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군
여군(女軍, 문화어: 녀군)은 여성 군인 혹은 여성으로 조직된 군대를 뜻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나라에서 남성 군인과 남성으로 조직된 군대에 비하여 적은 비율이다. 여군은 대체로 19세기 이후에 창군되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탓에 과거에는 거의 여군을 운용하지 않았으며 기껏해야 초한전쟁 시절 한고제가 기신을 지휘관으로 삼아 항우의 눈을 속이고 유방이 도망갈 시간을 벌기 위해 구성된 소수의 여군 정도만 존재했다. 근대 이후까지 여군은 지극히 제한적인 병과(주로 간호병, 취사병, 기행병)에서만 활약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 여군의 비중이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이다.
역사
[편집]나라별 역사
[편집]- 기원전 204년 : 초한전쟁 당시 한고제는 형양성에서 항우에게 포위당했는데 한고제는 진평의 계략에 의해 기신을 지휘관으로 삼아 2,000명 규모의 여군을 결성해서 항우에게 보냄. 그리고 그 틈을 타 한고제는 여군을 내보낸 반대 방향으로 도주.
- 19세기 : 프랑스가 여군을 창군함.
- 1901년 : 미국이 미국-에스파냐 전쟁 중 여군을 창군함.
- 1922년 : 영국이 여군을 창군함.
- 1945년 : 독일(서독)·노르웨이·덴마크·네덜란드가 여군을 창군함.
- 1948년 : 미국 여군이 정규군으로 편성됨.
- 1949년 : 영국 여군이 정규군으로 편성됨.
- 1972년 : 미국 여군이 세계 최초의 여군 장군을 배출함.
대한민국의 여군 역사
[편집]- 1950년 9월 6일 : 6.25 전쟁 중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정식 발족함으로써 처음으로 여군이 군 조직 내에 등장하였다.
- 1951년 11월 : 여자의용군교육대가 해체된 후 육군본부 고급부관실 여군과로 편입되었다.
- 1953년 2월 1일 : 육군보병학교에 여군교육대가 다시 창설되어 6.25 전쟁 휴전 시까지 4기에 걸쳐 군사훈련과 병과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
- 1955년 7월 : 여군훈련소가 창설되어 여군의 훈련을 전담하게 되었다.
- 1959년 1월 : 여군과가 육군본부 여군처로 개편되었다.
- 1967년 7월 14일 : 육군간호학교가 창설되어 군에 정식 간호장교 양성 과정이 자리잡았다.
- 1969년 : 베트남 전쟁에 최초로 여군이 파병되었다.
- 1970년 12월 : 여군처가 육군본부 직할 여군단으로 승격되었다.[1]
- 1974년 1월 : 개편된 여군계급제도에 따라 여군의 병 입대가 폐지되고 장교·부사관만으로 편성되도록 개편되었다.
- 1977년 : 육군에서 전군 최초의 여군 준위가 배출되었다.[2]
- 1981년 : 육군에서 전군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가 배출되었다.[3][4]
- 1990년 : 여군 병과가 해체되고 2월에 육군여군학교가 창설되었다.
- 1991년 1월 1일 : 여군단이 해체되고 인사참모부 여군처로 개편되었다.
- 1993년 :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소대장(사단 신병교육대)에 보직되었다.
- 1997년 : 공군사관학교에서 최초로 여성 생도가 입교하였다.[5][6] 또한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연대장(육군훈련소 신병교육연대)에 보직되었다.[7]
- 1998년 : 육군사관학교에서 최초로 여성 생도가 입교하였다.[8]
- 1999년 : 해군사관학교에서 최초로 여성 생도가 입교하였다.[9][10]
- 2001년 : 해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함정에 배치되었다.[11][12]
- 2002년 : 국군 최초의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13] 또한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전투부대 소대장에 보직되었으며,[14][15] 공군에서는 최초의 여군 전투기·수송기 조종사가 배출되었다.[16][17] 11월에는 각 군별로 추진해 왔던 여군 정책을 통합할 필요성에 따라 국방부 직할로 여군발전단이 창설되었다.[18]
- 2003년 : 해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전투함에 배치되었다.[19][20]
- 2005년 : 해군에서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가 배출되었다.[21][22]
- 2006년 : 여군발전단이 국방부 인사복지본부 예하 부서인 국방여성정책팀으로 개편되었다.[23] 또한 해병대에서 최초로 여군이 전투부대 중대장에 보직되었다.[24]
- 2007년 : 공군에서 최초의 여군 전투기 편대장[25][26]과 KF-16 조종사[27]가 배출되었다. 7월에는 국방여성정책팀이 국방부 인사기획관실 예하 부서로 변경되었다.
