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절
한자 |
---|
발달과정 |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
서체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글꼴 |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
분류법 |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
한자의 표준화 |
표준 |
상용한자 강희자전 |
문자 개혁 |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
나라별 사용 |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
파생문자1 |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
파생문자2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반절(反切)은 한자사전에서 한자의 음(音)을 표기하는 방법의 하나로, 두 글자를 가져오고 그 글자의 음을 조합해서 원래 글자의 음을 표기하는 방식이다. 반절이라는 이름은 반(反)과 절(切)을 합친 것으로, 수나라 시대 이전에는 '반' 혹은 '번'(翻)이라고 부르다가 당 대종 때 반역을 두려워한 황제가 '反'이라는 글자를 피휘(避諱)로 지정함으로 인해서 당대 이후에는 '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에서 유래했다.
역사
[편집]한자는 기본적으로 표음문자가 아니기 때문에, 처음 보거나 처음 배우는 한자의 음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주음부호와 한어병음과 같은 한자음 표기수단이 고안되기 전에는, 어떤 한자의 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다른 한자를 가져다와 쓸 수 밖에 없었다.
《이아》 같은 고대 사전에서는 어떤 한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그 한자와 음이 같은 다른 한자를 예로 들었다. 이 경우 보통 문장 형식이 'A,讀若B'(A는 B와 같이 읽는다), 혹은 'A,音B'(A는 음이 B다)였는데, 전자를 '독약법'(讀若法)[1]이라고 하고 후자를 '직음법'(直音法)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반절이라는 방식의 도입은 후한 시대 때 불교의 전래와 함께 인도의 음운학적 지식이 중국으로 들어온 것과 연관이 있다고 여겨진다. [1]삼국 시대 위나라의 손염(孫炎)이 《이아음의》(爾雅音義)를 쓰고 이 책에 처음으로 반절을 학술적인 표음 방법으로 채택했다고 하며, 위진 시대에 들어서 반절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1][2][3]
반절이 사용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료는 6세기의 《옥편》과 《경전석문》(經典釋文)이다.[4][5] 그 이후로도 601년에 만들어진 운서(韻書)인 《절운》(切韻)이나, 1716년에 완성된 《강희자전》에서도,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반절이 이용되었다. 이렇듯 한어병음과 주음부호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반절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현대에 들어서 반절은 중고음(中古音) 및 중국음운학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가 되고 있다.
