \right\|^{2}}
가 성립한다.
h
=
0
{\displaystyle \mathbf {h} =\mathbf {0} }
일때는 자명하다.
D
f
(
x
0
)
=
0
{\displaystyle \mathbf {D} f\left(\mathbf {x} _{0}\right)=\mathbf {0} }
이므로 테일러 정리 에 의하여
f
(
x
0
+
h
)
−
f
(
x
0
)
=
h
T
H
(
f
)
(
x
0
)
h
+
R
2
(
x
0
,
h
)
{\displaystyle f\left(\mathbf {x} _{0}+\mathbf {h} \right)-f\left(\mathbf {x} _{0}\right)=\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R_{2}\left(\mathbf {x} _{0},\mathbf {h} \right)}
이다. 여기서
lim
h
→
0
R
2
(
x
0
,
h
)
‖
h
‖
2
=
0
{\displaystyle \lim _{\mathbf {h} \to \mathbf {0} }{\frac {R_{2}\left(\mathbf {x} _{0},\mathbf {h} \right)}{\left\Vert \mathbf {h} \right\|^{2}}}=0}
이다. 만약
h
T
H
(
f
)
(
x
0
)
h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
가 양의 정부호 라면 보조 정리 에 의하여
h
T
H
(
f
)
(
x
0
)
h
≥
M
‖
h
‖
2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geq M\left\Vert \mathbf {h} \right\|^{2}}
를 만족하는 양의 실수
M
{\displaystyle M}
이 존재하며 극한 의 정의에 의하여
0
<
‖
h
‖
<
δ
⇒
‖
R
2
(
x
0
,
h
)
‖
<
M
‖
h
‖
2
{\displaystyle 0<\left\Vert \mathbf {h} \right\|<\delta \Rightarrow \|R_{2}\left(\mathbf {x} _{0},\mathbf {h} \right)\|<M\left\Vert \mathbf {h} \right\|^{2}}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
δ
{\displaystyle \delta }
가 존재한다. 따라서
0
<
‖
h
‖
<
δ
{\displaystyle 0<\left\Vert \mathbf {h} \right\|<\delta }
일 때
f
(
x
0
+
h
)
−
f
(
x
0
)
=
h
T
H
(
f
)
(
x
0
)
h
+
R
2
(
x
0
,
h
)
>
0
{\displaystyle f\left(\mathbf {x} _{0}+\mathbf {h} \right)-f\left(\mathbf {x} _{0}\right)=\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R_{2}\left(\mathbf {x} _{0},\mathbf {h} \right)>0}
, 즉
f
(
x
0
+
h
)
>
f
(
x
0
)
{\displaystyle f\left(\mathbf {x} _{0}+\mathbf {h} \right)>f\left(\mathbf {x} _{0}\right)}
이다. 그러므로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소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h
T
H
(
f
)
(
x
0
)
h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
가 음의 정부호 이면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대이다.
그림과 같은 대각선상에 위치한 부분행렬들의 행렬식 들이 이차 도함수 판정법에 이용된다.
헤세 행렬 에서 그림과 같이 대각선상에 위치한 부분행렬들의 행렬식들이 모두 양일 경우
h
T
H
(
f
)
(
x
0
)
h
{\displaystyle \mathbf {h} ^{T}H\left(f\right)\left(\mathbf {x} _{0}\right)\mathbf {h} }
가 양의 정부호 이고 음과 양이 번갈아서 나올 경우 음의 정부호 이다. 즉, 이차 도함수 판정법에 따라서 부분 행렬들의 행렬식들이 모두 양일 경우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소이고 부분행렬들의 행렬식이 음과 양이 반복될 경우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에서 극대이다. 만약 두 경우 모두 아니라면 임계점
x
0
{\displaystyle \mathbf {x} _{0}}
는 안장점 으로 극대이지도 극소이지도 않다.
예를 들어, 이변수 함수
f
(
x
,
y
)
:
U
⊂
R
2
→
R
{\displaystyle f\left(x,y\right):U\subset \mathbb {R} ^{2}\to \mathbb {R} }
이고
C
3
{\displaystyle C^{3}}
함수일 경우 만약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에서 극소라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f
∂
x
(
x
0
,
y
0
)
=
∂
f
∂
y
(
x
0
,
y
0
)
=
0
{\displaystyle {\frac {\partial f}{\partial x}}\left(x_{0},y_{0}\right)={\frac {\partial f}{\partial y}}\left(x_{0},y_{0}\right)=0}
∂
2
f
∂
x
2
(
x
0
,
y
0
)
>
0
{\displaystyle {\frac {\partial ^{2}f}{\partial x^{2}}}\left(x_{0},y_{0}\right)>0}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에서
D
=
(
∂
2
f
∂
x
2
)
(
∂
2
f
∂
y
2
)
−
(
∂
2
f
∂
x
∂
y
)
2
>
0
{\displaystyle D=\left({\frac {\partial ^{2}f}{\partial x^{2}}}\right)\left({\frac {\partial ^{2}f}{\partial y^{2}}}\right)-\left({\frac {\partial ^{2}f}{\partial x\partial y}}\right)^{2}>0}
이때
D
{\displaystyle D}
는
f
{\displaystyle f}
의 헤세 행렬 의 행렬식 이다.
마찬가지로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에서 극대라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f
∂
x
(
x
0
,
y
0
)
=
∂
f
∂
y
(
x
0
,
y
0
)
=
0
{\displaystyle {\frac {\partial f}{\partial x}}\left(x_{0},y_{0}\right)={\frac {\partial f}{\partial y}}\left(x_{0},y_{0}\right)=0}
∂
2
f
∂
x
2
(
x
0
,
y
0
)
<
0
{\displaystyle {\frac {\partial ^{2}f}{\partial x^{2}}}\left(x_{0},y_{0}\right)<0}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에서
D
>
0
{\displaystyle D>0}
그리고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가 이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않는 임계점이라면, 즉,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에서
D
<
0
{\displaystyle D<0}
라면
(
x
0
,
y
0
)
{\displaystyle \left(x_{0},y_{0}\right)}
는 안장점 이다.
만약
D
=
0
{\displaystyle D=0}
이라면 이차 도함수 판정법만으로는 극대와 극소를 판별할 수 없는데, 이때
D
=
0
{\displaystyle D=0}
인 임계점 을 퇴화 극점 또는 변질 극점 이라고 말한다. 반대로 이차 도함수 판정법으로 극대, 극소, 안장점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D
≠
0
{\displaystyle D\neq 0}
인 임계점 을 정상적인 임계점 또는 비퇴화 임계점 이라고 한다.
James Stewart (2009). 《Calculus(Metric International Version, 6th Edition)》. Brooks/Cole, Cengage Learning. ISBN 0-495-38362-7 .
Jerrold E. Marsden, Anthony J. Tromba (2003). 《Vector Calculus(Fifth Edition)》.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0-7167-49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