- 2010년 : 숙명여자대학교에 여대 최초의 학생군사교육단(ROTC)이 창설되었다.[28][29] 또한 간호병과 이외의 전투병과(보병)에서 최초로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30][31]
- 2011년 : 법무 병과 출신 최초의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32][33][34] 또한 해군에서 최초의 여군 초계기 조종사(P-3)가 배출되었다.[35][36][37]
- 2012년 : 해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고속정 정장에 보직되어 여군 최초의 해상지휘관이 배출되었다.[38][39]
- 2013년 : 해군과 공군에서 최초의 여군 준위가 배출되었다.[40]
- 2015년 : 육군3사관학교에서 최초로 여성 생도가 입교하였다.[41][42] 또한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보병연대장에 보직되었으며,[43] 공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방공유도탄 포대장(PAC-2)에 보직되었다.[44][45][46]
- 2017년 : 육군에서 포병 병과가 여군에게 개방된 이래 최초로 여군이 포대장에 보직되었다.[47] 또한 해군에서 최초의 여군 함장(소해함, 소령급)이 배출되었으며,[48][49] 이어서 최초의 여군 전투함 함장(유도탄고속함, 소령급)도 배출되었다.[50]
- 2018년 : 정훈 병과 출신 최초의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51][52] 또한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전방사단 보병대대장에 보직되었으며,[53][54] JSA 경비대대에 국군 측에서는 최초로 여군이 배치되었다.[55][56]
- 2019년 : 여군 최초의 소장 진급자가 배출되었으며, 정보 병과 출신 최초의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57][58] 또한 육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해안경계부대 중대장에 보직되었으며,[59] 공군에서는 최초로 여군이 비행대대장에 보직되었다.[60][61][62][63]
- 2020년 : 해군에서 최초로 여군이 중령급 함장(상륙함)에 보직되었으며,[64] 초계함 함장과 기뢰부설함 함장에도 여군이 최초로 보직되었다.[65][66] 또한 해병대에서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가 배출되었다.[67][68][69]
- 2021년 : 보병 병과 출신 최초의 여군 소장 진급자와 공병 병과 출신 최초의 여군 장성이 배출되었다.[70] 또한 해병대에서 최초로 여군이 보병부대 대대장에 보직되었다.[71]
- 2022년 : 육군에서 기갑 병과가 여군에게 개방된 이래 최초로 여군이 전차중대장에 보직되었다.[72]
현재 대한민국 국군에서 여군은 병으로 입대할 수 없고 장교·부사관으로만 입대할 수 있으며, 이는 전세계에서 대한민국 국군만이 유일하다. 과거에는 6.25 전쟁 당시 창설된 육군 여군의용대에 여군 병사들이 입대하여 참전한 이래로 여군 병 제도가 유지되었던 적이 있었지만, 1974년 여군 병 제도가 폐지되어 이후로는 여성은 장교나 부사관으로만 복무할 수 있게 되었다.