사용 방법
[편집]반절의 기본 구조는 A,BC反 혹은 A,BC切이다. 음을 표기하려는 원래 글자(A)를 반절귀자(反切歸字), 음을 표기하기 위해 가져온 두 글자(B와 C)를 각각 반절상자(反切上字)와 반절하자(反切下字)라고 하는데, 반절상자는 성모를 표시하고 반절하자는 운모와 성조를 표시한다. 즉, B에서 음절의 초성 부분만 취하고, C에서 음절의 중성과 종성 및 성조를 취한 다음, 이 둘을 조합해서 A의 음을 표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운에 '東'(동)이라는 글자의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東,……德紅切」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德'(덕, [tək] 입성)의 성모인 [t], '紅'(홍, [ɣuŋ] 평성)의 운모 [uŋ]과 성조 평성을 합해서, '東'(동, [tuŋ] 평성)의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 「東,德紅切」: 東([tuŋ] 평성) = 德([tək] 입성) + 紅([ɣuŋ] 평성)
- 「根,古痕切」: 根([kən] 평성) = 古([kuo] 상성) + 痕([ɣən] 평성)
- 「可,枯我切」: 可([kʰɑ] 상성) = 枯([kʰuo] 평성) + 我([ŋɑ] 상성)
- 「崩,北滕切」: 崩([pəŋ] 평성) = 北([pək] 입성) + 滕([dəŋ] 평성)
- 「豆,田候切」: 豆([dəu] 거성) = 田([den] 평성) + 候([ɣəu] 거성)
한자음 변화의 영향
[편집]반절은 중고 시대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복잡한 법칙을 따라 한자음이 서서히 변한 현대에 이르러서는 반절귀자와 반절상자·반절하자의 관계가 불투명해졌다. 중고 시대에는 현재 보통화의 성조체계와는 다른 사성체계로 이루어져 있었고, 전탁음(全濁音), 즉 유성 장애음 성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사성체계가 성모의 청탁(무성·유성의 차이)에 영향을 받아 음조(陰調)와 양조(陽調)로 나누어져 팔성체계가 되었고, 그 후에 우어를 제외한 모든 중국어 방언에서 전탁음이 청음화(淸音化, 무성음화)되었는데, 이 때 성조의 영향을 받아 전청이 되거나 차청이 되었다. 이렇게 청탁과 성조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면서 변화를 거친 결과, 현대 중국어에서 반절은 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6]
