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두힘살근
턱두힘살근 | |
---|---|
정보 | |
이는곳 | 아래턱뼈 턱두힘살근오목(앞힘살) 관자뼈 꼭지패임(뒤힘살) |
닿는곳 | 목뿔뼈와 연결된 중간힘줄 |
동맥 | 얼굴동맥의 가지인 턱끝밑동맥(앞힘살) 뒤통수동맥(뒤힘살) |
신경 | 삼차신경 -> 아래턱신경 -> 턱목뿔근신경(앞힘살) 얼굴신경(뒤힘살) |
작용 | 목뿔뼈 올림, 목뿔뼈가 고정되어 있을 때는 아래턱뼈를 내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digastricus |
영어 | Digastric muscle |
TA98 | A04.2.03.002 |
TA2 | 2160 |
FMA | 46291 |
턱두힘살근(digastric muscle, digastricus), 또는 악이복근(顎二腹筋)은 턱 아래에 위치한 작은 근육으로, 그 이름은 힘살 두 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Digastric muscle"이라는 용어는 이 근육만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분리된 근육 힘살로 이루어진 다른 근육들이 존재한다. 그 예로는 샘창자걸이근, 어깨목뿔근, 뒤통수이마근이 있다.
아래턱뼈 몸통 아래에 놓여 있으며 곡선 형태로 꼭지패임에서 턱뼈결합까지 뻗어 있다. 목뿔위근육에 속한다.
턱두힘살근의 힘줄 양쪽에서는 넓은 널힘줄이 나와 몸과 목뿔뼈의 큰뿔(greater cornu)에 붙는다. 이 널힘줄은 suprahyoid aponeurosis라고 부른다.
구조
[편집]턱두힘살근은 중간의 둥근 힘줄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근육 힘살로 이루어져 있다.
턱두힘살근의 두 힘살은 발생학적인 기원이 서로 다르며, 따라서 서로 다른 뇌신경이 분포한다.
각 사람마다 오른쪽과 왼쪽 턱두힘살근이 있다. 대부분의 해부학적 논의에서 사람이 실제로 해당 근육을 두 개(오른쪽에 하나, 왼쪽에 하나)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한 근육으로 간주하여 단수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각 어깨에 하나의 어깨세모근이 있지만 보통 단수형으로 'deltoid'라고 쓴다. 마찬가지로 좌우에 턱두힘살근이 있어도 단수형으로 'digastric'이라고 쓴다.
뒤힘살
[편집]길이가 앞힘살보다 긴 뒤힘살(posterior belly)은 머리뼈의 아랫면, 관자뼈의 꼭지돌기 안쪽에 위치하는 꼭지패임에서 일어난다. 뒤힘살은 귀밑샘[1]과 얼굴신경[2]의 뒤쪽에 위치한다. 꼭지패임은 꼭지돌기와 붓돌기의 사이에 있는 깊은 고랑이다. 꼭지패임은 'digastric groove'나 'digastric fossa'로도 불린다.
뒤힘살에는 얼굴신경 턱두힘살근가지가 분포한다.
턱두힘살근은 턱에서 관자뼈의 꼭지돌기에서 아래턱뼈까지 뻗어 있으며, 그 중간에서 목뿔뼈에 부착된 힘줄도르래(tendinous pulley)를 통과하는 힘줄이 된다. 뒤힘살은 둘째 인두활에서 발생한다.
앞힘살
[편집]앞힘살(anterior belly)은 아래턱뼈의 아래쪽 경계 안쪽의 움푹 들어간 부분인 아래턱뼈 턱두힘살근오목(digastric fossa of mandible)에서 일어나 아래뒤쪽으로 주행한다.
분포하는 신경은 턱목뿔근신경이다. 턱목뿔근신경은 삼차신경 -> 아래턱신경 -> 아래이틀신경 -> 턱목뿔근신경 순서로 갈라져 나온다. 앞힘살은 첫째 인두굽이에서 발생한다.
중간힘줄
[편집]두 힘살은 붓목뿔근을 관통하는 중간 힘줄로 끝나며, 때때로 점액집(mucous sheath)이 늘어서 있는 섬유질 띠에 의해 몸의 측면, 목뿔뼈의 큰뿔과 연결되어 있다.
변이
[편집]해부학적 변이가 많다.
뒤힘살은 붓돌기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발생할 수 있고, 근육 슬립(muscle slip)에 의해 중간인두수축근이나 아래인두수축근에 연결될 수 있다. 앞힘살은 두 개거나, 앞힘살에서 발생한 여분의 미끄러짐이 턱 또는 턱목뿔근으로 전달되거나, 반대쪽의 비슷한 미끄러짐과 교차(decussate)할 수 있다. 앞힘살이 없고 뒤힘살은 턱이나 목뿔뼈의 중앙에 닿을 수 있다.
대개 붓목뿔근을 관통하는 중간힘줄은 붓목뿔근 앞쪽으로 지나갈 수 있으며 드물게는 뒤쪽으로 지나갈 수 있다.
목의 삼각
[편집]턱두힘살근은 앞목삼각을 세 개의 더 작은 삼각형으로 나눈다.
- 아래턱뼈 몸체의 아래쪽 경계를 위쪽 경계로 하는 턱밑삼각(또는 턱두힘살근삼각)의 아래쪽 경계는 턱두힘살근의 뒤힘살과 붓목뿔근이며, 앞쪽 경계는 턱두힘살근 앞힘살이다.
- 목동맥삼각의 위쪽 경계는 턱두힘살근 뒤힘살과 붓목뿔근이며, 뒤쪽 경계는 목빗근 앞모서리, 아래쪽 경계는 어깨목뿔근 위힘살이다.
- 턱끝밑삼각의 가쪽 경계는 앞힘살이며, 안쪽 경계는 목뿔뼈에서 턱뼈결합까지 잇는 목의 정중선, 그리고 아래쪽 경계는 목뿔뼈의 몸통이다.
- 근육삼각의 앞쪽 경계는 목뿔뼈에서 복장뼈까지의 목 정중선, 뒤쪽 경계는 목빗근의 앞쪽 경계, 위쪽 경계는 어깨목뿔근의 위힘살이다.
기능
[편집]턱두힘살근은 말하기, 삼키기, 씹기 및 호흡과 같은 복잡한 턱의 동작에 관여한다.
턱두힘살근이 수축하면 목뿔뼈를 들어올린다.
목뿔뼈가 목뿔아래근육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면 턱두힘살근이 수축했을 때 아래턱뼈를 눌러 입을 열게 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동물들에서
[편집]턱두힘살근은 다양한 동물에 존재하며 근육이 붙는 부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랑우탄에서는 뒤힘살이 목뿔뼈보다는 아래턱뼈에 붙는다.
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391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Schiraldi, Michael; Baron, Eli M.; Vaccaro, Alexander R. (2018년 1월 1일). Baron, Eli M.; Vaccaro, Alexander R., 편집. 《Procedure 5 - Anterior C1-C2 Arthrodesis: Lateral Approach of Barbour and Whitesides》. Operative Techniques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36–40쪽. ISBN 978-0-323-40066-4.
- ↑ Younai, Soheil S.; Seckel, Brooke R. (2010년 1월 1일). Weinzweig, Jeffrey, 편집. 《Chapter 64 - Surgical Anatomy of the Facial Nerve》 (영어). Philadelphia: Mosby. 427–430쪽. ISBN 978-0-323-034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