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량증
보이기
저혈량증 | |
---|---|
다른 이름 | 혈량저하, 혈량저하증, 혈액량부족증,
과소혈증, 순환혈액량감소, 혈액량감소, 혈액량감소증 Hypovolemia, Oligemia, hypovolaemia, oligaemia, hypovolæmia, volume depletion |
진료과 | 응급의학 |
증상 | 두통, 피로, 메스꺼움, 발한, 어지러움 |
합병증 | 저혈량성 쇼크 |
유사 질병 | 탈수 |
저혈량증(低血量症, 영어: hypovolemia, volume depletion, volume contraction)은 체내의 세포외액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이다.[1] 염분과 물이 동시에 부족하거나 혈량의 감소함에 따른 것일 수 있다.[2][3] 저혈량증은 세포외액의 소실을 의미하며 탈수와는 구별한다.[4]
저혈량증은 여러 사건에 의해 기인할 수 있지만 간단히는 콩팥 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로 구별한다.[5]
진단
[편집]단계
[편집]단계 1 | 단계 2 | 단계 3 | 단계 4 | |
---|---|---|---|---|
혈액 소실 | 최대 15% (750 mL) | 15–30% (750–1500 mL) | 30–40% (1500–2000 mL) | 40% 초과 (2000 mL 초과) |
혈압 | 정상 (혈관수축에 의해 유지) | 심장 확장 BP 증가 | 심장 수축 BP < 100 | 심장 수축 BP < 70 |
심박 | 정상 | 사소한 빠른맥 (> 100 bpm) | 심박급속증 (> 120 bpm) | 극심한 심박급속증 (> 140 bpm) + 희미한 맥박 |
호흡 속도 | 정상 | 증가 (> 20) | 빈호흡 (> 30) | 극심한 빈호흡 |
정신 상태 | 정상 | 사소한 분노, 제대로 쉬지 못함 | 혼란 | LOC 감소, 무기력증, 혼수상태 |
피부 | 창백함 | 창백하고 차갑고 축축함 | 땀의 증가 | 극심한 땀, 반점을 보일 수 있음 |
모세관 보충물 | 정상 | 지연 | 지연 | 부재 |
소변량 | 정상 | 20–30 mL/h | 20 mL/h | 무시 가능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McGee, Steven (2018). 《Evidence-based physical diagnosis》. Philadelphia, PA: Elsevier. ISBN 978-0-323-39276-1. OCLC 959371826.
The term hypovolemia refers collectively to two distinct disorders: (1) volume depletion, which describes the loss of sodium from the extracellular space (i.e., intravascular and interstitial fluid) that occurs during gastrointestinal hemorrhage, vomiting, diarrhea, and diuresis; and (2) dehydration, which refers to the loss of intracellular water (and total body water) that ultimately causes cellular desiccation and elevates the plasma sodium concentration and osmolality.
- ↑ “Hypovolemia definition – MedicineNet”. Medterms.com. 2012년 3월 19일. 2014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Hypovolemia | definition of hypovolemia by Medical dictionary”. 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 2015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Bhave G, Neilson EG (August 2011). “Volume depletion versus dehydration: how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can guide therapy”.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58 (2): 302–09. doi:10.1053/j.ajkd.2011.02.395. PMC 4096820. PMID 21705120.
- ↑ Jameson, J. Larry; Kasper, Dennis L.; Longo, Dan L.; Fauci, Anthony S.; Hauser, Stephen L.; Loscalzo, Joseph, 편집. (2018).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판.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ISBN 9781259644030. OCLC 1029074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