예를 들어, 위의 예인 「東,德紅切」에서 東, 德, 紅의 보통화 발음은 각각 [tʊŋ⁵⁵](dōng), [tɤ³⁵](dé), [xʊŋ³⁵](hóng)으로, 東과 紅의 성조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東의 성모인 단모(端母, [t])는 무성음이고 紅의 성모인 갑모(匣母, [ɣ])는 유성음이라서, 원래 평성이었던 東과 紅의 성조가 각각 양평성과 음평성으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또한 「豆,田侯切」에서 豆, 田, 候의 보통화 발음은 각각 [tɤʊ̯⁵¹](dòu), [tʰjɛn³⁵](tián), [xɤʊ̯⁵¹](hòu)로, 豆과 田의 성모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豆과 田의 성모는 원래 정모(定母, [d])였는데, 유성음인 정모가 무성음화될 때 豆의 성조는 거성이어서 단모(端母, [t])로 흡수되고, 田의 성조는 평성이어서 투모(透母, [tʰ])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반절상·하자
[편집]《광운》에서 쓰인 반절상자와 반절하자는 다음과 같다[7].
반절상자
[편집]분류 | 성모 | 반절상자 | |
---|---|---|---|
순음 | 幫 | 方 必 北 伯 博 筆 愽 卑 補 分 百 巴 鄙 府 畀 彼 封 甫 兵 布 并 邊 陂 脯 | |
滂 | 匹 譬 丕 披 峯 拂 普 撫 孚 妃 滂 芳 敷 | ||
並 | 附 浮 便 毗 婢 符 平 傍 父 扶 薄 皮 馮 房 捕 步 部 防 白 縛 裴 弼 蒲 | ||
明 | 母 摸 無 武 美 明 莫 綿 模 彌 巫 慕 靡 文 亡 謨 眉 矛 望 | ||
설음 | 설두음 | 端 | 都 冬 當 多 得 德 丁 |
透 | 託 湯 土 台 吐 天 通 他 | ||
定 | 墜 堂 徒 唐 田 杜 同 陀 度 特 | ||
泥 | 乃 那 内 奴 諾 | ||
설상음 | 知 | 徵 知 張 陟 都 猪 追 中 豬 竹 丁 卓 | |
徹 | 抽 褚 敕 楮 丑 他 癡 恥 | ||
澄 | 除 直 持 丈 宅 治 池 徒 佇 柱 遟 馳 瑒 | ||
孃 | 穠 拏 妳 女 尼 | ||
치음 | 치두음 | 精 | 作 祖 則 子 臧 醉 兹 資 將 借 姊 𩛠 即 遵 |
清 | 麤 遷 醋 七 取 采 青 雌 此 倉 親 蒼 麁 千 | ||
從 | 疾 秦 才 昨 前 匠 在 漸 藏 徂 慈 自 情 | ||
心 | 私 桑 相 斯 寫 思 須 蘇 悉 素 息 雖 辛 胥 速 先 司 | ||
邪 | 隨 辝 辭 寺 似 夕 祥 詳 徐 旬 | ||
정치음 | 莊 | 鄒 仄 爭 簪 子 莊 側 阻 | |
初 | 初 芻 廁 測 創 叉 楚 瘡 | ||
崇 | 士 仕 鶵 豺 崱 鉏 鋤 牀 雛 助 査 崇 | ||
生 | 史 沙 色 數 所 砂 疏 生 踈 山 | ||
俟 | 俟 牀 | ||
章 | 止 煑 珍 旨 脂 章 職 占 支 征 側 之 諸 正 | ||
昌 | 處 姝 叱 尺 赤 昌 充 | ||
常 | 甞 視 是 成 常 植 氏 殖 十 殊 署 承 市 時 臣 寔 蜀 | ||
書 | 失 始 舒 釋 式 賞 傷 書 試 商 矢 施 識 詩 | ||
船 | 實 神 乗 食 | ||
아음 | 見 | 姑 吉 几 詭 各 格 公 兼 居 佳 紀 過 九 古 俱 谷 規 乖 舉 | |
溪 | 豈 客 欽 枯 牽 丘 詰 楷 綺 去 區 乞 弃 曲 苦 康 可 空 羌 窺 傾 驅 卿 墟 謙 口 恪 袪 起 | ||
羣 | 其 狂 跪 衢 求 奇 具 臼 巨 強 渠 曁 | ||
疑 | 五 吾 魚 宜 俄 牛 危 疑 玉 虞 研 愚 擬 語 | ||
후음 | 曉 | 荒 火 虚 胡 海 花 虎 許 呵 香 羲 朽 況 馨 興 况 呼 休 黑 喜 | |
匣 | 獲 何 胡 黃 懷 乎 戸 下 侯 | ||
影 | 伊 依 憶 愛 握 謁 乙 紆 央 哀 鷖 衣 一 安 烟 烏 挹 憂 於 | ||
云 | 永 薳 爲 有 雨 王 于 羽 榮 雲 下 筠 云 韋 洧 委 | ||
以 | 與 羊 以 移 余 于 夷 餘 翼 悅 營 弋 | ||
반설음 | 來 | 勒 力 賴 里 盧 連 縷 良 洛 郎 離 魯 林 來 呂 落 練 | |
