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흡혈되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흡혈되새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참새목
아목: 참새아목
과: 풍금조과
속: 갈라파고스되새속
종: 쇠부리갈라파고스되새
아종: 흡혈되새
학명
Geospiza difficilis septentrionalis
Rothschild & Hartert, 1899
흡혈되새의 분포

보전상태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흡혈되새(학명Geospiza septentrionalis)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풍금조과 갈라파고스되새속의 새이다. 이 새는 울프섬다윈섬고유종쇠부리갈라파고스되새의 매우 독특한 아종으로 여겨졌다.[2][3] 국제 조류학자 연합은 두 종이 밀접한 관련이 없다는 강력한 유전적 증거와 형태학적, 노래의 차이에 근거하여 두 종을 분리하였다.[4] 다른 분류학자들은 여전히 동일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설명

[편집]

흡혈되새는 같은 속의 전형적인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은 주로 검은색이고 암컷은 갈색 줄무늬가 있는 회색을 띤다. 울프섬에서는 경쾌한 노래를, 다윈섬에서는 윙윙거리는 노래를 부르며, 두 섬에서 모두 휘파람을 불지만 울프섬에서만 길게 윙윙거리는 울음소리를 낸다.

생태

[편집]

이 새는 특이한 식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흡혈되새는 대체할 수 있는 먹이가 부족할 때 다른 새들, 주로 나스카얼가니새푸른발얼가니새피를 마시는데, 피가 뽑힐 때까지 날카로운 부리로 피부를 쫀다.[5][6] 이상하게도 얼가니새들은 이것에 대해 별다른 저항을 하지 않는다. 이 행동은 되새가 얼가니새의 깃털에서 기생충을 먹기 위해 사용했던 쪼는 행위에서 진화하였다는 학설이 있다.[7] 알을 먹는 습성 또한 있는데, 낳은 지 얼마 안된 알을 훔쳐서 부리를 주축으로 다리로 밀어 알이 깨질 때까지 바위에 굴린 뒤에 먹는다. 마지막으로 구아노와 다른 포식자가 먹다 남은 생선을 먹기도 한다.[6]

보통의 새들에게는 일반적이지만 되새 사이에는 여전히 드문 습성으로 울프섬의 흡혈되새는 갈라파고스가시배의 꽃에서 꽃꿀을 채취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독특한 식성은 이 새들의 고향 섬에 민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주된 먹이는 다른 동족과 마찬가지로 씨앗과 무척추동물로 이루어져 있다.[5]

보존

[편집]

흡혈되새는 매우 제한된 분포와 서식지 내 침입종의 영향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편집]
  1. BirdLife International (2017). Geospiza septentrional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7: e.T103815245A119461181. doi:10.2305/IUCN.UK.2017-3.RLTS.T103815245A119461181.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2. Grant, Peter R.; Grant, B. Rosemary & Petren, Kenneth (2000). The allopatric phase of speciation: the sharp-beaked ground finch (Geospiza difficilis) on the Galápagos islands. Biol. J. Linn. Soc. 69(3): 287–317. doi:10.1006/bijl.1999.0382
  3. Rothschild, W. and E. Hartert. (1899). A Review of the Ornithology of the Galapagos Islands. With Notes on the Webster-Harris Expedition. Novitates Zoologicae Vol. VI, No. 2, pp. 85-205, 2 plates.
  4. Farrington, Heather; Lawson, Lucinda; Clark, Courtney; Petren, Kenneth (2014년 7월 29일). “The evolutionary history of Darwin's finches: speciation, gene flow, and introgression in a fragmented landscape”. 《Evolution》 68 (10): 2932–2944. doi:10.1111/evo.12484. PMID 24976076. S2CID 205123574. 
  5. Schluter, Dolph & Grant, Peter R. (1984). Ecological Correlates of Morphological Evolution in a Darwin's Finch, Geospiza difficilis. Evolution 38(4): 856-869. doi:10.2307/2408396 (HTML abstract and first page image)
  6. Michel, Alice J.; Ward, Lewis M.; Goffredi, Shana K.; Dawson, Katherine S.; Baldassarre, Daniel T.; Brenner, Alec; Gotanda, Kiyoko M.; McCormack, John E.; Mullin, Sean W. (2018년 9월 19일). “The gut of the finch: uniqueness of the gut microbiome of the Galápagos vampire finch”. 《Microbiome》 6 (1): 167. doi:10.1186/s40168-018-0555-8. ISSN 2049-2618. PMC 6146768. PMID 30231937. 
  7. Galef, Bennett G., Jr. (1990년 8월 19일). Bekoff, Marc; Jamieson, Dale, 편집. 《Interpretation, Intentionality, and Communication》.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in the Study of Animal Behavior I. Boulder, San Francisco & Oxford: Westview Press. 78쪽. ISBN 978-0-8133-7979-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