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하라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하라족에서 넘어옴)

토하라인
서기 500년경 쿠차의 토하라인 왕가(왕, 왕비 및 금발의 어린 왕자)를 묘사한 키질 동굴 벽화.[1][2][3][4]
서기 500년경 쿠차의 토하라인 왕가(왕, 왕비 및 금발의 어린 왕자)를 묘사한 키질 동굴 벽화.[1][2][3][4]
언어
토하라어
종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민족계통
인도유럽인
기원·발상 아파나시에보 문화

토하라인 또는 토카라인(영어: Tocharian, Tokharian)은 타림 분지(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 신장)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발견된 인도유럽어토하라어를 사용하던 민족이다.[5] "토하라인"이라는 이름은 20세기 초에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 박트리아에 살았던 토카라인(라틴어: Tochari)과 이들을 동일시한 학자들에 의해 붙여졌다. 이 식별은 일반적으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타림의 토하라인을 박트리아의 토카라인과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해 왔는데, 그 이유는 주로 이들이 상당히 다른 동부 이란 언어인 박트리아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6][7]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하라"라는 이름은 타림 분지의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그 화자들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남아 있다. 그들의 실제 민족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들은 스스로를 아그니, 쿠치, 크로란 또는 산스크리트어 문헌에서 알려진 쿠치야의 아그니야라고 불렀을 수 있다.[8]

농업 공동체는 기원전 2,000년경 타림 북부의 오아시스에서 처음 나타났다. 일부 학자들은 이 농업 공동체를 아파나시에보 문화와 연결시켰다. 가장 초기의 타림 미라는 기원전 1,8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들이 2천년 후의 토하라인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기원전 2세기에 이들 정착촌은 도시 국가들로 발전했으며, 북쪽으로는 유목민, 동쪽으로는 중국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 도시 중 가장 큰 도시는 쿠차였으며,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진 실크로드의 지류의 중간역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몇 세기 동안, 타림 분지흉노, 한나라, 토번, 당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8세기부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위구르인들이 그 지역에 정착했고 타림 분지를 지배하는 고창회골을 세웠다. 그 후 타림 도시 국가들의 사람들은 위구르인들과 혼혈되었으며, 토하라어는 9세기 동안에 사멸되었다고 여겨진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References BDce-888、889, MIK III 8875, now in the Hermitage Museum.“俄立艾爾米塔什博物館藏克孜爾石窟壁畫”. 《www.sohu.com》 (중국어). 
  2. Image 16 in Yaldiz, Marianne (1987). 《Archèaologie unFd Kunstgeschichte Chinesisch-Zentralasiens (Xinjiang)》 (독일어). BRILL. xv쪽. ISBN 978-90-04-07877-2. 
  3. "The images of donors in Cave 17 are seen in two fragments with numbers MIK 8875 and MIK 8876. One of them with halo may be identified as king of Kucha." in Ghose, Rajeshwari (2008). 《Kizil on the Silk Road: Crossroads of Commerce & Meeting of Minds》. Marg Publications. 127, note 22쪽. ISBN 978-81-85026-85-5.  "The panel of Tocharian donors and Buddhist monks , which was at the MIK ( MIK 8875 ) disappeared during World War II and was discovered by Yaldiz in 2002 in the Hermitage Museum" page 65,note 30
  4. Le Coq, Albert von; Waldschmidt, Ernst (1922). 《Die buddhistische spätantike in Mittelasien, VI》. Berlin, D. Reimer [etc.] 68–70쪽. 
  5. Mallory (2015).
  6. Hansen 2012, 72쪽.
  7. Mallory & Adams 1997, 590쪽.
  8. Namba Walter, Mariko (1998). “Tokharian Buddhism in Kucha: Buddhism of Indo-European Centum Speakers in Chinese Turkestan before the 10th Century C.E.” (PDF). 《Sino-Platonic Papers》 85: 2, not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