반치음 | 日 | 人 而 儒 兒 如 耳 仍 汝 |
반절하자
[편집]운모 중 A와 B로 나뉘어 있는 것은 일부 학자[8]의 학설에 의한 것이다. 아래 표에서 반절하자는 사성에 따라 나뉘어 있으며, 각 성조에 대한 반절하자는 《광운》에서의 대표자(왼쪽)와 반절하자(오른쪽)의 두 칸으로 나뉘어 있으나, 대표자가 반드시 반절하자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섭 | 운목 | 등 | 호 | 운모 | 반절하자 | |||||||
---|---|---|---|---|---|---|---|---|---|---|---|---|
평성 | 상성 | 거성 | 입성 | |||||||||
通 | 東 | 1 | 개 | 東1 | 東1 | 凍 紅 公 東 空 | 董1 | 董 蠓 動 孔 揔 | 送1 | 送 凍 弄 貢 | 屋1 | 卜 木 禄 谷 |
3 | 개 | 東3 | 東3 | 中 融 弓 終 宮 戎 | 送3 | 鳳 衆 仲 | 屋3 | 逐 六 菊 竹 宿 福 匊 | ||||
冬 | 1 | 개 | 冬 | 冬 | 宗 冬 | 湩 | 湩 𪁪 | 宋 | 宋 統 綜 | 沃 | 沃 篤 酷 毒 | |
鍾 | 3 | 개 | 鍾 | 鍾 | 凶 庸 封 容 鍾 恭 | 腫 | 宂 勇 踵 隴 冢 拱 奉 悚 | 用 | 用 頌 | 燭 | 足 蜀 録 欲 玉 曲 | |
江 | 江 | 2 | 개 | 江 | 江 | 江 雙 | 講 | 講 項 慃 | 絳 | 絳 降 巷 | 覺 | 角 覺 岳 |
止 | 支A | 3 | 개 | 支A개 | 支A개 | 移 支 | 紙A개 | 此 紙 是 婢 氏 帋 爾 | 寘A개 | 智 賜 豉 義 企 | ||
합 | 支A합 | 支A합 | 爲 吹 隨 垂 隋 規 | 紙A합 | 婢 捶 累 髓 委 | 寘A합 | 睡 瑞 恚 僞 避 | |||||
支B | 3 | 개 | 支B개 | 支B개 | 知 移 爲 宜 羈 奇 離 | 紙B개 | 豸 氏 綺 弭 侈 彼 靡 倚 爾 委 | 寘B개 | 義 寄 | |||
합 | 支B합 | 支B합 | 爲 危 支 垂 | 紙B합 | 詭 毁 弭 委 | 寘B합 | 睡 恚 僞 | |||||
脂A | 3 | 개 | 脂A개 | 脂A개 | 私 脂 肌 夷 資 之 | 旨A개 | 履 几 矢 | 至A개 | 寐 二 至 四 自 利 | |||
합 | 脂A합 | 脂A합 | 綏 隹 追 維 遺 | 旨A합 | 水 癸 誄 軌 壘 累 | 至A합 | 醉 遂 悸 類 季 | |||||
脂B | 3 | 개 | 脂B개 | 脂B개 | 眉 悲 夷 飢 尼 | 旨B개 | 視 美 雉 履 几 鄙 姊 | 至B개 | 冀 器 兾 備 媚 祕 利 | |||
합 | 脂B합 | 脂B합 | 隹 悲 追 | 旨B합 | 美 軌 洧 | 至B합 | 萃 愧 位 類 | |||||
之 | 3 | 개 | 之 | 之 | 甾 其 而 持 兹 之 擬 己 | 止 | 止 士 史 里 紀 市 | 志 | 吏 置 志 記 | |||
微 | 3 | 개 | 微개 | 微개 | 希 依 衣 | 尾개 | 豈 狶 | 未개 | 旣 豙 | |||
합 | 微합 | 微합 | 非 微 韋 歸 | 尾합 | 鬼 匪 偉 尾 | 未합 | 未 沸 貴 胃 味 畏 | |||||
遇 | 魚 | 3 | 개 | 魚 | 魚 | 余 居 魚 諸 | 語 | 與 渚 巨 与 吕 許 舉 | 御 | 預 洳 慮 署 去 據 倨 御 助 恕 | ||
虞 | 3 | 합 | 虞 | 虞 | 無 隅 夫 芻 俞 輸 于 誅 逾 俱 朱 | 麌 | 武 矩 雨 庾 禹 羽 甫 主 | 遇 | 注 戍 遇 句 具 | |||
模 | 1 | 개 | 模 | 模 | 姑 吳 吾 胡 乎 都 孤 烏 | 姥 | 補 杜 古 魯 戸 | 暮 | 故 路 暮 誤 祚 | |||
