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박씨
보이기
나라 | 한국 |
---|---|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월성동 |
시조 | 박언의(朴彦儀) |
원시조 | 박혁거세(朴赫居世) |
중시조 | 박인육(朴仁育) |
인구(2015년) | 26,565명 |
월성 박씨(月城 朴氏)는 경상북도 경주시 월성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편집]월성 박씨(月城 朴氏)의 시조는 신라 경명왕 박승영의 막내아들인 신라 왕족 종실 박언의(朴彦儀)이고 1세 중시조는 고려 혜종 치세 시대 문관 관료 박휘(朴徽)이며 2세 중시조는 고려 현종 치세 시대 하급 관료 박인육(朴仁育)이다.
월성 박씨(月城 朴氏)의 중시조 박휘(朴徽)는 고려 혜종 시대 초기에 판결사(判決事)라는 관직을 역임하였다.
한편, 월성 박씨의 시조 박언의(朴彦儀)는 신라 경명왕의 막내아들로 월성대군(月城大君)에 봉해졌다는 전설은 후대에 족보를 편찬하면서 만들어진 전승이다.
고려 때에 대릉직을 지낸 하급 관료 출신의 박인육(朴仁育)을 월성 박씨 2세 중시조이자 월성 박씨 본격 1세조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분적된 성씨 본관
[편집]월성 박씨(月城 朴氏)에서 직계 분적된 성씨 본관에는 조선 태종 치세 시절이던 1401년에 분적된 의흥 박씨(義興 朴氏) 등이 있다.[1] 의흥 박씨의 주요 인물에는 조선 시대 문관 관료 박수검(朴守儉, 1629년 ~ 1698년) 등이 있다.
분파
[편집]- 참의공파(叅義公派)
- 휘학수공파(諱鶴壽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고암공파(古庵公派)
- 관포공파(灌圃公派)
- 전적공파(典籍公派)
- 세마공파(洗馬公派)
- 계당공파(季堂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설봉공파(雪峰公派)
- 후포공파(後圃公派)
- 생원공파(生員公派)
- 송애공파(松崖公派)
- 해강공파(海岡公派)
- 운암공파(雲庵公派)
- 추산공파(秋山公派)
- 참판공파(叅判公派)
- 악재공파(樂齋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인재공파(忍齋公派)
- 무계공파(舞溪公派)
- 성은공파(醒隱公派)
- 악용공파(樂翁公派)
- 중군공파(中軍公派)
- 유촌공파(柳村公派)
- 청계공파(淸溪公派)
- 고은공파(古隱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운계공파(雲溪公派)
- 부사공파(府使公派)
- 학수공파(鶴壽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임계공파(臨溪公派)
항렬자
[편집]
|
- 송계공파(松溪公派)
|
인구
[편집]- 1985년 5,120가구 20,506명
- 2000년 7,251가구 22,917명
각주
[편집]- ↑ 의흥 박씨(義興 朴氏)의 시조는 을규(乙規)인데 그는 원래 고려 말기 시대 해주 왕씨(海州 王氏) 후손으로 고려 공양왕 치세 시절 음서로써 천거되어 1390년에서 1391년까지 고려국 병부상서(高麗國 兵部尙書)를 지내다가 1391년 고려국 병부상서 직책을 사퇴하고 결국 개경을 떠나 서해도 해주로 건너갔지만 1392년 고려국이 멸국된 후 조선국(朝鮮國)이 창건되면서 결국 정치적 박해를 피하고자 또다시 서해도 해주를 떠나 경상도 군위군 의흥에 은둔 및 두문불출하다가 조선 태종 치세 시절이던 1401년 외가 성씨인 월성 박씨(月城 朴氏)를 따라 왕을규(王乙規)에서 박을규(朴乙規)로 개명하고 의흥 박씨(義興 朴氏)를 새로 본관을 삼아 의흥 박씨 시조가 되었으며 훗날 조선 중종 치세 시절인 1523년 의흥 박씨 시조 박을규의 직계 후손인 박득서(朴得署)가 의흥 박씨 중시조로써 계대를 재편하였다.
- ↑ 가 나 《월성박씨대동세보 권1》. 월성박씨대동보소. 2000년 10월.
외부 링크
[편집]- "성씨를 찾아서"에서 "월성 박씨"를 검색 - 001 Archived 2015년 2월 16일 - 웨이백 머신
- "성씨를 찾아서"에서 "월성 박씨"를 검색 - 00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성씨를 찾아서"에서 "월성 박씨"를 검색 - 003 Archived 2019년 7월 26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