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6
보이기
R136은 독거미 성운의 중심 부근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1] 약 100만년에서 200만년 된 성단으로,[1] 거성과 초거성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 분광형이 O3으로,[1] O3형 항성이 39개 확인되었다.[1][2] 또한 울프-레이에 별도 몇 개 확인되고 있다.[2][3]
R136 성단은 몇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중앙부의 R136a는 한때 질량이 태양의 1500배에 광도가 3000만배, 온도는 55000K에서 60000K고 직경은 8000만km에 달하는 초거성이라고 여겨졌었다. 하지만 R136a의 진짜 모습은 스페클 영상화에 의해 해명되었는데,[4] 12개의 질량이 크고 광도가 높은 항성으로 구성된 성단인 것으로 밝혀졌다.[5] 이 항성들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37배에서 76배로 계산된다.[5] 또한 3개의 아주 밝은 항성(R136a1, R136a2, R136a3)들이 각각 불과 0.1초, 0.48초 각도 차이로 떨어져 존재한다. 이 중 R136a1은 질량이 태양의 265배로 알려져, 현재까지 발견된 항성 중 가장 무겁다.[6] 또한 광도가 태양의 1000만배로 가장 밝은 항성이기도 하다.[7] R136은 독거미 성운이 방출하는 빛과 열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성단의 질량은 태양의 45만배로 여겨지고, 시간이 흐르면 구상성단이 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8]
구성
[편집]이름 | 적경 | 적위 | 겉보기 등급(V) | 분광형 | 데이터베이스 |
---|---|---|---|---|---|
R136a | 05h 38m 43.3s | -69° 06′ 08″ | 성단 | SIMBAD | |
R136a1 (BAT99 108) | 05h 38m 42.43s | -69° 06′ 02.2″ | 12.77 | WN | SIMBAD |
R136a2 (BAT99 109) | 05h 38m 42.45s | -69° 06′ 02.2″ | 13.38 | Wolf-Rayet | SIMBAD |
R136a3 (BAT99 106) | 05h 38m 42.291s | -69° 06′ 03.45″ | 12.93 | WN | SIMBAD |
R136 Ab (SNR B0538-69.2) | 05h 37m 51.6s | -69° 10′ 23″ | 9.59 | SNR | SIMBAD |
R136 Ac (PSR J0537-6910) | 05h 37m 47.6s | -69° 10′ 20″ | 펄사 | SIMBAD | |
R136b (BAT99 111) | 05h 38m 42.78s | -69° 06′ 03.1″ | 13.66 | O4 | SIMBAD |
R136c (BAT99 112) | 05h 38m 42.896s | -69° 06′ 04.92″ | 12.86 | WN | SIMBAD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Massey, P ; Hunter, D. (January 1998).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The Astrophysical Journal》 493 (1): 180. doi:10.1086/306503.
- ↑ 가 나 Lebouteiller, V.; Bernard-Salas, J.; Brandl, B.; Whelan, D. G.; Wu, Yanling; Charmandaris, V.; Devost, D.; Houck, J. R. (June 2008).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The Astrophysical Journal》 680 (1): 398–419. doi:10.1086/587503.
- ↑ Melnick, J. (December 1985,). “The 30 Doradus nebula. I -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153 (1): 235–244.
- ↑ Weigelt, G.; Baier, G. (September 1985). “R136a in the 30 Doradus nebula resolved by holographic speckle interferomet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150: L18–L20.
- ↑ 가 나 Koter, Heap, and Hubeny, Alex; Heap, Sara R.; Hubeny, Ivan (1998). “An Empirical Isochrone of Very Massive Stars in R136A”. 《The Astrophysical Journal》 509: 879–896. doi:10.1086/306503. 2019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Amos, Jonathan (2010년 7월 21일). “Astronomers detect 'monster star'”. BBC News.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Chow, Denise (2010년 7월 21일). “Heftiest Star Discovery Shatters Cosmic Record”. SPACE.com.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Bosch, Guillermo; Terlevich, Elena; Terlevich, Roberto (2009).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Astronomical Journal》 137 (2): 3437–3441. doi:10.1088/0004-6256/137/2/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