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부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산삼각선에서 넘어옴)

경부선
경부선의 위치.
철도기점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남영 - 두정)
상태영업 중
기점서울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부산역
(부산광역시 동구)
역 수90
노선 번호302
개통일1905년 1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수탁 관리)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내용주 1]
노선 제원
영업 거리441.7 km
궤간1,435 mm
선로 수6(서울 - 구로)
4(구로 - 천안)
2(천안 - 부산)[내용주 2]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서울~천안)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노선도
{{경부선 노선도}} 참고

경부선(京釜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노선 번호는 302이다. 서울역부터 두정역까지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행되고 있다. 2024년부터는 구미역부터 경산역까지 대경선 광역전철이 동시에 병행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개요

[편집]

경부선은 대한민국의 양대 대도시인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를 연결하고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를 경유하는 한국 철도의 중추 간선 노선이다. 장항선, 호남선 등과 접속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며, 1945년 3월에 한국철도공사의 전신인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의해 이미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다른 선구에 비해 선형이 좋아 고속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구간은 선형이 좋지 않은 구간도 존재한다. 또한 일부 구간에선 복복선화 및 3복선화도 되어 선로 용량을 증대하였다. 1974년 서울 - 수원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청량리직결 운행하고 있다. 2004년에는 KTX를 위하여 경부선의 경로와 유사한 300 km/h 급의 경부고속선이 개통하였다. 2005년 전철의 운행 구간이 천안역까지 확대되었고, 2008년 12월 15일에는 장항선까지 운행이 확대되었다. 서울에서의 여객 열차의 출발역은 서울역용산역으로 이원화되지만, 모든 경부선 일반 열차는 서울역에서 착발한다.[내용주 3]

역사

[편집]
경부선 남부기공식 (1901년 9월 21일)
개통식 (1905년 5월 25일)

경인선에 이어 건설된 한반도의 2대 간선축인 서울-부산간 철도인 경부선과 서울-신의주간 철도인 경의선은 한반도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했다. 대한제국 정부는 국가 근대화를 위해 철도를 건설하고 싶었지만 기술도 돈도 없어 외국에서 조달하기로 했다. 대한제국 시대에 일본 시부사와 에이치(渋沢栄一)가 설립한 경부철도주식회사에 의해 건립되었다.대한제국 정부로부터 먼저 일부 구간의 철도 건설권을 취득했던 미국으로부터 부설권을 사서 전 노선을 건설하였다. 경부 철도 주식회사는 대한제국 정부, 일본제국 정부, 영국 자본으로 구성되었다. 1898년 9월, 이윽고 부설권을 취득한 일본은 '경부철도'를 설립하고 1901년 6월 일본은 경부철도주식회사를 세워, 8월 20일에 서울 영등포와 부산 초량에서 각각 착공식을 거행했다. 일본은 영국에서 자금을 빌려와 미국이 가졌던 부설권과 건설 장비를 구입하였다[1]. 경부철도주식회사의 자본금의 4분의 1은 일본 국고에서 나왔으며, 불입금의 10배에 달하는 사채모집도 승인되었다. 시부사와 에이이치 사장은 "경부선은 조선에서 일본의 유일 맥관이자 사활의 기관"이라고 황족, 부호에서 시골 농부까지 주식을 사서 애국하라고 선동하였으며, 이 국민주 모금운동으로 2,500만 원의 거대 자본금을 조달하였다.[2]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군수물자 수송등의 이유로 급격히 공사가 진행, 1904년 12월 27일에 완공되어 1905년에 전선이 개통되었다. 일본은 영국처럼 차량이 좌측으로 다녔기 때문에 경부선의 열차도 좌측통행을 하게 되었다. 1906년 러일전쟁 후, 일본의 수상 사이온지는 경부철도 매수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켜 경부선과 경의선을 조선통감부 철도관리국 소관으로 국유화하였다.

