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센터
이 문서의 주된 기여자가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이해당사자일 수 있습니다. (2014년 12월 27일) |
약칭 | 하자 |
---|---|
표어 | 우리의 삶을 스스로 업그레이드 하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도 먹고도 살자.[1] |
유형 | NPO, NGO, 대안교육 |
형태 | 서울시립 특화시설 (민간위탁시설) |
목적 | 입시위주 교육이 아닌 배움의 생태계 마련[2] |
위치 | |
웹사이트 | http://www.haja.net/ |
하자센터(haja center)는 연세대학교가 서울시의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청소년 학습 공간으로 공식 명칭은 ‘서울시립 청소년미래진로센터’이다. 하자센터는 1999년 12월 IMF 경제위기 상황에서 청년 실업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모델을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3]
배경 및 철학
[편집]하자센터는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진로 설계 및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청장년들에게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 등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지원하고 있다. 하자센터 내에는 대안학교, 수시로 열리는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문화 예술 분야에서 인증 받은 사회적기업과 다수의 청년 문화작업자 집단이 상주하고 있다.[4] 하자센터에서는 청소년들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인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2001년 9월에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자기 삶을 설계하려는 탈학교 청소년들을 위하여 하자작업장학교를 만들었다.[5]하자작업장학교는 학생 수가 최대 100명을 넘지 않는 규모의 작은 학교이면서 맞춤학습, 네트워크에 의한 학습, 작업을 통한 학습 등을 도입한 새로운 도시형 대안학교이다.[6]
학생들은 작업장에서 자기 전공 작업을 하면서 학교의 안팎에서 인문학과 외국어 등을 학습하고, 자치 활동 프로젝트, 인턴십 프로젝트 등을 진행한다.[7]
2003년부터 이수자가 나왔다. 2004년에 출범한 재활용상상놀이단은 하자의 프로젝트가 진화한 것이다. 재활용상상놀이단은 호주의 생태 퍼포먼스 그룹인 허법의 정신과 기술을 전수받아 발전시킨 공연단으로 하자센터의 장인들과 작업장이나 작업장학교의 청소년들이 단원으로 참여하고 있다.[8]청소년 단원들은 워크숍 강사나 악기 제작자로 성장하였다. 이는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먹고 살자’는 하자센터의 모토를 구체화하는 모델이다.[9] 재활용상상놀이단의 뒤를 이어 영상제작단이 활동을 시작했고, 글로벌 여행 학교를 만들기 위한 작업도 기획도 있다. 이처럼 하자센터에는 작업장, 하자작업장학교, 대형 프로젝트의 세 축이 있다.[10]
각주
[편집]- ↑ ““내 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 받고 싶니?””.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8일에 확인함.,《밥매거진》,2012년 4월 3일.
- ↑ ““황윤옥 신임 하자센터 부센터장 “10대 교육 공간으로 업그레이드”””. 2014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8일에 확인함.,《여성신문》,2013년 3월 1일.
- ↑ “놀면서 일하는게 우리 방식”. 한겨레. 1999년 12월 9일. 2015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내 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 받고 싶니?””.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8일에 확인함.,《밥매거진》,2012년 4월 3일.
- ↑ ““<대안학교서 꿈★을 찾았다>(上)하자작업장학교의 ‘문화 프로듀서’ 제리””.,《문화일보》,2003년 6월 9일.
- ↑ ““대견하고 소중한 스무살, 온 마을이 축하””.,《환경일보》,2014년 5월 19일.
- ↑ “공부와 삶, 연결해주는 대안공간의 활동들”.,《한겨레신문》,2012년 6월 18일.
- ↑ ““틀 깨! 하자센터 ‘재활용+상상놀이단’””.,《한겨레신문》,2005년 10월 12일.
- ↑ “[사회적기업이 희망이다](4) 사회적 기업 ‘노리단’”.,《경향신문》,2009년 3월 18일.
- ↑ “10대 여행객들 뒤풀이에 놀러오세요”.,《오마이뉴스》,2004년 5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