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푸스과
보이기
헥사푸스과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갑각아문 | |
강: | 연갑강 | |
아강: | 진연갑아강 | |
상목: | 진하상목 | |
목: | 십각목 | |
아목: | 범배아목 | |
하목: | 단미하목 | |
절: | 에우브라키우라절 | |
아절: | 헤테로트레마타아절 | |
상과: | 헥사푸스상과 (Hexapodoidea) Miers, 1886[1] | |
과: | 헥사푸스과 (Hexapodidae) Miers, 1886[1] | |
속 | ||
|
헥사푸스과(Hexapodidae)는 십각목에 속하는 게과의 하나이다. 헥사푸스상과(Hexapodoidea)의 유일한 과이다.[1] 전통적으로는 원숭이게과에 속하는 아과의 하나로 취급해 왔으며,[2] 원래는 속살이게과의 아과로 기술하였다.[3] 흉곽(胸廓, thorax)이 덜 발달하여 다른 게들과 구별하기 쉬우며, 7개의 배판만이 밖으로 드러나 있고, 4쌍의 가슴다리가 존재한다.[4] 크게 발달한 집게발은 세지 않으면 6개의 다리밖에 볼 수 없으며, 이 때문에 헥사푸스속(Hexapus)이라는 모식속명이 유래했으며, 과명과 상과명도 이를 따랐다. 자기게와 같은 일부 집게하목 "게"와 킹크랩도 겉으로는 4쌍의 다리만이 보인다. 멕시코에 서식하는 Stevea williamsi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모든 종은 인도-태평양 또는 아프리카 해안가 근처에서 발견된다.[4]
하위 분류
[편집]- Hexalaughlia
- Hexapinus
- Hexaplax
- Hexapus
- Lambdophallus
- Latohexapus
- Paeduma
- Parahexapus
- Pseudohexapus
- Spiroplax
- Stevea
- Thaumastoplax
- Tritoplax
화석 기록
[편집]현존하는 분류군 외에 화석 종만으로 이루어진 2개 속(Goniocypoda 및 Palaeopinnixa)이 알려져 있으며, 현존하는 2개 속(헥사푸스속(Hexapus)과 스테베아속(Stevea))에는 멸종한 화석 종이 포함되어 있다.[1] 이 과의 화석 기록은 세네갈 마스트리히트에서 발견된 미확인 보고를 포함하여 팔레오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Sammy De Grave, N. Dean Pentcheff, Shane T. Ahyong; 외. (2009).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PDF). 《Raffles Bulletin of Zoology》. Suppl. 21: 1–109.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Jung-Fu Huang, Pan-Wen Hsueh & Peter K. L. Ng (2002). “Crabs of the family Hexapodidae (Decapoda: Brachyura) from taiwan, with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new species” (PDF). 《Journal of Crustacean Biology》 22 (3): 651–660.
- ↑ N. Sakhaie, A. Savari, P. Kochanian, S. M. B. Nabavi & J. G. Marammazy (2009). “Morphology of the zoeal stages of Hexapus sexpes Fabricius, 1798 (Decapoda, Brachyura, Hexapod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Pakist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2: 1–6. doi:10.3923/pjbs.2009.1260.1265.
- ↑ 가 나 다 Carrie E. Schweitzer & Rodney M. Feldmann (2001). “Differentiation of the fossil Hexapodidae Miers, 1886 (Decapoda: Brachyura) from similar forms” (PDF). 《Journal of Paleontology》 75 (2): 330–345. doi:10.1666/0022-3360(2001)075<0330:DOTFHM>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