2014년 이전까지는 기갑, 포병, 방공, 군종 등의 병과들이 여군에게 개방되지 않았으나, 2014년부터 전술한 병과들이 여군에게 개방되기 시작하여 여군이 해당 병과들에 진출하기 시작했다.[73] 또한 해군의 경우, 2022년 잠수함에 여군 배치를 허용하지 않았던 지금까지의 관례를 깨고 여군도 잠수함 승조원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결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듬해인 2023년 최초의 여군 잠수함 승조원 9명을 선발하여 2024년부터 여군이 잠수함에 실제로 배치될 예정이다.[74]
한편 여군 최초로 배출된 장성은 간호장교인 양승숙 준장으로, 2001년 11월 군 장성 인사에서 준장 진급이 확정되어[75][76] 이듬해인 2002년 1월에 진급하였다.[77] 2010년에는 간호장교 이외의 최초 여군 장성인 육군 보병 병과 출신의 송명순 준장, 2011년에는 군법무관 최초의 여군 장성인 이은수 준장이 배출되었다. 2017년에는 강선영 준장이 여군 최초로 임기제 진급이 아닌 정상 진급으로 장성으로 진급하였으며, 2019년에는 소장 진급에 성공하여 여군 최초의 소장 진급자가 되었다. 2019년에는 또한 정보 병과 출신 최초 여군 장성인 김주희 준장이 배출되었다. 2021년에는 여군 최초의 보병 병과 출신 소장 진급자인 정정숙 소장과 공병 병과 출신 최초 여군 장성인 강영미 준장이 배출되었다.
2023년 현재까지 배출된 국군의 여군 장성은 모두 육군에서 배출되었고, 해군과 공군, 해병대에서는 아직까지 여군 장성이 배출되지 않았다. 또한 대한민국 국군 여군의 진급 상한선은 소장으로 아직 중장에 진급한 여군은 없다.
지원 자격
[편집]항목 | 부사관 | 장교 |
---|---|---|
학력 | 고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상 | 학사 학위 취득 예정 또는 그 이상 |
연령 | 18 ~ 27세 | 20 ~ 27세 |
신장 (cm) | 155 ~ 183 | 155 ~ 184 |
체중 (kg) | 40 ~ 87 | 38 ~ 88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陸(육)·空軍本部(공군본부) 대폭改編(개편)”. 동아일보. 1970년 12월 26일.
- ↑ “文良子(문양자) 사격시작 2년만에 世界頂上級(세계정상급)으로 급성장”. 경향신문. 1977년 9월 23일.
- ↑ 구영식 (2006년 12월 26일). “"피우진, 최초 여성헬기조종사 아니다"”. 오마이뉴스.
- ↑ “첫 女軍(여군)헬기조종사 탄생 陸軍(육군)항공교 金福善(김복선)중위”. 동아일보. 1981년 7월 11일.
- ↑ “여자 공군 사관생도 19명 첫 입교식; 공군사관학교 49기 생도 입교식 광경”. KBS 뉴스. 1997년 2월 22일.
- ↑ “[공사] 국내 최초 여자 공군사관생도 탄생”. 조선일보. 1997년 2월 22일.
- ↑ “첫 여군 연대장 취임”. 연합뉴스. 1997년 11월 11일.
- ↑ 심원택 (1998년 2월 28일). “육사 첫 여생도 24명 입교”. MBC 뉴스.
- ↑ 정덕상 (1999년 2월 21일). “해군사관학교 최초 여생도 탄생”. 한국일보.
- ↑ 최병길 (1999년 2월 20일). “<지방안테나>해사 여생도 21명 첫 입교”. 연합뉴스.
- ↑ 백순기 (2001년 10월 25일). “해군 여성장교 첫 함정배치”. 매일경제.
- ↑ 성동기 (2001년 10월 25일). “해군함정 배치 '여성1호' 정형랑-이현주 소위”. 동아일보.
- ↑ 정현권 (2002년 1월 3일). “[인터뷰] 첫 여성 장성 양승숙 준장”. 매일경제.
- ↑ 송평인 (2002년 3월 14일). “[송평인의 현장칼럼]전투부대 첫 여소대장되는 강유미소위”. 동아일보.
- ↑ 정연재 (2002년 12월 14일). “최초 여성소대장 姜有美·崔廷伊소위”. 강원도민일보.
- ↑ 윤상호 (2002년 9월 26일). “"조국영공 우리가 책임진다" 첫 여성 전투기조종사 탄생”. 동아일보.
- ↑ 정구학 (2002년 9월 26일). “여성 전투기 조종사 나왔다..空士 49기동기생 박지연.편보라.박지원 중위”. 한국경제.
- ↑ “국방부 여군발전단 창단식”. 연합뉴스. 2002년 11월 1일.
- ↑ “여군 장교 전투함정 첫 배치”. KBS 뉴스. 2003년 5월 19일.
