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 에서 E6 는 다섯 개의 예외적 단순 리 군 가운데 하나다.[ 1] [ 2] 78차원의 리 군이며, 그 리 대수 는
e
6
{\displaystyle {\mathfrak {e}}_{6}}
이다.
E6 는 팔원수 를 사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 로 구성된 요르단 대수
H
(
3
;
O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3;\mathbb {O} )}
가 존재하며, 이는 실수 요르단 대수의 분류에서 유일한 예외적 요르단 대수이다. 이는 실수 27차원 대수이다.
H
3
(
O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3}(\mathbb {O} )}
위의 행렬식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3] :§3.4
det
M
=
1
3
tr
M
3
−
1
2
tr
M
2
tr
M
+
1
6
(
tr
M
)
3
{\displaystyle \det M={\frac {1}{3}}\operatorname {tr} M^{3}-{\frac {1}{2}}\operatorname {tr} M^{2}\operatorname {tr} M+{\frac {1}{6}}(\operatorname {tr} M)^{3}}
성분으로 표기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det
(
a
z
y
z
¯
b
x
y
¯
x
¯
c
)
=
a
b
c
−
(
a
|
x
|
2
+
b
|
y
|
2
+
c
|
z
|
2
)
+
2
Re
(
x
y
z
)
{\displaystyle \det {\begin{pmatrix}a&z&y\\{\bar {z}}&b&x\\{\bar {y}}&{\bar {x}}&c\end{pmatrix}}=abc-(a|x|^{2}+b|y|^{2}+c|z|^{2})+2\operatorname {Re} (xyz)}
GL
(
27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27;\mathbb {R} )}
에서, 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의 행렬식을 보존하는 부분군은 E6 의 비콤팩트 형식 E6(−26) 과 동형이다.[ 3] :§4.4
두 나눗셈 대수
K
{\displaystyle K}
,
K
′
{\displaystyle K'}
이 주어졌을 때, 이를 사용하여 프로이덴탈 마방진 이라는 리 대수 의 작도가 존재한다.[ 3] :§4.3 E6 의 리 대수는
(
K
,
K
′
)
=
(
O
,
C
)
{\displaystyle (K,K')=(\mathbb {O} ,\mathbb {C} )}
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방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벡터 공간 에 자연스러운 리 대수를 줄 수 있으며, 이는 E6 의 리 대수 와 같다.[ 3] :§4.4
e
6
≅
d
e
r
(
O
)
⊕
s
u
(
3
;
C
⊗
R
O
)
≅
d
e
r
(
h
(
3
;
O
)
)
⊕
s
h
(
3
;
O
)
{\displaystyle {\mathfrak {e}}_{6}\cong {\mathfrak {der}}(\mathbb {O} )\oplus {\mathfrak {su}}(3;\mathbb {C} \otimes _{\mathbb {R} }\mathbb {O} )\cong {\mathfrak {der}}({\mathfrak {h}}(3;\mathbb {O} ))\oplus {\mathfrak {sh}}(3;\mathbb {O} )}
여기서
d
e
r
(
O
)
≅
g
2
{\displaystyle {\mathfrak {der}}(\mathbb {O} )\cong {\mathfrak {g}}_{2}}
는 팔원수 대수 위의 미분 들의 리 대수이며, 14차원이다. 이는 G2 의 리 대수와 같다.
s
u
(
3
;
C
⊗
R
O
)
{\displaystyle {\mathfrak {su}}(3;\mathbb {C} \otimes _{\mathbb {R} }\mathbb {O} )}
는
C
⊗
R
O
{\displaystyle \mathbb {C} \otimes _{\mathbb {R} }\mathbb {O} }
계수의 3×3 반에르미트 행렬 가운데, 대각합 이 모두 0인 것들이다. 이는 리 대수를 이루지 않으며, 3×16+8×2=64차원이다.
d
e
r
(
h
(
3
;
O
)
)
≅
f
4
{\displaystyle {\mathfrak {der}}({\mathfrak {h}}(3;\mathbb {O} ))\cong {\mathfrak {f}}_{4}}
는 예외적 요르단 대수 위의 미분 들의 리 대수이며, 52차원이다. 이는 F4 의 리 대수와 같다.
s
h
(
3
;
O
)
{\displaystyle {\mathfrak {sh}}(3;\mathbb {O} )}
는 예외적 요르단 대수 (3×3 팔원수 에르미트 행렬 ) 가운데, 대각합 이 0인 것들이다. 이는 3×8+2=26차원이다.