철도 예전선 주위에 사는 조선인들은 토지 징발과 인력 동원, 물자조달 등을 좌우한 일본군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노반공사에 농번기임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동원되었으며, 식량과 가축에 대한 강제 징발도 수시로 자행되어 유랑민이 속출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은 온전한 땅이 없고 기력이 남아 있는 사람이 없으며, 열 집에 아홉 집은 텅 비었고, 천 리 길에 닭과 돼지가 멸종하였다'고 보도했다. 시흥과 파주, 곡산과 평산 그리고 평양에서 조선인들은 이에 항의하는 싸움을 벌였고, 선로상에 큰 돌을 놓아 저항하였다. 이런 사건의 주모자는 잡히는 대로 사형에 처해졌다.

1908년에는 경부선과 같은 해에 완공되었던 경의선과의 직결 운행이 이뤄져 부산과 신의주를 잇는 직통 급행열차 융희호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국권침탈 이후에는 일본과 만주를 잇는 경부선과 경의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면서 1910년대에 전면개량이 이루어졌다. 남만주철도의 노선과 직통운행도 이뤄져 한반도와 중국대륙을 잇는 국제열차가 운행되기도 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이후에도 한국의 중추 철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였고, 한국 전쟁한강철교가 폭파되기도 하였으나 군수물자와 병력수송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후에는 유엔군의 공여와 미국의 원조로 들어온 디젤 기관차가 투입되어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되기도 하였다.

1960년대1970년대에 서울로의 급격한 인구 유입과 도시화로 인한 통근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수원 간의 전철화와 서울-영등포 간의 복복선화가 진행되어 1974년 8월 15일경인선(구로-인천), 경원선(청량리-성북)과 함께 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과의 직통운행을 개시하였다. 통근 수요가 계속 증가하여 선로 용량이 한계에 이르자 1981년 12월 23일에 영등포-수원 간 복복선화가 이뤄져 통근형 전동차와 일반열차의 운행 선로가 분리되었다(통근형 전동차는 2선, 일반열차는 1선). 그리하여 통근형 전동차를 어느 정도 대량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급증하는 통근 수요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1984년에는 열차선을 이용하여 서울-수원 간을 빠르게 잇는 직통열차(현 급행열차)가 등장하였으나 러시아워에 3, 4회만 운행하였다.

계속된 개량과 CTC의 도입, 150 km/h 고속주행이 가능한 새마을호 객차의 도입 등에 힘입어 1985년 11월 16일 영업최고속도를 140 km/h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서울-부산 간 최단 소요시간이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가 각각 4시간 10분, 4시간 50분, 5시간 15분으로 단축되었다.

그러나 계속된 수요증가와 대부분의 철도가 경부선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단점 때문에 1990년대에 이르러 선로 용량은 만성적으로 부족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부선 전구간의 복복선화와 고속신선의 도입이 검토되었는데 소요시간 단축과 이에 따른 대량의 여객수송이 가능한 이점이 부각되어 고속신선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고속철도 시스템은 프랑스TGV가 선정되어, 2004년 4월 1일시흥-지천경부고속신선이 개통되어 KTX가 운행 개시되면서 서울-부산 간을 2시간 40분에 연결하여 기존 새마을호에 비해 1시간 30분 이상을 단축시켰다.

이와 더불어 수원-천안 간의 복복선화와 전철화가 진행되어 2003년 4월 30일에는 수원-병점 구간이 1차 개통, 2005년 1월 20일에는 병점-천안 간이 복복선화되어 천안까지 통근형 전동차의 운행범위가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서울-수원 간 직통열차가 서울(용산)-천안 간 급행열차로 바뀌었다. 또한 전구간 전철화 사업도 진행되어 KTX의 운행을 위해 대전조차장-옥천, 지천, 대구-부산 구간이 2004년 4월 1일에 전철화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3월말 천안-조치원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2006년 12월초까지 잔여 구간인 조치원-지천 간의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2007년 3월 1일부터 경부선에도 전기 기관차 운행이 시작되어 열차 운행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고 있다.

