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날씨
보이기
![]() |
—————————— 날씨 포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날씨 포털에서는 날씨뿐만 아니라 기후 등의 기상학에 대한 모든 내용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날씨란?
날씨(氣象, 영어: weather)는 주어진 시간에 대기의 모든 현상을 모은 것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짧은 기간(여러 시간, 여러 날)에 걸친 현상의 활동을 일컫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말은 기후이며, 기후는 오랜 기간의 시간에 걸친 평균적인 대기 상태를 말합니다. 별도의 말이 없으면 "날씨"는 지구의 날씨를 가리킵니다.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b/Cirrus_over_Warsaw%2C_June_26%2C_2005.jpg/150px-Cirrus_over_Warsaw%2C_June_26%2C_2005.jpg)
구름은 지구, 행성 또는 위성의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의 모임이다. (별 사이의 구름처럼 보이는 부분을 '성운(星雲)'이라 부르는데, 이는 성간물질이 모인 것이다. 은하수는 구름이 아닌, 별들의 모임이다.) 구름을 연구하는 기상학의 분야를 '구름학'이라 한다.
지구상의 구름은 대부분 수증기로부터 생성된다. 알갱이들의 반지름은 주로 약 0.02~0.05mm로 되어 있으며, 수십억 개의 작은 물방울들이 모이게 되면 구름으로서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짙은 구름은 반사율이 70%에서 95%에 육박하기 때문에 구름 상단은 하얀색으로 보인다. 하지만, 구름 속의 물방울들이 빛을 산란시키므로, 아래로 갈수록 회색이 된다. 그 외에도 햇빛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색이 바뀌기도 한다. 구름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맥시코 만에서 촬영한 적란운](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b/CumulonimbusFlorida.jpg/130px-CumulonimbusFlorida.jpg)
- 온대저기압은 온대 지방이면서 중위도 지역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저위도 지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과는 달리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이 있습니다.
-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자동기상관측장비로 전국 각지에서 무인으로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을 관측합니다.
- 적란운(사진)은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으로 구름덩이가 산이나 탑 모양을 이루며 적란운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는 강우량이 시간당 30~100mm의 심한 소나기가 내리기도 합니다.
- 2002년 8월 31일 제15호 태풍 루사가 통과하면서 강원도 강릉에 하루 강수량으로 870.5mm가 내려 대한민국의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강수량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실효습도는 며칠 동안 측정한 상대습도를 목재 등의 건조한 정도를 나타내는 습도로 구한 것을 말하며, 주로 화재 예방의 목적으로 이용됩니다.
- 2021년 1월 25일과 26일 이상 고온으로 인해 13.9도로 대한민국의 기상 관측 사상 1월 하순 최고기온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