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 사상
대수기하학에서 고유 사상(固有寫像, 영어: proper morphism)은 복소다양체 사이의 고유 함수를 일반화하는 스킴 사상의 종류이다.
정의
[편집]스킴 사상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보편 닫힌 사상(普遍닫힌寫像, 영어: universally closed morphism)이라고 한다.[1]:100
두 스킴 , 사이의 사상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고유 사상이라고 한다.[1]:100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 에 대하여, 만약 한 점으로 가는 사상 가 고유 사상이라면, 를 완비 대수다양체(完備代數多樣體, 영어: complete variety)라고 한다.[1]:105 이는 위상 공간의 콤팩트성에 대응하는 조건이다. 위상 공간 의 경우, 한 점을 갖는 위상 공간으로의 사상 이 고유 함수인 것은 가 콤팩트 공간인 것과 동치이기 때문이다.
값매김 조건
[편집]고유성의 값매김 조건(영어: valuative criterion of properness)에 따르면, 임의의 스킴 와 국소 뇌터 스킴 사이의 준콤팩트 분리 유한형 사상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144, Théorème 7.3.8[1]:101, Theorem II.4.7
- 는 고유 사상이다.
- 임의의 이산 값매김환 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포함 관계 에 대한 오른쪽 유일 올림 성질을 만족시킨다. 즉, 임의의 값매김환 , 임의의 사상 및 임의의 사상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사상 가 항상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 조건에서, "유일하게 존재한다"를 "존재한다면 유일하다"로 바꾸면, 분리 사상의 값매김 조건을 얻는다. 즉, 공역이 국소 뇌터 스킴인 유한형 사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값매김 조건이 존재한다.
조건 | 올림이 항상 존재? | 올림이 존재한다면 유일? |
---|---|---|
보편 닫힌 사상 | 예 | 아니오 |
분리 사상 | 아니오 | 예 |
고유 사상 | 예 | 예 |
여기서 "올림"은 값매김환의 닫힌 점의 포함 사상 에 대한 것이다.
성질
[편집]모든 유한 사상은 고유 사상이다. 특히, 모든 닫힌 몰입은 고유 사상이다.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완비 대수다양체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사영 대수다양체는 항상 완비 대수다양체이다. 낮은 차원에서는 그 역이 부분적으로 성립한다.
- 1차원: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모든 (기약) 대수 곡선은 사영 대수다양체이다.[1]:105, Remark II.4.10.2(a)
- 2차원: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모든 (기약) 비특이 대수 곡면은 사영 대수다양체이다.[1]:105, Remark II.4.10.2(b) 반면 특이점을 갖는, 사영 대수다양체가 아닌 복소수 완비 대수다양체가 존재한다.[1]:105, Remark II.4.10.2(c)[3]:Theorem 1, Example 1
- 3차원 이상에서는 히로나카의 예(영어: Hironaka’s example)로 불리는, 사영 대수다양체가 아닌 복소수 비특이 완비 대수다양체가 존재한다.[1]:105, Remark II.4.10.2(d)[3]:Theorem 2[4][5]
복소수 위의 비특이 대수다양체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나가타 콤팩트화 정리
[편집]스킴 에서 뇌터 스킴 로 가는 분리 유한형 사상 이 주어졌다고 하자. 나가타 콤팩트화 정리(영어: Nagata compactification theorem)[6][7] 에 따르면, 는 다음과 같은 꼴로 분해될 수 있다.
여기서
이에 따라, 뇌터 스킴 위의 모든 분리 유한형 사상은 고유 사상에 가깝다. 특히, 대수다양체의 경우, 모든 대수다양체는 완비 대수다양체의 자리스키 열린집합으로 나타내어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 정리는 위의 조건을 뇌터 스킴에서 콤팩트 준분리 스킴으로 약화시켜도 성립한다.[8]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 ↑ Grothendieck, Alexandre; Dieudonné, Jean (1961).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II. Étude globale élémentaire de quelques classes de morphismes”.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 (프랑스어) 8. doi:10.1007/bf02699291. ISSN 0073-8301. MR 0217084. 2017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Nagata, Masayoshi (1958). “Existence theorems for non-projective complete algebraic varieties”. 《Illinois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2 (4A): 490–498. ISSN 0019-2082. MR 0097406. Zbl 0081.37503.
- ↑ Hironaka, Heisuke (1960). 《On the theory of birational blowing-up》 (영어). 박사 학위 논문. 하버드 대학교. OCLC 76987668.
- ↑ Hironaka, Heisuke (1962). “An example of a non-Kählerian complex-analytic deformation of Kählerian complex structure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75: 190–208. JSTOR 1970426. MR 0139182.
- ↑ Nagata, Masayoshi (1962). “Imbedding of an abstract variety in a complete variety”. 《Journal of Mathematics of Kyoto University》 (영어) 2 (1): 1–10. ISSN 0023-608X. MR 0142549.
- ↑ Nagata, Masayoshi (1963). “A generalization of the imbedding problem of an abstract variety in a complete variety”. 《Journal of Mathematics of Kyoto University》 (영어) 3 (1): 89–102. ISSN 0023-608X. MR 0158892.
- ↑ Conrad, Brian (2007년 8월 10일). “Deligne’s notes on Nagata compactifications” (PDF) (영어).
외부 링크
[편집]- “Proper morphis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Complete algebraic variet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Proper map”. 《nLab》 (영어).
- “Universally closed morphism”. 《nLab》 (영어).
- “Valuative criterion of properness”. 《nLab》 (영어).
- “Complete algebraic variety”.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