고속철도 개통과 동시에 일부 구간의 선형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기존의 속도제한 90~100 km/h를 대폭 상향조정하여 140~150 km/h 주행이 가능하도록 직선화하여 기존선의 운행시간을 단축하였다. 2000년 이후 노선이 이설된 구간은 다음과 같다.

연혁

[편집]

대한제국

[편집]

일제강점기

[편집]

해방이후 비전철 시절

[편집]

전철화 시대

[편집]

고속철도 시대

[편집]

운영

[편집]

운행

[편집]
운행계통도

본 운행계통도는 2021년 3월 1일자 시간표에 근거하여
주요 운행 계통만을 나타내었음
1 : 경부선 계통 (서울역 - 부산역)
2 : 호남선 계통 (용산역 - 호남선)
3 : 장항선 계통 (용산역 - 천안역 - 장항선)
4 : 충북선 계통 (대전역 - 조치원역 - 충북선)
5 : 경전선 계통 (부전역 - 삼랑진역 - 경전선
동대구역 - 밀양역 - 경전선)
6 : 서울역 - 신해운대역 계통 ITX-새마을

장항선 계통
충북선 계통→
호남선 계통
서울 - 대전 계통
부산 - 대전 계통
부산 - 동대구 계통
경전선 계통

범례

좌측은 ITX-새마을 (급행)
우측은 무궁화호 (완행)
무궁화호만 정차
ITX-새마을 일부 정차, 무궁화호 모두 정차

차량

[편집]
운행되는 객차 차량
동차
기관차

역 목록

[편집]

서울-두정

[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K 접속 노선 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소재지
133 서울 Seoul 경의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0.0 0.0 서울특별시 중구
지하철 인입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접속 0.0 0.0 용산구
134 남영 Namyeong 南營 1.7 1.7
135 용산 Yongsan 龍山 용산선
경원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5 3.2
삼각선 (분기) - - 용산삼각선 0.8 4.0
136 노량진 Noryangjin 鷺梁津 서울 지하철 9호선 1.8 5.8 동작구
137 대방 Daebang 大方 서울 경전철 신림선 1.5 7.3 영등포구
138 신길 Singil 新吉 수도권 전철 5호선 0.8 8.1
139 영등포 Yeongdeungpo 永登浦 1.0 9.1
140 신도림 Sindorim 新道林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1.5 10.6 구로구
141 구로 Guro 九老 경인선
구로기지선
1.1 11.7
삼각선 (분기) - - 구로삼각선 1.3 13.0
P142 가산디지털단지 Gasan Digital Complex 加山디지털團地驛 서울 지하철 7호선 1.1 14.1 금천구
P143 독산 Doksan 禿山 2.0 16.1
P144 금천구청 Geumcheon-gu Office 衿川區廳 경부고속선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 방면)
1.2 17.3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경유 시흥연결선 0.4 17.7
P145 석수 Seoksu 石水 1.9 19.6 경기도 안양시
P146 관악 Gwanak 冠岳 1.9 21.5
P147 안양 Anyang 安養 2.4 23.9
P148 명학 Myeonghak 鳴鶴 2.2 26.1
P149 금정 Geumjeong 衿井 안산선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1.4 27.5 군포시
P150 군포 Gunpo 軍浦 2.2 29.7
P151 당정 Dangjeong 堂井 1.6 31.3
P152 의왕 Uiwang 義王 남부화물기지선 2.6 33.9 의왕시
P153 성균관대 Sungkyunkwan Univ. 成均館大 2.9 36.8 수원시
P154 화서 Hwaseo 華西 2.6 39.4
P155 수원 Suwon 水原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1 41.5
P156 세류 Seryu 細柳 2.9 44.4
P157 병점 Byeongjeom 餠店 병점기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4.3 48.7 화성시
P158 세마 Sema 洗馬 2.4 51.1 오산시
P159 오산대 Osan College 烏山大 2.7 53.8
P160 오산 Osan 烏山 2.7 56.5
P161 진위 Jinwi 振威 4.0 60.5 평택시
P162 송탄 Songtan 松炭 3.8 64.3
P163 서정리 Seojeong-ri 西井里 2.2 66.5
P164 평택지제 PyeongtaekJije 平澤芝制 수서평택고속선 4.8 71.3
P165 평택 Pyeongtaek 平澤 평택선 3.7 75.0
P166 성환 Seonghwan 成歡 9.4 84.4 충청남도 천안시
P167 직산 Jiksan 稷山 5.4 89.8
P168 두정 Dujeong 斗井 천안직결선 3.8 93.6

