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
정서 |
---|
기쁨은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가지는 감정이나 느낌이다. 행복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심리학에서의 기쁨은 긍정적인 피드백 매커니즘으로 기술된다. 낙(樂)이라고도 한다.
인간의 신체에서 기쁨, 또는 쾌락을 느낄 때 반응하는 '쾌락중추'의 존재는 1954년 맥길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였던 제임스 올즈가 최초로 발견하였다.
개요
[편집]"기쁨" 또는 "즐거움"은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 무언가를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1][2] 이 용어는 주로 음식이나 섹스의 기쁨과 같은 감각적 쾌락과 관련하여 사용된다.[3]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그것은 스포츠의 기쁨, 아름다운 일몰 감상 또는 지적으로 만족스러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긍정적이거나 즐거운 경험을 포함한다. 기쁨은 나쁜 느낌의 형태인 고통이나 괴로움과 대조된다.[4] 기쁨과 고통은 모두 정도가 있으며 양의 정도에서 중립점을 거쳐 음의 정도까지 가는 차원으로 생각되었다. 이 가정은 예를 들어 공리주의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의 기쁨 정도를 비교하고 집계할 수 있는 가능성에 중요하다.
기쁨의 개념은 웰빙 및 행복의 개념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5][6] 이러한 용어는 겹치는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그 의미는 철학이나 심리학과 같은 기술적인 맥락에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기쁨은 특정 유형의 경험을 말하며 웰빙은 사람에게 좋은 것에 관한 것이다.[7][8] 많은 철학자들은 기쁨이 사람에게 좋고 따라서 웰빙의 한 형태라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건강, 미덕, 지식 또는 욕망의 성취와 같이 웰빙을 구성하는 기쁨 외에 또는 기쁨 대신에 다른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일부 개념에서 행복은 "기쁨과 불쾌한 경험 사이의 개인의 균형"으로 식별된다.[9] 반면에 삶의 만족도 이론은 행복이란 자신의 삶 전체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갖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기쁨은 이러한 태도에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행복과 동일하지는 않다.
기쁨은 가치, 욕망, 동기 및 올바른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0] 쾌락이 어떤 의미에서 가치가 있다는 데는 폭넓은 동의가 있다.[11] 공리적 쾌락주의자들은 쾌락만이 본질적인 가치를 지닌 것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욕망은 쾌락과 관련이 있다. 심리적 쾌락주의는 우리의 모든 행동이 쾌락을 증가시키고 고통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테제이다.[12] 프로이트의 쾌락 원칙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강한 심리적 경향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쾌락을 동기 부여 및 행동과 연결한다. 고전적 공리주의는 어떤 행동이 옳은지 여부는 그것이 만들어내는 쾌락에 달려 있다고 말하면서 쾌락을 윤리와 연결한다. 즉, 쾌락의 총합을 최대화해야 한다.[1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allies, Daniel (2021). “An Honest Look at Hybrid Theories of Pleasure”. 《Philosophical Studies》 178 (3): 887–907. doi:10.1007/s11098-020-01464-5. S2CID 219440957.
- ↑ Lopez, Shane J. (2009). 〈Pleasure〉. 《The Encyclopedia of Positive Psychology》. Wiley-Blackwell.
- ↑ Borchert, Donald (2006). 〈Pleasure〉.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Macmillan.
- ↑ Katz, Leonard D. (2016). “Pleasur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Craig, Edward (1996). 〈Happiness〉.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 ↑ Haybron, Dan (2020). “Happines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Tiberius, Valerie (2015). 〈Prudential value〉.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 ↑ Crisp, Roger (2017). “Well-Being”.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Haybron, Dan (2020). “Happiness: 2.1 The chief candidate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 ↑ Craig, Edward (1996). 〈Pleasur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 ↑ “Psychological hedonism”.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Borchert, Donald (2006). 〈Hedonism〉.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Macmillan.
- ↑ Driver, Julia (2014). “The History of Utilitarianism”.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기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심리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