- ↑ 이성원 (2003년 5월 19일). “여군장교들 전투함정 탄다”. 매일경제.
- ↑ “해군 최초 첫 여성 파일럿 탄생”. 강원일보. 2005년 6월 3일.
- ↑ 조승진 (2005년 6월 3일). ““이젠 헬기가 제 애인입니다””. 서울신문.
- ↑ “국방부 국방여성정책팀 출범”. 국정브리핑. 2006년 1월 6일.
- ↑ “해병대 최초의 전투부대 여군 중대장 등장”. 데일리안. 2006년 10월 24일.
- ↑ “국내 1호 "여성 전투기 편대장" 탄생…"금녀(禁女)의 벽 깼다"”. 노컷뉴스. 2007년 2월 22일.
- ↑ 박성진 (2007년 2월 22일). “여성 전투기 편대장 1호 탄생…제8전투비행단 박지연대위”. 경향신문.
- ↑ 송한진 (2007년 11월 22일). “대한민국 여성 최초 KF-16 전투기 조종사 하정미 대위”. 뉴시스.
- ↑ 박호근 (2010년 12월 10일). “"충성"…대한민국 1호 여성 학군단 창설”. MBN 뉴스.
- ↑ 김경수 (2010년 12월 10일). “숙명여대 “충성! 첫 여성 ROTC 신고합니다””. 파이낸셜뉴스.
- ↑ 박기현 (2010년 12월 16일). “전투병과 첫 여성 장군 탄생”. YTN.
- ↑ 이재협 (2010년 12월 17일). “'전투병과 첫 여성장군' 경북여고·영남대 출신 송명순 준장”. 매일신문.
- ↑ 권대경 (2011년 4월 20일). “여성 첫 법무병과 장군 이은수 준장 "여군의 희망이 될 것"”. 서울경제.
- ↑ 김수정 (2011년 4월 21일). “첫 여성 군 법무관, 20년 만에 별 달아”. 중앙일보.
- ↑ “최초 여성 군법무관 `별` 달았다”. 디지털타임스. 2011년 4월 20일.
- ↑ 최영진 (2011년 5월 3일). “해군 첫 여성 해상초계기 조종사 탄생… “내 손으로 적 격침””. 서울신문.
- ↑ 양낙규 (2011년 5월 3일). “해군 최초 P-3 여성조종사”. 아시아경제.
- ↑ 하경민 (2011년 5월 3일). “해군의 해상초계기 '여성 파일럿' 첫 비행”. 뉴시스.
- ↑ 박병진 (2012년 1월 16일). “해군 첫 여성 고속정장 탄생”. 세계일보.
- ↑ 최현수 (2012년 1월 16일). “해군, 첫 여성 고속정장 2명 탄생”. 국민일보.
- ↑ 이석종 (2013년 12월 1일). “해·공군 女준위 첫 탄생”. 국방일보. 2023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박석호 (2015년 1월 26일). “육군3사관학교 최초 여생도 입교”. KBS 뉴스.
- ↑ 김우종 (2015년 2월 16일). “육군3사관학교, 개교 47년 만에 첫 '여생도' 입학”. 스타뉴스.
- ↑ “육군 최초의 여군 보병연대장 노경희 대령”. 연합뉴스. 2016년 3월 7일.
- ↑ 최선 (2015년 1월 6일). “공군 최초 '여군 패트리엇 방공포대장' 탄생”. 이데일리.
- ↑ 권홍우 (2015년 1월 6일). “공군 최초 여성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장 나왔다”. 서울경제.
- ↑ 이도근 (2015년 1월 6일). “공군 최초 ‘여군 페트리어트 포대장’ 탄생”. 동양일보.
- ↑ 조유미 (2018년 11월 17일). “육군 첫 여성 포대장 "무사히 임무 완수했습니다"”. 조선일보.
- ↑ 문재연 (2017년 6월 19일). ““영해 수호도 여군시대”…해군 사상 첫 여군함장 탄생”. 헤럴드경제.
- ↑ 윤병노 (2017년 8월 9일). “‘해군 최초 女함장’ 안희현 소령, 고령함장 취임”. 국방일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윤병노 (2017년 12월 28일). “해군 최초 여군 전투함장 탄생”. 국방일보. 2023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강민경 (2018년 11월 22일). “軍, 장성급 장교 인사 단행..정훈병과 최초 여성 장군 탄생”. 스타뉴스.