천안-부산

[편집]
  • K로 시작하는 역 번호가 표시된 역은 대경선이 정차하는 역이다.
  • K: KTX
  • 새: ITX-새마을
  • 마: ITX-마음
  • 무: 무궁화호
  • ●: 전 열차 정차, ■: 기존 경부선(구포) 경유 열차는 전부 정차(KTX) / 경전선 KTX는 일부 열차만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미정차.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K 접속 노선 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소재지
P169 천안 Cheonan 天安 경부고속선 경유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3.0 96.6 충청남도 천안시
소정리 Sojeong-ri 小井里 10.8 107.4 세종특별자치시
전의 Jeonui 全義 7.5 114.9
전동 Jeondong 全東 7.7 122.6
서창 Seochang 瑞倉 오송선 3.5 126.1
조치원 Jochiwon 鳥致院 충북선 3.2 129.3
내판 Naepan 內板 5.6 134.9
부강 Bugang 芙江 부강화물선 4.9 139.8
매포 Maepo 梅浦 4.6 144.4
신탄진 Sintanjin 新灘津 7.5 151.9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 Hoedeok 懷德 5.6 157.5
대전조차장 Daejeon jochajang 大田操車場 호남선 4.1 161.6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2.6 164.2
대전 Daejeon 大田 대전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2.1 166.3 동구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0.4 182.9
세천 Secheon 細川 7.3 173.6
옥천 Okcheon 沃川 8.9 182.5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 Iwon 伊院 7.9 190.8
지탄 Jitan 池灘 5.6 196.4
심천 Simcheon 深川 4.4 200.8 영동군
각계 Gakgye 覺溪 3.8 204.6
영동 Yeongdong 永同 7.0 211.6
황간 Hwanggan 黃澗 14.6 226.2
추풍령 Chupungnyeong 秋風嶺 8.5 234.7
신암 Sinam 新岩 6.0 240.7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Jikjisa 直指寺 5.5 246.2
김천 Gimcheon 金泉 경북선 7.6 253.8
대신 Daesin 大新 9.7 263.5
아포 Apo 牙浦 5.7 269.2
K110 구미 Gumi 龜尾 7.5 276.7 구미시
K111 사곡 Sagok 沙谷 4.6 281.3
약목 Yangmok 若木 8.2 289.5 칠곡군
K113 왜관 Waegwan 倭館 6.5 296.0
연화 Yeonhwa 蓮花 6.2 302.2
신동 Sindong 新洞 신동화물선 3.7 305.9
지천 Jicheon 枝川 7.4 313.3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3.3 316.6 대구광역시 서구
K114 서대구 Seodaegu 西大邱 2.3 318.9
K115 대구 Daegu 大邱 대구 도시철도 1호선 4.2 323.1 북구
K116 동대구 Dongdaegu 東大邱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2 326.3 동구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경유 경부고속선 2.6 328.9 수성구
고모 Gomo 顧母 2.9 331.8
가천 Gacheon 佳川 대구선 1.6 333.4
K117 경산 Gyeongsan 慶山 5.2 338.6 경상북도 경산시
삼성 Samseong 三省 7.1 345.7
남성현 Namseonghyeon 南省峴 7.4 353.1 청도군
청도 Cheongdo 淸道 8.7 361.8
신거 Singeo 新巨 5.6 367.4
상동 Sangdong 上東 4.8 372.2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 Miryang 密陽 경전선 9.4 381.6
미전 Mijeon 美田 미전선 11.0 392.6
삼랑진 Samnangjin 三浪津 경전선 1.5 394.1
원동 Wondong 院洞 9.1 403.2 양산시
물금 Mulgeum 勿禁 9.2 412.4
화명 Hwamyeong 華明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화명역) 9.4 421.8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 Gupo 龜浦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 3.4 425.2
사상 Sasang 沙上 가야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역)
5.1 430.3 사상구
부산진 Busanjin 釜山鎭 동해선
우암선
9.6 439.9 동구
연결선 (분기) - - 경부고속선 0.3 440.2
부산 Busan 釜山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1.5 441.7

