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향 그래프 는 콜라츠 추측의 조작에 의해 몇 개의 자연수들이 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콜라츠 추측이 참이라면 이 그래프 는 모두 1에 연결된다.
콜라츠 추측 (Collatz conjecture)은 1937년에 처음으로 이 추측을 제기한 로타르 콜라츠 의 이름을 딴 것으로 3n+1 추측 , 울람 추측 , 혹은 헤일스톤(우박) 수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콜라츠 추측은 임의의 자연수가 다음 조작을 거쳐 항상 1이 된다는 추측이다.
짝수라면 2로 나눈다.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한다.
1이면 조작을 멈추고, 1이 아니면 첫 번째 단계로 돌아간다.
예를 들어, 6에서 시작한다면, 차례로 6, 3, 10, 5, 16, 8, 4, 2, 1 이 된다.
또, 27에서 시작하면 무려 111번을 거쳐야 1이 된다. 77번째에 이르면 9232를 정점으로 도달하다가 급격히 감소하여 34단계를 더 지나면 1이 된다.
이 추측은 컴퓨터로 268 [ 1] 까지 모두 성립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아직 모든 자연수에 대한 증명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문제의 해결에 500달러의 현상금을 걸었던 에르되시 팔 은 "수학은 아직 이런 문제를 다룰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말을 남겼다.
다음과 같은 통계적인 설명을 생각하면 이 추측은 참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콜라츠 추측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이 조작에 의해 만들어지는 홀수 들만 생각하면, 다음에 오는 홀수는 평균적으로 그 전의 수의 3/4정도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홀수의 수열은 점점 작아져 결국 1이 될 것이다.
콜라츠 추측의 함수표현 공식
f
(
n
)
=
{
n
2
,
if
n
is even
3
n
+
1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 \over 2},&{\mbox{if }}n{\mbox{ is even}}\\3n+1,&{\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가 원래 정석 표현이지만 n이 홀수라고 했기에 3n+1은 짝수가 된다. 이점에서
f
(
n
)
=
{
n
2
,
if
n
is even
3
n
+
1
2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 \over 2},&{\mbox{if }}n{\mbox{ is even}}\\{3n+1 \over 2},&{\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로 나타내기도 한다.
콜라츠 추측 공식의 합동산술(modular arithmetic) 표현식
f
(
n
)
=
{
n
2
if
n
≡
0
mod
2
3
n
+
1
if
n
≡
1
mod
2
{\displaystyle f(n)={\begin{cases}{n \over 2}&{\text{if }}n\equiv 0\mod 2\\3n+1&{\text{if }}n\equiv 1\mod 2\end{cases}}}
f
(
n
)
=
{
n
2
,
if
n
is even
m
⋅
n
+
1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 \over 2},&{\mbox{if }}n{\mbox{ is even}}\\m\cdot n+1,&{\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e
.
g
.
m
=
1
,
{\displaystyle e.g.\qquad m=1,\qquad }
f
(
n
)
=
{
n
2
,
if
n
is even
1
⋅
n
+
1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 \over 2},&{\mbox{if }}n{\mbox{ is even}}\\1\cdot n+1,&{\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m
=
1
{\displaystyle m=1}
이면,
2
{\displaystyle 2}
의 배수안에 존재하는 값만이 만들어지므로,
n
{\displaystyle n}
의 범주를 넘지 못한채로, 반복 수렴으로
1
{\displaystyle 1}
에 귀결된다.
e
.
g
.
m
=
2
,
{\displaystyle e.g.\qquad m=2,\qquad }
f
(
n
)
=
{
n
2
,
if
n
is even
2
⋅
n
+
1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 \over 2},&{\mbox{if }}n{\mbox{ is even}}\\2\cdot n+1,&{\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m
=
2
{\displaystyle m=2}
이면, 홀수
n
{\displaystyle n}
에
2
{\displaystyle 2}
가 곱해진 수는 짝수이므로 짝수에
1
{\displaystyle 1}
을 더하면 계속해서 무한히 증가된 값의 홀수
n
{\displaystyle n}
으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콜라츠 추측의 단계 진행은 작동하지 않는다.
f
(
n
)
=
{
n
−
1
,
if
n
is even
n
−
1
,
if
n
is odd
}
{\displaystyle f(n)={\begin{Bmatrix}{n-1},&{\mbox{if }}n{\mbox{ is even}}\\n-1,&{\mbox{if }}n{\mbox{ is odd}}\end{Bmatrix}}}
모든 자연수가 짝수에서도
−
1
{\displaystyle -1}
그리고 홀수에서도
−
1
{\displaystyle -1}
을 반복한다면, 반복 수렴으로
1
{\displaystyle 1}
에 귀결된다.
== 콜라츠
콜라츠 그래프에서 특정 짝수는 홀수에대한
3
⋅
n
+
1
{\displaystyle 3\cdot n+1}
의 수면서 동시에 짝수에 대한
n
2
{\displaystyle {{n} \over {2}}}
수가 되는 분기점이 된다.
16
←
{
5
32
{\displaystyle 16\gets {\begin{cases}5\\32\end{cases}}}
16
{\displaystyle 16}
은 콜라츠 유향 그래프에서 최초의 분기점이다.
만약 콜라츠 추측이 성립한다면, 이것은 동시에
8
,
4
,
2
,
1
{\displaystyle 8,4,2,1}
을 제외한 모든 자연수가
1
{\displaystyle 1}
과 연결되기 위한 마지막 분기점이다.
1822
←
{
607
3644
{\displaystyle 1822\gets {\begin{cases}607\\3644\end{cases}}}
10
←
{
3
20
{\displaystyle 10\gets {\begin{cases}3\\20\end{cases}}}
따라서, 홀수에 대한
3
⋅
n
+
1
{\displaystyle 3\cdot n+1}
의 수 이면서 동시에 짝수에 대한
n
2
{\displaystyle {{n} \over {2}}}
수가 되는 분기점 짝수
n
{\displaystyle {n}}
은
n
−
1
{\displaystyle n-1}
에서
n
3
{\displaystyle {{n} \over {3}}}
의 수이다.
콜라츠 그래프의 분기점 짝수
n
{\displaystyle {n}}
은
3
⋅
(
n
⋅
2
−
1
)
+
1
,
n
=>
1
{\displaystyle 3\cdot (n\cdot 2-1)+1\;\;,\;\;n=>1}
에서
규칙적으로 출현한다.
최초 출현 수열은 다음과 같다.
4
,
10
,
16
,
22
,
28
,
34
,
40
,
46
,
52
,
58
,
64
,
70
,
76
,
82
,
88
,
94
,
100
,
106
,
112
,
118
,
124
,
130
,
⋯
{\displaystyle 4,10,16,22,28,34,40,46,52,58,64,70,76,82,88,94,100,106,112,118,124,130,\cdots }
이러한 콜라츠 그래프 분기점 수열은 6씩 증가하는 수열이다.
또한 십진수 30을 주기로 5개의 자리수
4
,
10
,
16
,
22
,
28
{\displaystyle 4,10,16,22,28}
이 순환적으로 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