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선
보이기
불교 |
---|
좌선(坐禪)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이다. "좌(坐)"는 한어(漢語)이며, "선(禪)"은 산스크리트어 디야나(dhyana)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 혹은 속어(俗語)의 자나(jhana)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선나(禪那)라고도 하며 사유수(思惟修) 또는 정려(靜慮)라고도 불린다.[1] 따라서 좌선은 한어와 산스크리트어의 두 언어로 된 낱말로, 두 발을 꼬고 앉아(結跏趺坐) 정신을 집중하고 조용히 사색하는 수행법이다.[1]
좌선은 인도의 종교인들이 예로부터 행하여 온 수행법으로, 고타마 붓다는 이를 받아들여 스스로 보리수 밑에 단좌(端坐: 위의를 갖추고 앉는 것)하여 깨달음을 성취("성도 · 成道")하였으며, 그 직후에도 7일 동안 계속하여 보리수 밑에서 단좌사유(端坐思惟)하였다고 한다.[1]
좌선은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3학(三學) · 6도(六道)의 하나이다.[1] 특히 좌선을 중요시하는 선종(禪宗)에서는 좌선을 교법 중의 일부로 보지 않고, 불법의 총부(總府)이며, 일체의 불교는 좌(坐)의 일행(一行)에 집약되며, 행주좌와(行住坐臥)의 행동 하나하나가 바로 선(禪) 자체라고 주장하고, 좌선만이 안락(安樂)의 법문(法門)이라고 강조하고 있다.[1]
좌선은 현대 심리학이나 의학 면에서도 주목되며, 좌선 중에 있는 선승(禪僧)의 뇌파(腦波)는 수면에 든 사람의 뇌파와 같으면서도 자극에 대해서는 항상 신선한 반응을 보이고 있음이 실증되고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