폐역 목록

[편집]

경부고속철도

[편집]

경부고속철도는 2004년 4월 1일 1단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11월 1일 2단계 구간 개통, 2015년 8월 1일 대전역동대구역 인근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된 대한민국고속철도이다.

속도는 경부고속선 평균 250 km/h, 최고 305 km/h, 경부선 150 km/h로 운행하며 서울역-부산역 구간 소요시간이 2시간 15분[내용주 8]에서 2시간 48분[내용주 9]가량 걸린다.

차량은 프랑스TGV를 한국 사양에 맞게 개량한 KTXHSR-350X를 양산화한 KTX-산천을 사용한다.

지선 노선

[편집]

경부선에는 총 18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0201 용산삼각선 (경부선) (경원선) 0.5 한강철교~이촌역 구간 연결
30202 구로삼각선 (경부선) (경인선) 1.2 오류동역~가산디지털단지역 구간 연결
30203 구로기지선 구로역 구로기지 1.4
30204 남부화물기지선 의왕역 오봉역 3.0
30205 수인선 수원역 인천역 20.5
30206 병점기지선 병점역 서동탄역 2.2
30207 천안직결선 두정역 천안역 3.1
30208 오송선 서창역 오송역 4.6
30209 대전선 대전역 서대전역 5.7
30210 대구선 가천역 영천역 29.0
30211 미전선 미전역 낙동강역 1.6
30212 가야선 사상역 범일역 8.3
30213 양산화물선 물금역 양산화물역 3.5
30214 부강화물선 부강역 부강화물역 2.9
30215 신동화물선 신동역 신동화물역 4.7
30216 평택선 창내역 평택역 8.8
30217 평택삼각선 신대신호소 (경부선) 2.2 경부선기점 71.881 km 지점에서 분기
30218 평택직결선 신대신호소 (경부선) 2.1 경부선기점 74.730 km 지점에서 분기

용산삼각선

[편집]

용산삼각선용산역에서 부산 방향으로 0.8 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삼각선이다. 경부선 한강철교 북단에서 분기하여 경원선 이촌역 부근에서 경원선과 합류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1이다.

용산삼각선을 따라 비정기적으로 전동차가 운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자면, 2010년 7월 17일부터 주말에만 토요일과 일요일 각각 1편성씩 왕복으로 동인천역-용문역, 병점역-용문역주말 특급 열차가 신설되어 이 구간도 수도권 전철의 열차가 경유하였으나, 계절별 수송수요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등 이용객 저조로 2010년 12월 1일부터 운행이 중지되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이나 경부선 용산-서울역 구간 완행선로의 고장시 우회 선로로도 이용된다.[41]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삼각선 (경부선) 0.0 0.0 경부본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각선 (경원선) 0.5 0.5 경원본선

구로삼각선

[편집]

구로삼각선구로역에서 부산 방향으로 1.3 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가산디지털단지역경인선 오류동역 사이를 잇는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2이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삼각선 (경인선) 경인선 1.2 1.2

구로기지선

[편집]

구로기지선구로역구로기지간을 잇는 연결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구로차량사업소 입출고 열차가 이용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3이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구로 (경부선) 경부본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기지 (경부선) 경부본선 1.4 1.4

남부화물기지선

[편집]

남부화물기지선의왕역오봉역 간을 잇는 화물선이다. 본래 남부순환선 계획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4이다.

