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서
보이기
한자 |
---|
발달과정 |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
서체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글꼴 |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
분류법 |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
한자의 표준화 |
표준 |
상용한자 강희자전 |
문자 개혁 |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
나라별 사용 |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
파생문자1 |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
파생문자2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예서(隸書, 문화어: 례서)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하나다. 진(秦)대의 여덟가지 대표 서체인 진서팔체(秦書八體) 중 하나이다.[1] 진대의 정막(程邈)이 정리하여 완성되었다고 전하며, 동한(東漢) 시기에 번성하였기에, 서예가 사이에서는 '한례당해(漢隷唐楷, 한대의 예서 당대의 해서가 뛰어남)'라고 한다.
하급관리인 도례(徒隷) 사이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예서라 불렀다. 글자체가 다소 넓고 납작하며, 가로획은 길고 세로획은 짧은 장방형이다. 소전(小篆)을 직선적으로 간략화한 것이다. 진한(秦漢) 시기 소전에서 예서로 가는 이른바 '예변(隷變) 과정은 한자 발전의 전환점이 되었다. 소전 이전 시기에는 육서(六書)라는 조자(造字) 원칙이 잘 지켰지만, 한대 예서에 이르면 이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서 형태의 변화가 발생하였다.[2] 예서가 모체가 되어 해행초(楷行草)의 삼체(三體)가 전개된다.
명칭
[편집]과거에는 예서의 유래가 '상주하는 일이 많아지고 전자(篆字)로는 처리하기 어려워 예인에게 문서 작성을 돕게 하였기에 예자(隸字)라 한다(奏事繁多, 篆字難成, 卽令隷人佐書, 曰隷字)'는 설에 근거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隸'에 '부속, 예속'이라는 뜻도 있다는 것을 고려, 전서의 '파생, 부속'이라는 의미에서 예서라고 칭하였다는 설도 있다. 현대 해서(楷書)를 '금례(今隷)' 혹은 '예서(隷書)라고도 한다.[3]:79[4]
참고 자료
[편집]이 글은 문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