따라서, E6 의 차원은 14+64=52+26=78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E6 의 실수 형식 E6(−26) 은 "팔원수 에 대한 3차원 특수직교군 "으로 여길 수 있다.[ 4] [ 5] (물론 팔원수는 환 을 이루지 않으므로, 팔원수에 대한 특수직교군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E
6
(
−
26
)
≅
``
SL
(
3
;
O
)
''
{\displaystyle E_{6(-26)}\cong {\text{``}}\operatorname {SL} (3;\mathbb {O} ){\text{''}}}
E6 은 SO(10)×SO(2)를 부분군으로 가지므로, 이를 통해 E6 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pin(10)은 16차원 바일 스피너 를 가지는데, 이에 따라 E6 의 리 대수 를
e
6
=
s
o
(
10
)
⊕
s
o
(
2
)
⊕
16
−
3
⊕
16
¯
+
3
{\displaystyle {\mathfrak {e}}_{6}={\mathfrak {so}}(10)\oplus {\mathfrak {so}}(2)\oplus \mathbf {16} ^{-3}\oplus {\overline {\mathbf {16} }}^{+3}}
의 꼴로 구성하여, 두 스피너 사이의 적절한 리 괄호 를 정의하면 된다.
이 구성에서 실수 형식을 취하려면, SO(2)를
U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1)}
또는
SO
(
1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1,1)}
가운데 하나로 선택하여야 한다. 즉, 전자의 경우 정의 표현은 1차원 복소수 표현으로 간주되며, 후자의 경우 정의 표현은 2차원 실수 표현이다.
전자의 경우, 두 바일 스피너 가 서로 상호 켤레이어야 한다. 즉, 계량 부호수
(
p
,
q
)
{\displaystyle (p,q)}
에서,
|
(
p
−
q
)
mod
8
|
=
2
{\displaystyle |(p-q){\bmod {8}}|=2}
이어야 한다. 이 경우는 (10,0), (8,2), (6,4) 세 가지가 있다. 이들은 각각 단순 리 대수 D5(−45) , D5(−13) , D5(3) 에 대응하며, 각각 E6(−78) (콤팩트), E6(−14) , E6(2) 를 구성한다.
후자의 경우,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가 존재해야 한다. 즉, 계량 부호수
(
p
,
q
)
{\displaystyle (p,q)}
에서,
p
≡
q
(
mod
8
)
{\displaystyle p\equiv q{\pmod {8}}}
이어야 한다. 이 경우는 (5,5), (9,1) 두 가지가 있다. 이들은 각각 단순 리 대수 D5(5) 및 D5(−27) 에 대응하며, 각각 E6(6) (분할) 및 E6(−26) 을 구성한다.
E6 는 다섯 개의 실수 형식을 갖는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6] (중심 이 없는 형태).
기호
다른 기호
설명
기본군
외부자기동형군
극대 콤팩트 부분군
사타케 도표
보건 도표
E6(−78)
콤팩트 형식
Cyc(3)
Cyc(2)
E6(−78)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
∘
−
∘
−
∘
∘
|
−
∘
−
∘
{\displaystyle \circ -\circ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circ }}-\circ -\circ }
E6(6)
EⅠ
분할(split) 형식
Cyc(2)
Cyc(2)
USp(8)/{±1}
∘
−
∘
−
∘
∘
|
−
∘
−
∘
{\displaystyle \circ -\circ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circ }}-\circ -\circ }
∘
−
∘
−
∘
∙
|
−
∘
⏟
−
∘
⏟
{\displaystyle \underbrace {\circ -\underbrace {\circ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circ }}-\circ } -\,\circ } }
E6(2)
EⅡ
준분할 형식
Cyc(6)
Cyc(2)
SU(2)×PSU(6)
∘
−
∘
−
∘
∘
|
−
∘
⏟
−
∘
⏟
{\displaystyle \underbrace {\circ -\underbrace {\circ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circ }}-\circ } -\,\circ } }
∘
−
∘
−
∘
∙
|
−
∘
−
∘
{\displaystyle \circ -\circ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circ }}-\circ -\circ }
E6(−14)
EⅢ
Cyc(∞)
1
SO(2)×Spin(10)
∘
−
∙
−
∙
∘
|
−
∙
−
∘
⏟
{\displaystyle \underbrace {\circ -\bullet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circ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circ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circ }}-\circ -\circ }
E6(−26)
EⅣ
1
Cyc(2)
F4
∘
−
∙
−
∙
∙
|
−
∙
−
∘
{\displaystyle \circ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circ }
∘
−
∘
−
∘
∘
|
−
∘
⏟
−
∘
⏟
{\displaystyle \underbrace {\circ -\underbrace {\circ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circ }}-\circ } -\,\circ } }
사타케 도표 와 보건 도표 에서, 중괄호 (
m
⏟
{\displaystyle \underbrace {\color {White}m} }
)는 화살표(
↔
{\displaystyle \leftrightarrow }
)를 나타낸다.
