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선 (화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겸재 정선
鄭歚
독서 여가, 정선의 자화상으로 보인다.
독서 여가, 정선의 자화상으로 보인다.
조선국 도화서 예하 관상감 겸 천문학 교수
임기 1716년~현재
군주 조선 숙종 이순
조선 경종 이윤
조선 영조 이금
섭정 왕세자 이윤
왕세제 이금

조선국 경상도 하양현감
임기 1721년~1726년
군주 조선 경종 이윤

조선국 경상도 청하현감
임기 1733년~1735년
군주 조선 영조 이금

조선국 경기도 양천현령
임기 1740년~1745년
군주 조선 영조 이금

신상정보
출생일 1676년
경력 서화가 출신
정당 무소속

정선(鄭歚, 1676년 ~ 1759년)은 조선의 화가, 문신이다. 본관은 광주,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이다.[1]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어 관직에 나갔다.

생애

[편집]

20세에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고 이후 현감(縣監)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南畵)에서 출발했으나 30세를 전후하여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산수사생(山水寫生)의 진경(眞景)으로 전환하여 동방 진경산수화의 종화(宗畵)가 되었다.

여행을 즐겨 금강산 등 전국 명승을 두루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과 함께 삼재(三齋)라고 불렀다. 강한 농담(濃淡)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主調)로 하여 암벽(岩壁)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당대에 그쳤다. 문재(文才)가 없었던 탓으로 다만 서명과 한두 개의 낙관(落款)만이 화폭 구석에 있을 뿐, 화제(畵題)가 없는 것이 이채롭다.

정선의 그림에는 다채로운 숨은 그림들이 아주 많았다.

화적

[편집]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입암도(立巖圖)>, <혼혼해색도(混混海色圖)>, 덕수궁 미술관 소장의 <선인도해도(仙人渡海圖)>, <산창유죽도(山窓幽竹圖)>, <의송관란도(倚松觀瀾圖:扇面)>, <노산폭포도(盧山瀑布圖)>, <사직노송도(社稷老松圖)>, <청풍계도(淸風溪圖), <청하읍성도(淸河邑成圖)〉 또 개인 소장의 <금강산 정양사도(金剛山正陽寺圖)>, <해금강도(海金剛圖)>, <노산초당도(盧山草堂圖)>, <통천 문암도(通川門巖圖)>, <봉래산 불정대도(蓬萊山 佛頂臺圖)>, <석굴암도(石窟庵圖)>,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금강전도(金剛全圖)>, <송하노승도> 외에 다수가 있다.

산수화

[편집]

평가

[편집]

18세기 조선 화단을 이끌었던 강세황은 겸재 정선이 실제 경치를 잘 그린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2] 그러나 강세황은 진경을 그릴 때는 각 장면에서 알맞은 화법을 찾아 그려야 한다고 생각하였다.[2] 그래서 그는 자신의 기준에 따라 정선의 산수화를 다음과 같이 비평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한국역대인물정보시스템 - 정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변영섭 (1995). 《1월의 문화인물 미술인 강세황》. 문화체육부·한국문화예술진흥원. 15쪽.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