蟹 | 齊 | 4 | 개 | 齊개 | 齊개 | 臡 稽 低 兮 迷 奚 雞 | 薺개 | 米 弟 啓 禮 | 霽개 | 戾 計 詣 | ||
합 | 齊합 | 齊합 | 圭 攜 | 霽합 | 惠 桂 | |||||||
祭A | 3 | 개 | 祭A개 | 祭A개 | 祭 制 袂 蔽 例 獘 | |||||||
합 | 祭A합 | 祭A합 | 歲 銳 芮 | |||||||||
祭B | 3 | 개 | 祭B개 | 祭B개 | 憩 罽 例 | |||||||
합 | 祭B합 | 祭B합 | 歲 衛 稅 芮 | |||||||||
泰 | 1 | 개 | 泰개 | 泰개 | 大 蓋 太 貝 帶 艾 | |||||||
합 | 泰합 | 泰합 | 外 會 最 | |||||||||
佳 | 2 | 개 | 佳개 | 佳개 | 佳 膎 | 蟹개 | 蟹 買 | 卦개 | 賣 隘 懈 卦 | |||
합 | 佳합 | 佳합 | 媧 緺 娃 | 蟹합 | 買 夥 𠁥 | 卦합 | 賣 卦 | |||||
皆 | 2 | 개 | 皆개 | 皆개 | 諧 皆 | 駭개 | 駭 楷 | 怪개 | 戒 拜 介 怪 界 | |||
합 | 皆합 | 皆합 | 淮 懷 乖 皆 | 怪합 | 壞 怪 | |||||||
夬 | 2 | 개 | 夬개 | 夬개 | 犗 夬 話 邁 喝 | |||||||
합 | 夬합 | 夬합 | 夬 快 | |||||||||
灰 | 1 | 합 | 灰 | 灰 | 灰 杯 恢 回 | 賄 | 罪 賄 猥 | 隊 | 妹 隊 對 輩 佩 昧 繢 内 | |||
咍 | 1 | 개 | 咍 | 咍 | 才 哀 開 來 哉 | 海 | 改 亥 乃 在 紿 宰 愷 | 代 | 耐 愛 代 槩 漑 | |||
廢 | 3 | 개 | 廢개 | 廢개 | 肺 | |||||||
합 | 廢합 | 廢합 | 穢 廢 吠 肺 | |||||||||
臻 | 眞A | 3 | 개 | 眞A | 眞A | 珍 賓 鄰 人 眞 | 軫A | 引 忍 腎 軫 盡 | 震A | 印 晉 振 遴 刃 | 質A | 必 吉 畢 日 七 質 悉 栗 |
眞B | 3 | 개 | 眞B개 | 眞B개 | 珍 巾 鄰 人 銀 | 軫B개 | 引 忍 紖 殞 | 震B개 | 覲 遴 刃 | 質B개 | 密 筆 畢 乙 質 悉 一 | |
합 | 眞B합 | 眞B합 | 倫 筠 贇 | 軫B합 | 敏 殞 | 質B합 | 筆 | |||||
諄 | 3 | 합 | 諄 | 諄 | 倫 綸 勻 迍 脣 旬 遵 | 準 | 允 尹 準 | 稕 | 順 閏 峻 | 術 | 聿 律 卹 | |
臻 | 3 | 합 | 臻 | 臻 | 臻 詵 | 櫛 | 瑟 櫛 叱 | |||||
文 | 3 | 합 | 文 | 文 | 分 文 云 | 吻 | 粉 吻 | 問 | 運 問 | 物 | 弗 勿 物 | |
欣 | 3 | 개 | 欣 | 欣 | 斤 欣 | 隱 | 謹 隱 | 焮 | 焮 靳 | 迄 | 迄 | |
元 | 3 | 개 | 元개 | 元개 | 言 軒 | 阮개 | 偃 幰 | 願개 | 建 万 | 月개 | 訐 歇 謁 | |
합 | 元합 | 元합 | 袁 煩 元 | 阮합 | 遠 晚 阮 | 願합 | 販 願 万 怨 | 月합 | 越 發 月 厥 伐 | |||
魂 | 1 | 합 | 魂 | 魂 | 魂 尊 渾 昆 奔 | 混 | 衮 本 忖 損 | 慁 | 悶 困 寸 | 沒 | 忽 没 勃 骨 | |
痕 | 1 | 개 | 痕 | 痕 | 痕 根 恩 | 很 | 墾 很 | 恨 | 恨 艮 | |||
山 | 寒 | 1 | 개 | 寒 | 寒 | 寒 干 安 | 旱 | 旱 笴 但 | 翰 | 案 賛 旰 按 旦 | 曷 | 割 葛 達 曷 |
桓 | 1 | 합 | 桓 | 桓 | 丸 潘 端 官 | 緩 | 緩 滿 旱 伴 管 纂 | 換 | 筭 段 換 貫 半 玩 喚 慢 亂 | 末 | 括 割 撥 栝 活 末 | |