- ↑ 이인수 (2018년 11월 24일). “정훈병과 첫 여성 장군 탄생, 박미애 준장”. 경북신문.
- ↑ 김정래 (2019년 3월 7일). “육군, 여군 최초 전방사단 보병대대장 권성이 중령 소개... '軍 역사 다시 써'”. 아주경제.
- ↑ 윤봄이 (2019년 3월 7일). “‘여군 최초’ 전방사단 보병대대장 권성이 중령…첫 여성 육사생도 출신”. KBS 뉴스.
- ↑ 조용학 (2019년 1월 17일). “판문점 역사에 또 한 획 ‘1호 여군’ 탄생”. 국방일보. 2020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김수한 (2019년 1월 18일). “JSA 최초의 여군대원 탄생..민사업무관 임무 성유진 중사”. 헤럴드경제.
- ↑ 유용원 (2019년 11월 9일). “창군 이래 첫 여성 투스타 탄생”. 조선일보.
- ↑ 김백겸 (2019년 11월 8일). “군 최초 여성 ‘투스타’ 강선영 신임 소장…육군항공작전사령관 임명”. 민중의소리.
- ↑ 김귀근 (2019년 9월 8일). “육군 최초 해안경계부대 여군 중대장 탄생…정희경 대위”. 연합뉴스.
- ↑ 김주영 (2019년 12월 3일). “공군 "여군 최초 비행대대장 3인 탄생"”. 파이낸셜뉴스.
- ↑ 하수영 (2019년 12월 3일). “공사 최초 女생도 3인방, 22년만에 여군 1호 비행대대장 되다”. 뉴스핌.
- ↑ 박대로 (2019년 12월 3일). “여군 최초 공군 비행대대장 탄생…공군사관학교 출신 3명”. 뉴시스.
- ↑ “공군 최초 여성 사관생도들, 여군 최초 비행대대장 되다”. SBS 뉴스. 2019년 12월 3일.
- ↑ 오웅근 (2020년 7월 24일). “해군 최초 여군 상륙함 함장 탄생”. 국제뉴스.
- ↑ 곽희양 (2020년 12월 21일). “여군 첫 초계함장·기뢰부설함장 “ ‘여성 최초’ 수식어보다 리더십으로 주목받겠다””. 경향신문.
- ↑ 노성수 (2020년 12월 21일). “해군 초계함·기뢰부설함, 최초 여군 함장 탄생”. 국방일보. 2023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김주영 (2020년 11월 1일). “해병대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 탄생.. "어떤 임무라도 완수할 것"”. 파이낸셜뉴스.
- ↑ 류희진 (2020년 11월 1일). “해병대 역사상 최초 여군 헬기 조종사 배출”. 경북일보.
- ↑ 오주호 (2020년 11월 2일). “해병대 최초 여군 헬기 조종사 탄생”. 브레이크뉴스.
- ↑ 장문기 (2021년 12월 9일). “보병 역사상 첫 여군 ‘투스타’ 탄생...공병도 첫 여성 장군 배출”. 아주경제.
- ↑ 정충신 (2021년 9월 6일). ““女軍, 정신력에선 男軍에 절대 뒤지지 않아””. 문화일보.
- ↑ “[우명소 시즌2] 육군7보병사단 전차대대 윤채은 대위”. 국방일보. 2022년 11월 2일. 2023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여군도 탱크 몬다…포병·기갑·방공 병과에 배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4년 2월 21일.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이원준 (2023년 6월 30일). “해군 최초 잠수함 여군 승조원 9명 선발”. 국방일보. 2023년 11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수찬 (2001년 11월 9일). “첫 여성장군 탄생 .. 국군 창설 53년만에...양승숙 대령”. 한국경제.
- ↑ 김수찬 (2001년 11월 9일). “창군 53년만에 첫 女장군 .. 양승숙대령 내정”. 한국경제.
- ↑ “<오늘의 주요 정치뉴스>(3일)”. 연합뉴스. 2002년 1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