병점기지선

[편집]

병점기지선경기도 화성시병점역오산시서동탄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6이다.

과거 이 노선은 경부선의 일부였으나, 경부선의 복복선화 및 직선화 과정 중 병점역에서 지금의 오산대역에 이르는 구간이 이설되고 기존선 경로 상에 병점차량사업소를 건설함에 따라 병점역과 병점차량사업소를 잇는 구간만을 남겨 병점기지선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화성시동탄신도시가 본격적으로 조성되면서 병점역에 비해 병점차량사업소가 더욱 인접한 점을 토대로 화성시가 건설비 전액을 투자하여 오산시 외삼미동에 서동탄역을 신설하였다.

천안직결선

[편집]

천안직결선두정역천안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선과 장항선 사이를 이으며, 복선화되어 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7이다.

경부선의 천안 이북에서 장항선에 직결하려는 열차가 사용한다. 실질적으로 장항선의 일부로 취급된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두정 경부선 0.0 0.0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 장항선
경부선
3.1 3.1

오송선

[편집]

오송선서창역오송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본선과 충북선 사이를 이으며, 복선화되어 있다. 경부본선의 전동 이북에서 충북선에 직결하려는 열차가 사용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8이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서창 경부선 0.0 0.0 세종특별자치시
오송 충북선 4.6 4.6 충청북도 청주시

대전선

[편집]

대전선대전역서대전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본선과 호남본선 사이를 잇는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09이다.

대구선

[편집]

대구선가천역중앙선 영천역을 잇는 철도이다. 동해선 (부전·경주·포항 방면)이나 중앙선 (영주·제천·청량리·강릉 방면)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가 이 철도를 이용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0이다.

미전선

[편집]

미전선 미전역낙동강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본선과 경전선 사이를 잇는 삼각선이며, 복선화되어 있다. 경부본선의 밀양 이북에서 경전선에 직결하려는 열차가 사용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1이다.

가야선

[편집]

가야선사상역동해선 범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2이다.

양산화물선

[편집]

양산화물선물금역에서 양산화물역을 잇는 총연장 3.5 km의 화물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3이다.

부강화물선

[편집]

부강화물선부강역부강화물역간을 잇는 총연장 2.9 km의 화물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4이다.

신동화물선

[편집]

신동화물선신동역신동화물역간을 잇는 총연장 4.7 km의 화물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5이다.

평택선

[편집]

평택선평택역창내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포승-평택 철도로도 알려진 노선으로, 미래에 평택시 안중읍을 거쳐 포승읍의 평택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6이다.

평택삼각선

[편집]

평택삼각선평택선 신대신호소에서 분기되어 평택지제역으로 향하는 지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217이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신대 Sindae 新垈 0.0 0.0 경기도 평택시
(분기점) 2.2 2.2 경부선 경부선기점 71.881 km

평택직결선

[편집]

평택직결선평택선 신대신호소에서 분기되어 평택역으로 향하는 지선이다. 경부선 상행선과 연결된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신대 Sindae 新垈 0.0 0.0 경기도 평택시
(분기점) 2.1 2.1 경부선 경부선기점 74.730 km
↓ 경부선 평택역 방면

경부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오늘날 경부선은 경부선 본선과 경부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철도교통량을 모두 처리하는 대한민국의 기간 교통망으로 기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노선의 모든 철도교통량이 모여들기 때문에 경부1선의 서울~금천구청 구간은 대한민국 철도에서 가장 많은 일 여객 179회(광역철도 제외)를 처리하고 있다.[42]