E6 의 주요 극대 부분군 들은 다음이 있다.
(
Spin
(
10
)
×
U
(
1
)
)
/
(
Z
/
4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Spin} (10)\times \operatorname {U} (1)\right)/(\mathbb {Z} /4)}
.[ 2] :§3.10 이는 E6 의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자기 동형 에 대하여 고정된 원소들로 구성된다. 이는 E6 딘킨 도표 에서,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이 부분군은 대통일 이론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circ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
(
SU
(
6
)
×
USp
(
2
)
)
/
(
Z
/
4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SU} (6)\times \operatorname {USp} (2)\right)/(\mathbb {Z} /4)}
.[ 2] :§3.11 이는 E6 의 또다른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자기 동형 에 대하여 고정된 원소들로 구성된다.이는 E6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기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circ -\bullet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circ -\bullet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qquad \bullet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
(
SU
(
3
)
×
SU
(
3
)
×
SU
(
3
)
)
/
(
Z
/
3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SU} (3)\times \operatorname {SU} (3)\times \operatorname {SU} (3)\right)/(\mathbb {Z} /3)}
.[ 2] :§3.13 이는 E6 의
Z
/
3
{\displaystyle \mathbb {Z} /3}
자기 동형 에 대하여 고정된 원소들로 구성된다. 이는 E6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기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circ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bullet -\circ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bullet \qquad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
F4 .[ 2] :§3.7 이는 E6 의 또다른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자기 동형 에 대하여 고정된 원소들로 구성된다. 이는 E6 의 딘킨 도표를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대칭을 따라 접어서 얻는다.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lang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Rightarrow \bullet -\bullet }
USp
(
8
)
/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USp} (8)/(\mathbb {Z} /2)}
.[ 2] :§3.12 이는 E6 의 또다른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자기 동형 에 대하여 고정된 원소들로 구성된다. 이 부분군의 경우 계수가
rank
USp
(
8
)
=
4
<
rank
E
6
=
6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operatorname {USp} (8)=4<\operatorname {rank} E_{6}=6}
이므로, 이는 딘킨 도표 로 나타낼 수 없는 특수 극대 부분군이다.
E6 는 E7 및 E8 의 부분군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E7 은
(
E
6
×
U
(
1
)
)
/
(
Z
/
3
)
{\displaystyle (E_{6}\times \operatorname {U} (1))/(\mathbb {Z} /3)}
부분군을 가진다.[ 2] :4.10 이는 E7 딘킨 도표 에서,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circ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bullet }
E8 은
(
E
6
×
SU
(
3
)
)
/
(
Z
/
3
)
{\displaystyle (E_{6}\times \operatorname {SU} (3))/(\mathbb {Z} /3)}
부분군을 가진다.[ 2] :§5.10 이는 E8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기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circ -\bullet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circ -\bullet -{\scriptstyle \otimes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qquad \bullet -{\scriptstyle \otimes }}
E6 의 콤팩트 형식은 78차원 콤팩트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 이다. 그 호모토피 군 은 다음과 같다.[ 7]
π
1
(
E
6
)
≅
Z
/
3
{\displaystyle \pi _{1}(E_{6})\cong \mathbb {Z} /3}
π
3
(
E
6
)
≅
π
9
(
E
6
)
≅
Z
{\displaystyle \pi _{3}(E_{6})\cong \pi _{9}(E_{6})\cong \mathbb {Z} }
π
n
(
E
6
)
≅
0
,
n
<
9
,
n
≠
1
,
3
{\displaystyle \pi _{n}(E_{6})\cong 0,\qquad n<9,n\neq 1,3}
e
6
{\displaystyle {\mathfrak {e}}_{6}}
의 불변 다항식 의 차수는 2, 5, 6, 8, 9, 12이다. 즉, E6 의 콤팩트 형식의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 환은 3차 · 9차 · 11차 · 15차 · 17차 · 23차 생성원으로 생성되는 외대수 이다.
