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의기억연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의기억연대 로고

정의기억연대(正義記憶連帶)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정식 이름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다.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에 반대하여 10억엔을 돌려주기 위해 만들어진 정의기억재단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통합한 재단이며, 윤미향이 이사장을 맡았다. 법적으로는 정의기억재단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대협은 수요집회 등의 사업을 정의기억연대 사업으로 넘긴 뒤 박물관 등을 계속 정대협의 소유로 두고 있으나, 사실상 동일한 단체가 되었다.[출처 필요]

조직

[편집]
  • 이사회
  • 운영위원회
  • 네트워크협의회
  • 사무총장
  • 운영지원국
  • 인권연대처
  • 기억교육국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평화의 우리집

논란

[편집]
  •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을 비롯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직원들이 2011년부터 기부금을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 윤미향이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남 할머니의 장례비 명목으로 1억 3천만 원을 모금한 뒤 횡령하여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 '위안부 피해자 치료사업' 등의 명목으로 총 7개의 국가 사업에 참여하여 여성가족부로부터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점이 법원의 재판을 통해 유죄로 인정되었다.
  • 일본 최고재판부에서 최초로 위안부 피해자라는 것을 인정받은 심미자 등 33명은 2004년 1월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정대협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달려왔다”고 하면서 “당신들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고 비판했다. 이로 인하여서 피해자들에게 모금성금이 제대로 순환되거나 전달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생기게 된다.
  • 기억의 터 조형물에 자신의 이름이 새겨지는 것을 원하지 않은 위안부 피해 당사자가 직접 망치와 끌을 갖고 가 자신의 이름을 파내다 지구대에 연행됐다.
  •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부한 10억원으로 쉼터용 주택을 2013년에 7억 5천만원에 매입하여 2020년 4월 23일 4억 2천만원을 받고 매각하여 다운 계약서 작성과 차액 횡령 논란이 있다. 건설업자가 소유하고 있던 안성시에 있는 해당 주택에 이규민 의원 소개로 나타나자, 이규민 의원은 "가격은 파는 사람 마음 아니냐"고 했으며 건설업자는 자신이 거주할 목적으로 최고급 자재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나 용도를 알고 싸게 팔았다고 밝혔다.
  • 쉼터 관리인으로 윤미향 아버지로 정하고 매월120만원씩 6년동안 상주하면서 관리하게 한 점에 대해 정의기억연대는 "친인척에게 관리를 맡긴 점에 대해 사려깊지 못했다"며 사과했으며 윤미향은 5월 18일 라디오 방송에서 "믿을 만한 사람을 찾다 보니 아버지가 선택되었으나 당시 아버지는 식품회사 공장장을 하다 이 일로 퇴사했고 창고형 컨테이너에서 숙박했다"고 했다.
  • 정의기억연대 관련자와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잘못이 가짜뉴스라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너무 오래된 지출이라 증빙하지 못해서 유죄판결이 나왔다"라는 황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공소시효가 도과되지 않은 10년 내의 범죄사실에 대해서만 기소했으며, 대한민국의 은행과 카드회사 등 금융기관은 법률에 따라 최소 10년 이상 이체와 결제내역을 보관한다. 따라서 정의기역연대와 윤미향이 은행계좌를 통해 모금한 돈의 사용처를 '너무 오래되어' 증빙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물리적으로 완벽한 가짜뉴스다. 한겨레 등의 편향된 언론매체가 그러한 보도를 한 바 있다.
    • 심지어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검찰이 횡령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지 피고인인 윤미향 등이 횡령하지 않은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 아님에도 이들은 기본적인 상식을 무시하는 주장을 이어가기에 사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