刪 | 2 | 개 | 刪개 | 刪개 | 班 姦 顔 還 | 潸개 | 板 綰 赧 | 諫개 | 晏 鴈 澗 諫 患 | 黠개 | 八 拔 黠 | |
합 | 刪합 | 刪합 | 頑 還 關 | 潸합 | 鯇 板 | 諫합 | 慣 患 | 黠합 | 八 滑 | |||
山 | 2 | 개 | 山개 | 山개 | 閑 山 閒 | 產개 | 簡 限 | 襇개 | 莧 幻 襇 | 鎋개 | 轄 鎋 瞎 | |
합 | 山합 | 山합 | 頑 鰥 | 產합 | 辨 綰 | 襇합 | 幻 | 鎋합 | 䫄 刮 | |||
先 | 4 | 개 | 先개 | 先개 | 年 前 煙 田 先 玄 賢 顚 堅 | 銑개 | 殄 峴 泫 典 繭 | 霰개 | 見 麵 佃 電 甸 練 | 屑개 | 蔑 屑 結 | |
합 | 先합 | 先합 | 玄 涓 | 銑합 | 畎 泫 | 霰합 | 縣 練 | 屑합 | 穴 決 | |||
仙A | 3 | 개 | 仙A개 | 仙A개 | 然 仙 連 延 | 獮A개 | 兖 演 翦 淺 善 展 緬 | 線A개 | 箭 扇 戰 線 賤 面 膳 彦 | 薛A개 | 辥 熱 列 滅 | |
합 | 仙A합 | 仙A합 | 專 泉 緣 員 川 宣 | 獮A합 | 兖 轉 | 線A합 | 卷 釧 眷 絹 掾 囀 戀 | 薛A합 | 輟 雪 絕 爇 劣 悅 | |||
仙B | 3 | 개 | 仙B개 | 仙B개 | 乾 焉 連 延 | 獮B개 | 演 免 善 辨 展 蹇 輦 | 線B개 | 箭 變 扇 碾 眷 | 薛B개 | 列 竭 别 | |
합 | 仙B합 | 仙B합 | 緣 攣 圓 權 員 全 | 獮B합 | 兖 篆 轉 免 | 線B합 | 倦 卷 眷 戀 | 薛B합 | 劣 悅 | |||
效 | 蕭 | 4 | 개 | 蕭 | 蕭 | 幺 堯 蕭 聊 彫 | 篠 | 皎 鳥 了 皛 | 嘯 | 弔 叫 嘯 | ||
宵A | 3 | 개 | 宵A | 宵A | 焦 邀 霄 消 招 昭 遙 | 小A | 小 少 沼 | 笑A | 要 兆 肖 召 笑 照 妙 | |||
宵B | 3 | 개 | 宵B | 宵B | 嬌 宵 瀌 遙 嚻 喬 | 小B | 兆 小 矯 夭 表 | 笑B | 召 照 廟 | |||
肴 | 2 | 개 | 肴 | 肴 | 交 茅 嘲 肴 | 巧 | 絞 飽 爪 巧 | 效 | 孝 稍 皃 敎 | |||
豪 | 1 | 개 | 豪 | 豪 | 袍 毛 曹 遭 刀 襃 勞 | 晧 | 浩 老 早 抱 道 晧 | 号 | 報 耗 倒 導 到 | |||
果 | 歌 | 1 | 개 | 歌 | 歌 | 河 何 歌 俄 | 哿 | 可 我 | 箇 | 箇 个 賀 邏 佐 | ||
戈 | 1 | 합 | 戈1합 | 戈1합 | 婆 禾 戈 和 波 | 果1합 | 可 火 果 | 過 | 貨 卧 過 唾 臥 | |||
3 | 개 | 戈3개 | 戈3개 | 伽 迦 | ||||||||
합 | 戈3합 | 戈3합 | 𩨷 靴 𩨭 伽 𦚢 | |||||||||
假 | 麻 | 2 | 개 | 麻2개 | 麻2개 | 加 巴 霞 牙 | 馬2개 | 賈 雅 疋 下 | 禡2개 | 訝 嫁 亞 駕 | ||
합 | 麻2합 | 麻2합 | 花 華 瓜 | 馬2합 | 寡 瓦 | 禡2합 | 罵 化 霸 㕦 | |||||
3 | 개 | 麻2합 | 麻3개 | 車 嗟 遮 奢 邪 賒 | 馬3개 | 冶 也 姐 者 野 | 禡3개 | 謝 夜 | ||||
宕 | 陽 | 3 | 개 | 陽개 | 陽개 | 羊 章 陽 莊 良 | 養개 | 㢡 掌 丈 兩 | 漾개 | 向 亮 樣 讓 | 藥개 | 雀 灼 略 約 虐 若 爵 勺 藥 |
합 | 陽합 | 陽합 | 方 王 良 | 養합 | 昉 兩 養 网 往 | 漾합 | 訪 況 亮 放 妄 | 藥합 | 籰 钁 縛 | |||
唐 | 1 | 개 | 唐개 | 唐개 | 旁 當 光 岡 郎 | 蕩개 | 黨 朗 | 宕개 | 浪 宕 曠 | 鐸개 | 各 落 | |