E6 의 6차원 근계를 2차원으로 사영한 것. E6 의 꼭짓점들은 고른 폴리토프 122 를 이룬다.
E6 의 근계 는 72개의 근으로 구성된다. E6 의 근계는 6차원이지만, 다음과 같이 9차원 벡터로 표현하는 것이 더 대칭적이다. 이 경우, 72=18+27+27개의 근들은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18개의 근:
8
{\displaystyle \mathbf {8} }
이
(
±
1
,
∓
1
,
0
)
,
(
±
1
,
0
,
∓
1
)
,
(
0
,
±
1
,
∓
1
)
{\displaystyle (\pm 1,\mp 1,0),\;(\pm 1,0,\mp 1),\;(0,\pm 1,\mp 1)}
6개 가운데 하나라고 하고,
1
=
(
0
,
0
,
0
)
{\displaystyle \mathbf {1} =(0,0,0)}
이라 하였을 때,
(
8
,
1
,
1
)
{\displaystyle (\mathbf {8} ,\mathbf {1} ,\mathbf {1} )}
,
(
1
,
8
,
1
)
{\displaystyle (\mathbf {1} ,\mathbf {8} ,\mathbf {1} )}
,
(
1
,
1
,
8
)
{\displaystyle (\mathbf {1} ,\mathbf {1} ,\mathbf {8} )}
다음과 같은 27개의 근:
3
{\displaystyle \mathbf {3} }
이
(
2
/
3
,
−
1
/
3
,
−
1
/
3
)
,
(
−
1
/
3
,
2
/
3
,
−
1
/
3
)
,
(
−
1
/
3
,
−
1
/
3
,
2
/
3
)
{\displaystyle (2/3,-1/3,-1/3),\;(-1/3,2/3,-1/3),\;(-1/3,-1/3,2/3)}
가운데 하나라고 하였을 때,
(
3
,
3
,
3
)
{\displaystyle (\mathbf {3} ,\mathbf {3} ,\mathbf {3} )}
다음과 같은 27개의 근:
3
¯
{\displaystyle {\bar {\mathbf {3} }}}
이
(
−
2
/
3
,
1
/
3
,
1
/
3
)
,
(
1
/
3
,
−
2
/
3
,
1
/
3
)
,
(
1
/
3
,
1
/
3
,
−
2
/
3
)
{\displaystyle (-2/3,1/3,1/3),\;(1/3,-2/3,1/3),\;(1/3,1/3,-2/3)}
가운데 하나라고 하였을 때,
(
3
¯
,
3
¯
,
3
¯
)
{\displaystyle ({\bar {\mathbf {3} }},{\bar {\mathbf {3} }},{\bar {\mathbf {3} }})}
이는 E6 의 딸림표현 을 SU(3)3 부분군으로 나타낸 것이다. SU(3)의 근계는 2차원이지만, 3차원에서 더 대칭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E6 의 딸림표현 은
78
E
6
→
(
8
,
1
,
1
)
SU
(
3
)
3
⊕
(
1
,
8
,
1
)
SU
(
3
)
3
⊕
(
1
,
1
,
8
)
SU
(
3
)
3
⊕
(
3
,
3
,
3
)
SU
(
3
)
3
⊕
(
3
¯
,
3
¯
,
3
¯
)
SU
(
3
)
3
{\displaystyle \mathbf {78} _{E_{6}}\to (\mathbf {8} ,\mathbf {1} ,\mathbf {1}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1} ,\mathbf {8} ,\mathbf {1}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1} ,\mathbf {1} ,\mathbf {8}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3} ,\mathbf {3} ,\mathbf {3} )_{\operatorname {SU} (3)^{3}}\oplus ({\bar {\mathbf {3} }},{\bar {\mathbf {3} }},{\bar {\mathbf {3} }})_{\operatorname {SU} (3)^{3}}}
으로 분해되는데, 위의 근계는 이를 따른 것이다.
6차원에서는 122 라는 고른 폴리토프 가 존재하는데, 이는 72개의 꼭짓점, 720개의 변, 2160개의 면, 2160개의 3차원 초면, 702개의 4차원 초면, 54개의 5차원 초면을 가진다. E6 의 근계의 72개의 근들은 122 의 꼭짓점들을 이룬다.
