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원숭이하목
여우원숭이하목 | ||
---|---|---|
화석 범위: 팔레오세부터 현세까지 | ||
여우원숭이하목 다양성 예[a] 8개 생물학 속 예시(왼쪽 상단부터 오른쪽으로) 여우원숭이속, 시파카속, 아이아이속, 목도리여우원숭이속, 작은쥐여우원숭이속, 늘보로리스속, 홀쭉이로리스속, 큰갈라고속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곡비원목 | |
하목: | 여우원숭이하목 (Lemuriformes) Gregory, 1915 | |
상과 | ||
|
여우원숭이하목(Lemuriformes)은 곡비원아목에 속하는 영장류 하목 분류군의 하나이다. 마다가스카르섬의 여우원숭이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갈라고원숭이와 로리스원숭이를 포함하고 있다. 로리스상과를 별도의 로리스하목(Lorisiforme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a]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는 입 앞 쪽의 아랫 부분에 특별한 빗 형태의 치아 구조를 갖고 있으며 주로 털 손질을 하면서 빗질을 하는 식으로 이빨을 사용한다.[4]
진화사
[편집]여우원숭이하목 원숭이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미국 고생물학자 필립 깅거리치(Philip Gingerich)는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를 아다피스류의 앞쪽 아랫니와 현존하는 여우원숭이 하목 원숭이의 빗 형태 앞니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유럽 아다피스류의 몇 개 생물학 속으로부터 진화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런 관점은 전이형태의 명확한 화석이 없기 때문에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5] 대신에 북아프리카로부터 넘어 온 아시아 세르카몬아과(Cercamoniinae) 또는 시발라다피스류(sivaladapids)의 아주 초기 지점에서 갈라진 것일 수 있다.[6][7]
여우원숭이하목 계통 발생[8][9] | ||||||||||||||||||||||||||||||||||||
| ||||||||||||||||||||||||||||||||||||
1997년과 2005년 사이 이집트 엘 파이윰(El Fayum) 유적에서 4천만년 전의 세 종류(Karanisia, Saharagalago, Wadilemur) 로리스류 화석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여우원숭이하목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화석은 케냐와 우간다의 미오세 초기(~20 mya)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 새로운 발견은 아프로-아라비아 에오세 중기 동안에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가 존재했으며 여우원숭이하목 계통과 모든 다른 곡비원류 분류군이 그 이전에 분기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0][11][12] 튀니지에서 발견된 드제베여우원숭이속(Djebelemur) 화석은 에오세 중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세르카몬아과 화석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왔지만[13] 여우원숭이하목의 줄기일 수도 있다.[6] 대략 같은 시기 화석으로 추정되는 알제리에서 발견된 알지비우스류(Azibiids)는 드제베여우원숭이류(Djebelemurids)의 자매군일 수 있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에우세 후기 플레시오피테쿠스속(‘’Plesiopithecus’’) 화석과 함께 이 세 화석은 아프리카에서 온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 자격을 얻을 수 있다.[7]
분자 시계 추산치는 여우원숭이류와 로리스류가 약 6200만년 전 팔레오세 동안에 아프리카에서 분기되었음을 보여 준다. 4700만 년 전과 5400만 년 전 사이에 여우원숭이는 뗏목 이동을 통해 마다가스카르 섬에 확산되었다.[11] 고립된 상태로 여우원숭이는 다양성이 풍부해졌고 그 생태적 지위는 오늘날의 원숭이와 유인원으로 종종 채워졌다.[14] 아프리카에서는 에오세 기간, 약 4000만 년 전에 로리스원숭이와 갈라고원숭이가 서로 분기되었다.[11] 마다가스카르의 여우원숭이와 달리 로리스와 갈라고는 원숭이와 유인원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류와도 경쟁해야 했다.[15]
분류학상의 분류
[편집]대부분의 학술 문헌은 영장류 분류학의 기본 틀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몇 가지 잠재적 분류 체계를 포함한다.[16]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계통 발생에 동의하지만[17] 대다수가 거의 모든 수준의 영장류 분류를 동의하고 있지는 않다.[16]
2 하목[1][2] | 3 하목[3] | 4 하목[18] |
---|---|---|
|
|
주해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Szalay & Delson 1980, 149쪽.
- ↑ 가 나 Cartmill 2010, 15쪽.
- ↑ 가 나 Hartwig 2011, 20–21쪽.
- ↑ Cartmill & Smith 2011, 89–90쪽.
- ↑ Rose 2006, 182 & 186쪽.
- ↑ 가 나 Godinot 2006, 446쪽.
- ↑ 가 나 Tabuce 등. 2009, 4091–4092쪽.
- ↑ Janečka 등. 2007, fig. 2.
