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애
보이기
언어장애 | |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 patholinguistics |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s, language impairments)는 언어 정보 처리에 수반되는 질환이다. 경험할 수 있는 문제로는 문법(통사론 및 형태론), 의미론, 또는 기타 언어 측면들이 수반될 수 있다. 이 문제들은 수용적(언어 이해) 문제, 표현적(언어 생성) 문제, 또는 그 둘의 결합일 수 있다. 그 예로는 특수 언어 장애, 더 정확히 정의하자면 발달 언어 장애(DLD), 실어증 등이 포함된다. 언어장애는 발설 언어와 수기 언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1] 수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형태의 언어가 손상된다.
현재 데이터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 중 7%가 언어 장애를 보이며,[2][3] 남자 아이의 경우 여자 아이보다 2배 더 많이 진단된다.[4]
잠재적 위험 요인에 대한 예비 연구가 저체중아, 조산, 일반적 출산 합병증, 남성, 가족 이력 등 생물학적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으며 수준이 낮은 부모 교육은 언어 장애를 발전시키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5]
음운적, 표현적 언어 문제가 있는 어린이들에게 언어 치료를 지지하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이같은 치료법이 수용적 언어 문제에 대해 효율성이 훨씬 더 낮은 것으로 입증되었다.[6]
언어장애는 언어가 아닌, 말을 하는 행위에 어려움이 있는 말장애와는 구별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atusic, Slavica K.; Colligan, Robert C.; Weaver, Amy L.; Barbaresi, William J. (2009년 5월 1일). “The Forgotten Learning Disability: Epidemiology of Written-Language Disorder in a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1976–1982), Rochester, Minnesota”. 《Pediatrics》 (영어) 123 (5): 1306–1313. doi:10.1542/peds.2008-2098. ISSN 0031-4005. PMC 2923476. PMID 19403496. 2017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eitchman, J., & Brownlie, E. B. (2014).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ambridge, MA: Hogrefe & Huber.
- ↑ Heim, S., & Benasich, A. A. (2006). Developmental disorders of language.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3.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2nd ed., pp. 268–316). Hoboken, NJ: Wiley.
- ↑ Pinborough-Zimmerman, J., Satterfield, R., Miller, J., Bilder, D., Hossain, S., & McMahon, W. (2007). Communication disorders: Prevalence and comorbid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and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6, 359–367.
- ↑ Wallace, Ina F.; Berkman, Nancy D.; Watson, Linda R.; Coyne-Beasley, Tamera; Wood, Charles T.; Cullen, Katherine; Lohr, Kathleen N. (2015년 8월 1일). “Screening for Speech and Language Delay in Children 5 Years Old and Younger: A Systematic Review”. 《Pediatrics》 (영어) 136 (2): e448–e462. doi:10.1542/peds.2014-3889. ISSN 0031-4005. PMID 26152671. 2016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Law, James; Garrett, Zoe; Nye, Chad (2003년 7월 21일).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primary speech and language delay or disord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영어) (3): CD004110. doi:10.1002/14651858.cd004110. PMID 12918003.
참고 문헌
[편집]- Gaddes, William H.; Edgell, Dorothy (1993). 《Learning Disabilities and Brain Function: A Neuropsychological Approach》. Springer. ISBN 978-0-387-94041-0.
- van Dulm, Ondene (2002). “A Psycholinguistic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Evaluation and Remediation of Language Disorder” (PDF). 《Stellenbosch Papers in Linguistics》 34: 111–131.
- Small SL (December 1994). “Connectionist networks and language disorders”. 《J Commun Disord》 27 (4): 305–23. doi:10.1016/0021-9924(94)90020-5. PMID 7876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