E6 의 바일 군 은 크기가 51840인 유한군 이다. 크기가 25920인 유일한 유한 단순군 이 존재하는데, E6 의 바일 군은 그 자기 동형군 이다. 크기가 25920인 유일한 유한 단순군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8] :26
PSU
(
4
;
F
2
)
≅
P
S
Ω
−
(
6
;
F
2
)
≅
PSp
(
4
;
F
3
)
≅
P
S
Ω
(
5
;
F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U} (4;\mathbb {F} _{2})\cong \operatorname {PS\Omega } ^{-}(6;\mathbb {F} _{2})\cong \operatorname {PSp} (4;\mathbb {F} _{3})\cong \operatorname {PS\Omega } (5;\mathbb {F} _{3})}
E6 의 딘킨 도표
E6 의 딘킨 도표 는 여섯 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모든 변이 1겹이다(영어 : simply laced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bullet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
E6 의 딘킨 도표 는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대칭을 가진다. 이에 따라 E6 의 딘킨 도표를 접으면 F4 의 딘킨 도표 를 얻으며, 이는 E6 의 F4 부분군 에 대응한다.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bullet -\bullet \langle \displaystyle {\bullet -\bullet \atop \bullet -\bullet }\\\Downarrow \\\bullet -\bullet \Rightarrow \bullet -\bullet \end{matrix}}}
E6 의 아핀 딘킨 도표 는 일곱 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모든 변이 1겹이다. 이 경우, 3개 "팔" 가운데 가장 짧은 팔에 꼭짓점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이 추가된다. 이에 따라 E6 아핀 딘킨 도표 는
Z
/
3
{\displaystyle \mathbb {Z} /3}
대칭을 갖는다.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overset {\scriptstyle \otimes \atop \displaystyle |}{\displaystyle \bullet }}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
E6 의 기약 표현 의 차원들은 다음과 같다 (OEIS 의 수열 A121737 ).[ 9] :108, Table 47
1, 27 (×2), 78, 351 (×4), 650, 1728 (×2), 2430, 2925, 3003 (×2), 5824 (×2), 7371 (×2), 7722 (×2), 17550 (×2), 19305 (×4), 34398 (×2), 34749, 43758, 46332 (×2), 51975 (×2), 54054 (×2), 61425 (×2), 70070, 78975 (×2), 85293, 100386 (×2), 105600, 112320 (×2), 146432 (×2), 252252 (×2), 314496 (×2), 359424 (×4), 371800 (×2), 386100 (×2), 393822 (×2), 412776 (×2), 442442 (×2), …
여기서 (×n )은 같은 차원의 서로 다른 기약 표현 들이 n 개 있다는 뜻이다. 기약 표현들의 차원이 자주 중복되는 이유는 E6 의 딘킨 도표 가 대칭적이기 때문이다. E6 는 사원수 표현을 가지지 않는다. 즉, 모든 표현은 실수 표현이거나 복소수 표현이다.
E6 의 기본 표현 은 27 , 27 , 78 , 351 , 351 , 2925 여섯 개이다. 27 기본 표현은 27차원 예외적 요르단 대수 위의 작용으로부터 유래하며, 복소수 표현이다. 78 은 딸림표현 이며, 따라서 실수 표현이다. 기본 표현들은 딘킨 도표 의 꼭짓점에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
78
−
∙
2925
⟨
∙
351
¯
−
∙
27
¯
∙
351
−
∙
27
{\displaystyle {\underset {\mathbf {78} }{\bullet }}-{\underset {\mathbf {2925} }{\bullet }}\langle {{\overset {\overline {\mathbf {351} }}{\bullet }}-{\overset {\overline {\mathbf {27} }}{\bullet }} \atop {\underset {\mathbf {351} }{\bullet }}-{\underset {\mathbf {27} }{\bullet }}}}
E8 은 E6 를 부분군으로 가진다. 정확히 말하면,
(
E
6
×
SU
(
3
)
)
/
(
Z
/
3
Z
)
{\displaystyle (E_{6}\times \operatorname {SU} (3))/(\mathbb {Z} /3\mathbb {Z} )}
는 E8 의 최대 부분군이다. 이 경우, E8 의 딸림표현 248 은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248
E
8
→
(
1
,
8
)
E
6
×
SU
(
3
)
⊕
(
78
,
1
)
E
6
×
SU
(
3
)
⊕
(
27
,
3
)
E
6
×
SU
(
3
)
⊕
(
27
¯
,
3
¯
)
E
6
×
SU
(
3
)