- ↑ Asher, Bennett & Lehmann 2009, 856쪽.
- ↑ Hartwig 2011, 24–25쪽.
- ↑ 가 나 다 Vaughan, Ryan & Czaplewski 2011, 170–171쪽.
- ↑ Rose 2006, 187쪽.
- ↑ Rose 2006, 185쪽.
- ↑ Cartmill & Smith 2011, 89쪽.
- ↑ Hartwig 2011, 29쪽.
- ↑ 가 나 Hartwig 2011, 20 & 22쪽.
- ↑ Sussman 2003, 45쪽.
- ↑ Groves 2005.
문헌 자료
[편집]- Asher, R. J.; Bennett, N.; Lehmann, T. (2009년 7월 6일). “The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lacental mammal evolution”. 《BioEssays》 31 (8): 853–864. doi:10.1002/bies.200900053. PMID 19582725.
- Cartmill, M. (2010). 〈Primate Classification and Diversity〉. Platt, M.; Ghazanfar, A. 《Primate Neuroe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0–30쪽. ISBN 978-0-19-532659-8.
- Cartmill, M.; Smith, F. H. (2011). 《The Human Lineage》.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21145-8.
- Godinot, M. (2006). “Lemuriform origins as viewed from the fossil record”. 《Folia Primatologica》 77 (6): 446–464. doi:10.1159/000095391. PMID 17053330.
- Groves, C.P. (2005). “Strepsirrhini”.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Hartwig, Walter Carl (2002). Hartwig, W. C, 편집. 《The primate fossil record》. 《The Primate Fossil Recor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4쪽. Bibcode:2002prfr.book.....H. ISBN 978-0-521-66315-1.
- Covert, H. H. (2002). 〈Chapter 3: The earliest fossil primates and the evolution of prosimians: Introduction〉. 《The Primate Fossil Record》. 《The Primate Fossil Record》. 13–20쪽. Bibcode:2002prfr.book.....H. ISBN 9780521663151.
- Godfrey, L. R.; Jungers, W. L. (2002). 〈Chapter 7: Quaternary fossil lemurs〉. 《The Primate Fossil Record》. 《The Primate Fossil Record》. 97–121쪽. Bibcode:2002prfr.book.....H. ISBN 9780521663151.
- Hartwig, W. (2011). 〈Chapter 3: Primate evolution〉. Campbell, C. J.; Fuentes, A.; MacKinnon, K. C.; Bearder, S. K.; Stumpf, R. M. 《Primates in Perspective》 2판. Oxford University Press. 19–31쪽. ISBN 978-0-19-539043-8.
- Janečka, J.E.; Miller, W.; Pringle, T.H.; Wiens, F.; Zitzmann, A.; Helgen, K.M.; Springer, M.S.; Murphy, W.J. (2007). “Molecular and genomic data identify the closest living relative of primates” (PDF). 《Science》 318 (5851): 792–794. Bibcode:2007Sci...318..792J. doi:10.1126/science.1147555. PMID 17975064.
- Rose, K. D. (2006). 《The Beginning of the Age of Mamma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8-8472-6.
- Sussman, R. W. (2003). 《Primate Ecology and Social Structure》. Pearson Custom Publishing. ISBN 978-0-536-74363-3.
- Szalay, F.S.; Delson, E. (1980). 《Evolutionary History of the Primates》. Academic Press. ISBN 978-0126801507. OCLC 893740473.
- Tabuce, R.; Marivaux, L.; Lebrun, R.; Adaci, M.; Bensalah, M.; Fabre, P. -H.; Fara, E.; Gomes Rodrigues, H.; Hautier, L.; Jaeger, J. -J.; Lazzari, V.; Mebrouk, F.; Peigne, S.; Sudre, J.; Tafforeau, P.; Valentin, X.; Mahboubi, M. (2009). “Anthropoid versus strepsirhine status of the African Eocene primates Algeripithecus and Azibius: Craniodental evidence” (PDF).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6 (1676): 4087–4094. doi:10.1098/rspb.2009.1339. PMC 2821352. PMID 19740889. 요약문 – Science Daily (2009년 9월 15일).
- Vaughan, T.; Ryan, J.; Czaplewski, N. (2011). 〈Chapter 12: Primates〉. 《Mammalogy》 5판. Jones & Bartlett Learning. ISBN 978-0-7637-6299-5.
- Williams, B. A.; Kay, R. F.; Christopher Kirk, E.; Ross, C. F. (2010). “Darwinius masillae is a strepsirrhine—a reply to Franzen et al. (2009)” (PDF). 《Journal of Human Evolution》 59 (5): 567–573; discussion 573–9. doi:10.1016/j.jhevol.2010.01.003. PMID 20188396. 2013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