합 | 唐합 | 唐합 | 黃 光 | 蕩합 | 晃 廣 | 宕합 | 謗 浪 曠 | 鐸합 | 穫 各 博 郭 | |||
梗 | 庚 | 2 | 개 | 庚2개 | 庚2개 | 庚 行 盲 | 梗2개 | 幸 杏 梗 冷 打 猛 | 映2개 | 更 孟 敬 | 陌2개 | 格 伯 陌 白 |
합 | 庚2합 | 庚2합 | 橫 盲 | 梗2합 | 礦 䁝 猛 | 映2합 | 孟 | 陌2합 | 伯 白 擭 | |||
3 | 개 | 庚3개 | 庚3개 | 庚 明 京 驚 卿 兵 | 梗3개 | 永 影 丙 景 | 映3개 | 病 慶 敬 命 | 陌3개 | 劇 逆 戟 郤 | ||
합 | 庚3합 | 庚3합 | 榮 兵 | 梗3합 | 永 憬 | 映3합 | 命 | 陌3합 | 虢 | |||
耕 | 2 | 개 | 耕개 | 耕개 | 莖 萌 耕 | 耿개 | 幸 耿 | 諍개 | 爭 諍 迸 | 麥개 | 摘 革 厄 麥 核 獲 責 戹 | |
합 | 耕합 | 耕합 | 宏 萌 | 諍합 | 迸 | 麥합 | 麥 摑 獲 | |||||
清 | 3 | 개 | 清개 | 清개 | 貞 成 盈 征 情 并 | 靜개 | 靜 井 整 郢 | 勁개 | 令 姓 正 盛 政 鄭 | 昔개 | 昔 辟 積 隻 易 石 炙 益 迹 亦 | |
합 | 清합 | 清합 | 傾 營 | 靜합 | 頃 潁 | 勁합 | 正 | 昔합 | 隻 役 | |||
青 | 4 | 개 | 青개 | 青개 | 經 靈 刑 丁 | 迥개 | 鼎 迥 涬 醒 頂 挺 剄 | 徑개 | 定 徑 佞 | 錫개 | 歷 擊 狄 激 | |
합 | 青합 | 青합 | 螢 扃 | 迥합 | 迥 頂 | 錫합 | 闃 鶪 狊 | |||||
曾 | 蒸 | 3 | 개 | 蒸개 | 蒸개 | 蒸 冰 升 陵 兢 乗 仍 矜 膺 | 拯개 | 拯 庱 | 證개 | 證 應 甑 孕 𩜁 | 職개 | 直 逼 力 職 側 極 翼 即 |
합 | 蒸합 | 職합 | 逼 | |||||||||
登 | 1 | 개 | 登개 | 登개 | 崩 滕 恒 楞 增 登 朋 | 等개 | 肯 等 | 嶝개 | 鄧 贈 隥 亘 | 德개 | 則 得 勒 黑 墨 德 北 | |
합 | 登합 | 登합 | 肱 弘 | 德합 | 或 國 | |||||||
流 | 尤 | 3 | 개 | 尤 | 尤 | 周 浮 州 秋 鳩 尤 謀 由 流 求 | 有 | 久 婦 柳 酉 否 九 有 | 宥 | 佑 富 僦 副 呪 溜 救 又 祐 | ||
侯 | 1 | 개 | 侯 | 侯 | 侯 婁 鉤 | 厚 | 后 垢 苟 厚 斗 口 | 候 | 漏 遘 豆 候 奏 | |||
幽 | 3 | 개 | 幽 | 幽 | 烋 彪 虯 幽 | 黝 | 糾 黝 | 幼 | 謬 幼 | |||
深 | 侵A | 3 | 개 | 侵A | 侵A | 針 心 深 尋 林 淫 | 寑A | 枕 甚 朕 稔 荏 | 沁A | 禁 任 鴆 | 緝A | 執 入 立 汁 |
侵B | 3 | 개 | 侵B | 侵B | 今 金 針 吟 簪 心 深 林 | 寑B | 㾕 甚 錦 朕 凜 飲 稔 | 沁B | 禁 譖 蔭 鴆 | 緝B | 戢 入 及 立 汲 急 | |
咸 | 覃 | 1 | 개 | 覃 | 覃 | 南 含 男 | 感 | 禫 唵 感 | 勘 | 暗 紺 | 合 | 沓 閤 荅 合 |
談 | 1 | 개 | 談 | 談 | 談 甘 三 酣 | 敢 | 覽 敢 | 闞 | 瞰 蹔 𣊟 暫 濫 | 盍 | 盍 榼 雜 臘 | |
鹽A | 3 | 개 | 鹽A | 鹽A | 鹽 廉 占 | 琰A | 染 漸 冉 琰 | 豔A | 驗 豔 贍 | 葉A | 涉 接 葉 攝 | |
鹽B | 3 | 개 | 鹽B | 鹽B | 淹 廉 炎 | 琰A | 檢 險 儉 琰 斂 奄 | 豔A | 驗 窆 豔 | 葉B | 葉 輒 | |
添 | 4 | 개 | 添 | 添 | 兼 甜 | 忝 | 玷 忝 簟 | 㮇 | 店 念 | 怗 | 頰 愜 牒 協 | |