{\displaystyle \mathbf {248} _{E_{8}}\to (\mathbf {1} ,\mathbf {8} )_{E_{6}\times \operatorname {SU} (3)}\oplus (\mathbf {78} ,\mathbf {1} )_{E_{6}\times \operatorname {SU} (3)}\oplus (\mathbf {27} ,\mathbf {3} )_{E_{6}\times \operatorname {SU} (3)}\oplus ({\overline {\mathbf {27} }},{\bar {\mathbf {3} }})_{E_{6}\times \operatorname {SU} (3)}}
E6 의 부분군에 대하여, E6 의 표현들은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9] :Table 49
27
E
6
→
16
SO
(
10
)
×
U
(
1
)
1
⊕
10
SO
(
10
)
×
U
(
1
)
−
2
⊕
1
SO
(
10
)
×
U
(
1
)
4
{\displaystyle \mathbf {27} _{E_{6}}\to \mathbf {16}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1}\oplus \mathbf {10}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2}\oplus \mathbf {1}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4}}
78
E
6
→
45
SO
(
10
)
×
U
(
1
)
0
⊕
16
SO
(
10
)
×
U
(
1
)
−
3
⊕
16
¯
SO
(
10
)
×
U
(
1
)
3
⊕
1
SO
(
10
)
×
U
(
1
)
0
{\displaystyle \mathbf {78} _{E_{6}}\to \mathbf {45}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0}\oplus \mathbf {16}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3}\oplus {\overline {\mathbf {16}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3}\oplus \mathbf {1} _{\operatorname {SO} (10)\times \operatorname {U} (1)}^{0}}
27
E
6
→
26
F
4
⊕
1
F
4
{\displaystyle \mathbf {27} _{E_{6}}\to \mathbf {26} _{F_{4}}\oplus \mathbf {1} _{F_{4}}}
78
E
6
→
52
F
4
⊕
26
F
4
{\displaystyle \mathbf {78} _{E_{6}}\to \mathbf {52} _{F_{4}}\oplus \mathbf {26} _{F_{4}}}
27
E
6
→
(
3
¯
,
3
,
1
)
SU
(
3
)
3
⊕
(
3
,
1
,
3
¯
)
SU
(
3
)
3
⊕
(
1
,
3
¯
,
3
)
SU
(
3
)
3
{\displaystyle \mathbf {27} _{E_{6}}\to ({\bar {\mathbf {3} }},\mathbf {3} ,\mathbf {1}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3} ,\mathbf {1} ,{\bar {\mathbf {3}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1} ,{\bar {\mathbf {3} }},\mathbf {3} )_{\operatorname {SU} (3)^{3}}}
78
E
6
→
(
8
,
1
,
1
)
SU
(
3
)
3
⊕
(
1
,
8
,
1
)
SU
(
3
)
3
⊕
(
1
,
1
,
8
)
SU
(
3
)
3
⊕
(
3
,
3
,
3
)
SU
(
3
)
3
⊕
(
3
¯
,
3
¯
,
3
¯
)
SU
(
3
)
3
{\displaystyle \mathbf {78} _{E_{6}}\to (\mathbf {8} ,\mathbf {1} ,\mathbf {1}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1} ,\mathbf {8} ,\mathbf {1}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1} ,\mathbf {1} ,\mathbf {8} )_{\operatorname {SU} (3)^{3}}\oplus (\mathbf {3} ,\mathbf {3} ,\mathbf {3} )_{\operatorname {SU} (3)^{3}}\oplus ({\bar {\mathbf {3} }},{\bar {\mathbf {3} }},{\bar {\mathbf {3} }})_{\operatorname {SU} (3)^{3}}}
특히, SO(10)으로 가는 분해는 대통일 이론 에서 중요하다.
슈발레 기저 를 사용하여 정수 계수의 리 대수
e
6
(
Z
)
{\displaystyle {\mathfrak {e}}_{6}(\mathbb {Z} )}
및 군
E
6
(
Z
)
{\displaystyle E_{6}(\mathbb {Z} )}
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는 임의의 가환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대수군 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에 대한 계수의 슈발레 군
E
6
(
F
q
)
{\displaystyle E_{6}(\mathbb {F} _{q})}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구성이 가능하다.