아래는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나온 경부선 구간을 경유하는 정기열차 운행빈도이다. (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구간명 선로용량 고속열차 새마을 무궁화 전동차 컨테이너 일반화물 합계
서울역 - 금천구청 222 114 29 35 1 0 4 183
금천구청 - 의왕 184 4 29 35 1 0 4 73
의왕 - 천안 186 4 29 35 1 14 18 101
천안 - 조치원 184 4 23 26 0 19 20 92
조치원 - 대전조차장 206 4 23 35 0 22 12 96
대전조차장 - 대전 180 4 12 25 0 22 4 67
대전 - 옥천 180 0 12 17 0 22 4 55
옥천 - 동대구 202 18 12 17 0 24 5 76
동대구 - 삼랑진 186 22 12 24 0 24 2 84
삼랑진 - 부산 188 6 11 22 0 8 1 48
경부2선
지하서울 - 구로 288 0 0 0 224 0 0 224
구로 - 병점 187 0 0 0 154 0 0 154
병점 - 천안 195 0 0 0 87 0 0 87
경부3선
서울 - 용산 74 18 0 0 0 0 3 21
용산 - 구로 286 0 0 0 109 0 0 109

이용객 변동

[편집]

경부선은 2015년 기준으로 1년에 약 7천 3백만 명을 수송했으며, 이는 약 1억 4천만 명인 한국철도 전체의 지역 간 여객 수송량 가운데 약 54%에 달하는 양이다. 거리별 이동량을 나타내는 인거리(passenger-Km)수치 역시 압도적이며, 전체 약 234억 인km 가운데 51%인 119억 인km를 경부선이 담당하고 있다.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43]
통일(통근) 2,133,367 1,876,171 1,727,648 1,606,204 421,072 115,412 140,755 2,831 0 0 0 0 0 0 0 0
무궁화 47,851,927 48,470,665 45,416,306 43,612,827 40,580,652 34,387,740 33,289,113 32,696,804 33,575,709 32,496,658 35,373,547 39,217,582 40,513,600 42,810,457 42,790,141 40,839,467
새마을 12,170,099 12,550,427 12,125,059 11,403,695 9,528,951 7,918,371 7,057,689 6,868,325 7,332,859 7,235,076 7,123,952 6,665,730 6,108,177 6,039,233 6,619,565 6,537,926
KTX 미개통 16,602,850 26,074,227 29,020,126 29,442,980 29,787,617 29,181,375 30,402,405 27,644,980 28,082,720 28,631,972 29,335,412 25,887,722
건설 539,019 581,031 580,450 600,101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2,458,989 2,927,769 3,040,054 2,945,872
합계 65,153,403 66,406,063 62,889,517 60,168,699 67,133,525 68,495,750 69,507,683 69,010,940 70,696,185 68,913,109 72,899,904 73,528,292 74,704,497 77,481,662 78,745,118 73,265,11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1. 수도권 전철 차량 및 열차만 운행
  2. 동대구 - 가천간은 대구선 열차용 단선까지 3선이다.
  3. 서울역발 열차는 대부분 부산행이고, 용산역발 열차는 대부분 익산, 목포, 여수엑스포행이다. 서울역에서는 용산역 착발 이외의 모든 여객열차가, 용산역장항선, 전라선, 호남선 직결 열차가 착발한다. 단, 예외의 경우도 있는데 경부선 상행 일부 열차가 용산역에서 운행이 종료되고 장항선 서울-신창 누리로 열차는 서울역에서 착발한다.
  4. 동시에 경인선 경성역 - 영등포역 구간이 경부선으로 편입되어, 경인선 전체 구간은 축소되었다.
  5. 현재는 정기 여객 영업에서 퇴역하여 임시열차로만 운행된다.
  6.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 - 남영 - 천안 구간에만, 대경선은 구미-경산 구간에만 운행한다.
  7.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8. 서울 - 대전 - 동대구 - 부산만 정차한다.
  9. 서울역 - 부산역까지 역 대부분 정차한다.
참조주
  1. Railroad train in Korea USC Digital Library
  2. 노형석, 《한국 근대사의 풍경》, 생각의 나무, 2004, p20
  3. 손길신 (2014). “한국철도 1877~1914년 주요사항 정리”. 《레일러》. 17호 (서울: 미래테크). 109쪽. 
  4. 박흥수 (2014년 11월 16일). “식민지 철도는 일본군부터 나르기 시작했다”. 《프레시안》. 
  5. 일본국관보 통감부 고시 제34호 Archived 2016년 10월 23일 - 웨이백 머신, 1908년 3월 23일.
