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세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세좌
李世佐
출생1445년
사망1504년 4월 4일
곤양군 양포역
사인갑자사화로 자결
성별남성
국적조선
민족한국인
본관광주(廣州)
부모이극감,양주趙氏조말생 손녀
자녀이준경

이세좌(李世佐, 1445년[1]1504년 4월 4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백언(伯彦)[1][2], 봉호는 광양군(廣陽君)이다. 이극감(李克堪)의 장남이자 이준경(李浚慶)의 조부이다. 配는 양주조씨로 趙末生의 아들 趙瑾의 딸이다. 무오사화 당시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의 사형을 건의하였으며, 폐비 윤씨 사사 사건 때 사약을 전달하여 자신 또한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생애

[편집]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사간원 대사간으로 특별 승진하였다.[3] 이후 부제학과 동부승지,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좌승지를 지낸 뒤 도승지로 승진했다. 이후 예조참판, 대사헌을 거쳐서 1485년 이조참판이 되고 그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북경에 다녀왔다. 그해 말 귀국하고, 귀국 직후 광양군(廣陽君)의 봉호를 받았다. 그 뒤 형조참판, 예조참판, 동지중추부사를 거쳐서 경상도관찰사로 나가서 민정을 다스렸고 호조참판도 지냈다. 그 뒤 황해도관찰사를 거쳐서 경기도관찰사 등의 외직을 계속했다. 성종의 탈상 후 1493년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의 한사람으로 차출되었다. 1494년 산릉도감제조의 한사람으로 성종의 국장의례 및 능(陵)축조를 담당하였으며, 이어 한성부판윤‧호조판서를 거쳐 1496년(연산군 2) 순변사로 여진족의 귀순처리와 회유책의 강구를 위하여 북방에 파견되었다. 1497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무오사화김종직 및 그 제자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이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거쳐 예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1503년 인정전에서 열린 양로연에 참석했는데 이때 어사주를 회배(回盃)할 때 그와 한치형연산군에게 술을 받다가 손이 떨려서 어의(御衣)에 술을 엎지르는 실수를 저질렀다가[5] 연산군의 분노를 사서 무안에 부처되었다가[6] 다시 온성‧평해에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위할 때 극간하지 않았고, 이어 형방 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을 전하였다 하여 다시 거제에 이배되던 중 곤양군 양포역(良浦驛)에서 자살의 명을 받고 스스로 목매어 자결하였다.[7] 이세좌의 외손자로 성종의 딸 정순옹주의 남편 봉성위(奉城尉) 정원준(鄭元俊)도 이세좌의 죄에 연좌되어 귀양을 갔다.[8] 이후 1504년 음력 4월 4일 곤양군(昆陽郡) 양포역(良浦驛)에서 자결하였다.[9]

관련 작품

[편집]

드라마

[편집]

각주

[편집]
  1. 『국조방목』
  2. 『연려실기술』에는 '맹언(孟彦)'으로 기록되어 있다.
  3. 《조선왕조실록》 성종 77권, 8년(1477 정유 / 명 성화(成化) 13년) 윤2월 21일(기미) 6번째기사
  4. 《조선왕조실록》 연산 30권, 4년(1498 무오 / 명 홍치(弘治) 11년) 7월 17일(신해) 2번째기사
  5. 《조선왕조실록》 연산 50권, 9년(1503 계해 / 명 홍치(弘治) 16년) 9월 11일(갑술) 1번째기사
  6. 《조선왕조실록》 연산 50권, 9년(1503 계해 / 명 홍치(弘治) 16년) 9월 20일(계미) 3번째기사
  7. 《조선왕조실록》 연산 52권, 10년(1504 갑자 / 명 홍치(弘治) 17년) 4월 9일(경자) 6번째기사
  8. 《조선왕조실록》 중종 1권, 1년(1506 병인 / 명 정덕(正德) 1년) 10월 23일(무진) 3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52권, 연산 10년 4월 9일 경자 6번째기사. 의금부 도사 안처직이 이세좌가 목매 죽었음을 아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