E
6
{\displaystyle E_{6}}
의 범피복군
E
~
6
{\displaystyle {\tilde {E}}_{6}}
의 유한체 계수 형식
E
~
6
(
F
q
)
{\displaystyle {\tilde {E}}_{6}(\mathbb {F} _{q})}
E
6
{\displaystyle E_{6}}
의 무중심 형식의 유한체 계수 형식
E
6
(
F
q
)
{\displaystyle E_{6}(\mathbb {F} _{q})}
이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E
~
6
(
F
q
)
|
=
q
36
(
q
12
−
1
)
(
q
9
−
1
)
(
q
8
−
1
)
(
q
6
−
1
)
(
q
5
−
1
)
(
q
2
−
1
)
{\displaystyle |{\tilde {E}}_{6}(\mathbb {F} _{q})|=q^{36}(q^{12}-1)(q^{9}-1)(q^{8}-1)(q^{6}-1)(q^{5}-1)(q^{2}-1)}
|
E
6
(
F
q
)
|
=
1
gcd
{
3
,
q
−
1
}
|
E
~
6
(
F
q
)
|
{\displaystyle |E_{6}(\mathbb {F} _{q})|={\frac {1}{\gcd\{3,q-1\}}}|{\tilde {E}}_{6}(\mathbb {F} _{q})|}
E
6
(
F
q
)
{\displaystyle E_{6}(\mathbb {F} _{q})}
는 모든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에 대하여 유한 단순군 이다. 이 가운데 가장 작은 군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 의 수열 A008872 ).
|
E
6
(
F
2
)
|
≈
2.15
×
10
23
{\displaystyle |E_{6}(\mathbb {F} _{2})|\approx 2.15\times 10^{23}}
|
E
6
(
F
3
)
|
≈
1.45
×
10
37
{\displaystyle |E_{6}(\mathbb {F} _{3})|\approx 1.45\times 10^{37}}
|
E
6
(
F
4
)
|
≈
2.85
×
10
46
{\displaystyle |E_{6}(\mathbb {F} _{4})|\approx 2.85\times 10^{46}}
|
E
6
(
F
5
)
|
≈
3.18
×
10
54
{\displaystyle |E_{6}(\mathbb {F} _{5})|\approx 3.18\times 10^{54}}
E
6
(
F
5
)
{\displaystyle E_{6}(\mathbb {F} _{5})}
부터는 이는 괴물군 보다 더 크다.
E6 의 딘킨 도표 는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대칭을 가진다. 유한체
F
q
2
/
F
q
{\displaystyle \mathbb {F} _{q^{2}}/\mathbb {F} _{q}}
는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프로베니우스 자기 동형
x
↦
x
q
{\displaystyle x\mapsto x^{q}}
을 가지며, 이에 따라 슈발레 군을 뒤틀어 스타인버그 군
2
E
6
(
q
)
{\displaystyle {}^{2}E_{6}(q)}
및 그 범피복군
2
E
~
6
(
q
)
{\displaystyle {}^{2}{\tilde {E}}_{6}(q)}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2
E
~
6
(
F
q
)
|
=
q
36
(
q
12
−
1
)
(
q
9
+
1
)
(
q
8
−
1
)
(
q
6
−
1
)
(
q
5
+
1
)
(
q
2
−
1
)
{\displaystyle |{}^{2}{\tilde {E}}_{6}(\mathbb {F} _{q})|=q^{36}(q^{12}-1)(q^{9}+1)(q^{8}-1)(q^{6}-1)(q^{5}+1)(q^{2}-1)}
|
2
E
6
(
F
q
)
|
=
1
gcd
{
3
,
q
+
1
}
|
2
E
~
6
(
F
q
)
|
{\displaystyle |{}^{2}E_{6}(\mathbb {F} _{q})|={\frac {1}{\gcd\{3,q+1\}}}|{}^{2}{\tilde {E}}_{6}(\mathbb {F} _{q})|}
2
E
6
(
F
q
)
{\displaystyle {}^{2}E_{6}(\mathbb {F} _{q})}
역시 모든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에 대하여 유한 단순군 이다. 이 가운데 가장 작은 군들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 의 수열 A008916 ).
|
2
E
6
(
F
2
)
|
≈
7.65
×
10
22
{\displaystyle |{}^{2}E_{6}(\mathbb {F} _{2})|\approx 7.65\times 10^{22}}
|
2
E
6
(
F
3
)
|
≈
1.46
×
10
37
{\displaystyle |{}^{2}E_{6}(\mathbb {F} _{3})|\approx 1.46\times 10^{37}}
|
2
E
6
(
F
4
)
|
≈
8.57
×
10
46
{\displaystyle |{}^{2}E_{6}(\mathbb {F} _{4})|\approx 8.57\times 10^{46}}
|
2
E
6
(
F
5
)
|
≈
1.06
×
10
54
{\displaystyle |{}^{2}E_{6}(\mathbb {F} _{5})|\approx 1.06\times 10^{54}}
2
E
6
(
F
5
)
{\displaystyle {}^{2}E_{6}(\mathbb {F} _{5})}
부터는 이는 괴물군 보다 더 크다.