  6. 일본국관보 철도원 고시 제53호, 1910년 6월 11일.
  7.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19호, 1934년 3월 22일.
  8. 鮮交會 (2017)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385쪽. ISBN 9788964951033. 
  9.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885호, 1944년 6월 10일.
  10. 조선총독부 고시 제378호, 1945년 6월 16일.
  11.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83호, 1964년 6월 23일.
  12.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77호, 1965년 10월 23일.
  13. “다이어改定(개정)”. 경향신문(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65년 10월 26일. 
  14.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26호, 1966년 4월 1일.
  15.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69호, 1966년 8월 6일.
  1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29호, 1967년 5월 30일.
  1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54호, 1968년 8월 16일.
  1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년 6월 4일.
  19.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15호, 1969년 6월 4일.
  20.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27호, 1969년 7월 9일.
  21. “제998호-수도권 전기철도”. 《대한뉴스》. 1974년 8월 31일. 
  22. “제1365호 건설의 소식”. 《대한뉴스》. 1981년 12월 30일. 
  23. “九老-仁川간 복복선 전철건설 착공”. 《연합뉴스》. 1991년 11월 23일. 
  24. “경부선 출근시간대 비둘기호 운행폐지”. 《연합뉴스》. 1994년 3월 26일. 
  25. 철도청고시 제1997-21호, 1997년 4월 24일.
  26. 정수영 기자 (2003년 4월 30일). “수원-화성 병점역 연장구간 개통”. 《KBS 7시뉴스》. 
  27. 이경진 기자 (2004년 4월 1일). “꿈의 열차 부산서 첫 출발”. 《KBS 9시뉴스》. 
  28.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8호, 2005년 10월 24일.
  29. 문성일 기자 (2006년 12월 7일). “경부선 441.7㎞ 전구간 전철화 완료”. 《머니투데이》. 
  3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31. 관리자 (2020년 4월 3일). “대구권 광역철도 사곡역 건설에 따른 사곡역 여객취급 중지 및 셔틀버스 운행 안내”. 《구미시청》. 2020년 4월 19일에 확인함. 
  32. [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2020년 8월 19일.
  33. 국토교통부장관 (2020년 11월 24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35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대한민국관보 제19883호. 155-157쪽.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34.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73호, 2021년 9월 9일.
  35. 이승엽 기자 (2021년 12월 2일). “대구 서대구역 개통 내년으로 연기…역세권개발 차질 불가피”. 《대구일보》. 
  36. 류현주 기자 (2023년 9월 1일). “코레일 신형 일반열차 'ITX-마음' 첫 운행 시작”. 《뉴시스》. 
  37. 렛츠코레일 공지사항
  38. 구미~경산 잇는 '대경선' 운행 첫날…"지하철 타는 것과 똑같네"
  39. 공식적으로는 경부선 상의 역이지만 경부선 계열 열차들은 전부 이 역을 통과하며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들은 전부 호남선 계열 열차들이다.
  40. 레츠코레일 2021년 3월 1일자 일반열차 시간표 기준
  41. 이재영 기자 (2012년 2월 2일). “1호선 고장 전동차 이송중 탈선…열차 재지연 '출근 대란'. 《이투데이》. 
  42. 서형석 기자 (2018년 12월 13일). “선로용량 96%까지 ‘빽빽이’ 운행… 가슴 졸이며 달리는 열차들”. 《동아일보》. 
  43.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