咸 | 2 | 개 | 咸 | 咸 | 讒 咸 | 豏 | 豏 斬 減 | 陷 | 賺 陷 韽 | 洽 | 洽 夾 㘝 | |
銜 | 2 | 개 | 銜 | 銜 | 銜 監 | 檻 | 黤 檻 | 鑑 | 鑑 懺 | 狎 | 甲 狎 | |
嚴 | 3 | 개 | 嚴 | 嚴 | 嚴 𩏩 | 儼 | 广 掩 | 釅 | 劔 欠 釅 | 業 | 劫 業 怯 | |
凡 | 3 | 합 | 凡 | 凡 | 凡 咸 | 范 | 錽 犯 范 | 梵 | 泛 劔 梵 | 乏 | 乏 法 |
의의와 한계
[편집]반절은 음절을 반으로 나눠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과학적이고 진보된 표음 방식이다. 또한 반절에 쓰이는 반절상하자에는 잘 쓰이지 않는 글자를 피했기 때문에, 반절상하자의 음들을 알고 있으면 원래 알고자 하는 어려운 한자의 음을 금방 알 수 있었다. 이런 면에서 반절은 이전에 쓰이던 독약법, 직음법 등의 방법과 비교해서 훨씬 더 진화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와 비교할 때, 반절로 표기할 때 쓰이는 상하자가 너무 많다는 점(반절상자 약 400개, 반절하자 약 1000개, 조합 약 5000개)과, 글자의 그대로 읽지 않고 일부분만 따온 다음 조합해서 읽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쉬운 글자의 음을 표기할 때 오히려 더 복잡한 글자들의 합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예를 들어 一(일)은 於(어)와 悉(실)의 합으로, 八(팔)은 博(박)과 撥(발)의 합으로 표현되어 있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Casacchia (2006), 359쪽.
- ↑ Chu (1990).
- ↑ 안씨가훈 음사편:「孫叔然創《爾雅音義》,是漢末人獨知反語。至於魏世,此事大行。」
- ↑ Pulleyblank (1984), 144쪽.
- ↑ Baxter (1992), 40쪽.
- ↑ Norman (1988), 34–36, 52–54쪽.
- ↑ http://ytenx.org/kyonh/
- ↑ 李荣, 蒲立本, 白一平, 陈以信 등.
인용 자료
- Baxter, William H. (1992),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Berlin: Mouton de Gruyter, ISBN 978-3-11-012324-1.
- Casacchia, G. (2006), 〈Chinese Linguistic Tradition〉, Brown, Keith,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 2판, London: Elsevier, 358–362쪽, ISBN 978-0-08-035943-4.
- Chu, Chia-Ning 竺家寧 (1990), 《聲韻學》 [Phonology], Taipei: 五南圖書. (This book pointed out that use of fanqie appeared as early as Eastern Han.)
-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9653-3.
- Pulleyblank, Edwin G. (1984),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ISBN 978-0-7748-0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