입자물리학 에서, E8 잡종 끈 이론 을 기반으로 하는 현상론적 모형에서는 4차원 유효 이론 에서 자연스럽게 E8 ×E8 게이지 이론 이 발생한다. 이를 SO(10) 대통일 이론 과 연결시키려면,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발 대칭 깨짐 이 존재한다고 추측된다.
E
8
×
E
8
→
E
8
→
E
7
→
E
6
→
S
O
(
10
)
{\displaystyle E_{8}\times E_{8}\to E_{8}\to E_{7}\to E_{6}\to SO(10)}
이는 E6 가 자연스럽게 SO(10)을 부분군으로 갖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리 대수
e
6
{\displaystyle {\mathfrak {e}}_{6}}
는 빌헬름 킬링 이 복소수 단순 리 대수 를 분류하면서 발견하였다. 이후 엘리 카르탕 이 1894년에 복소수 단순 리 군 을 분류하면서 그 존재와 유일함을 엄밀히 증명하였다.[ 10]
E6 에 대한 슈발레 군은 레너드 유진 딕슨 이 1901년에 발견하였다.[ 11] [ 12] 스타인버그 군 2 E6 은 로베르트 스테인베르그 가 1959년에 발견하였다.[ 13]
↑ Adams, John Frank (1996년 12월). 《Lectures on exceptional Lie groups》 (영어). Chicago Lectures in Mathema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0526-3 . MR 1428422 . 2012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Yokota, Ichiro (2009년 2월). “Exceptional Lie groups” (영어). arXiv :0902.0431 . Bibcode :2009arXiv0902.0431Y .
↑ 가 나 다 라 Baez, John (2002). “The octonions” .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9 (2): 145–205. arXiv :math/0105155 . Bibcode :2001math......5155B . doi :10.1090/S0273-0979-01-00934-X . MR 1886087 . Zbl 1026.17001 . 오류 정정 Baez, John (2005). “Errata for "The octonions" ”.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2 (2): 213–213. doi :10.1090/S0273-0979-05-01052-9 .
↑ Dray, Tevian; Manogue, Corinne A. (2010). “Octonions and the structure of E6 ”. 《Comment. Math. Univ. Carolin.》 (영어) 51 : 193–207.
↑ Wangberg, Aaron; Dray, Tevian. “E6 , the group: the structure of SL(3,𝕆)” (영어). arXiv :1212.3182 .
↑ Draper, Christina; Guido, Valerio (2014). “On the real forms of the exceptional Lie algebra ꬲ6 and their Satake diagrams” (영어). arXiv :1412.1659 .
↑ Kachi, Hideyuki (1968). “Homotopy groups of compact Lie groups E 6 , E 7 and E 8 ” . 《Nagoya Mathematical Journal》 (영어) 32 : 109–139. MR 0233924 . Zbl 0159.24802 .
↑ Conway, John Horton ; Curtis, Robert Turner; Norton, Simon Phillips; Parker, Richard A; Wilson, Robert Arnott (1985). 《Atlas of Finite Groups: Maximal Subgroups and Ordinary Characters for Simple Group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53199-0 .
↑ 가 나 Slansky, Richard (1981년 12월). “Group theory for unified model building” . 《Physics Reports》 (영어) 79 (1): 1–128. Bibcode :1981PhR....79....1S . doi :10.1016/0370-1573(81)90092-2 .
↑ Cartan, Élie (1894). “Sur la structure des groupes de transformations finis et continus” (프랑스어). 파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Librairie Nony et Cie . JFM 25.0638.02 .
↑ Dickson, Leonard Eugene (1901). “A class of groups in an arbitrary realm connect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27 lines on a cubic surface”. 《The Quarterly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33 : 145–173. JFM 32.0133.01 .
↑ Dickson, Leonard Eugene (1907). “A class of groups in an arbitrary realm connect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27 lines on a cubic surface (second paper)”. 《The Quarterly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39 : 205–209. JFM 39.0198.03 .
↑ Steinberg, Robert (1959). “Variations on a theme of Chevalley”. 《Pacific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9 : 875–891. doi :10.2140/pjm.1959.9.875 . ISSN 0030-8730 . MR 0109191 . Zbl 0092.02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