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양성자세현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성자세현훈
내이달팽이관 외부
진료과이비인후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빈도2.4%

양성자세현훈(良性姿勢眩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은 내이에서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이다.[1] 양성 발작성 위치성 어지럼증, 이석증(耳石症), 양성돌발성체위성현훈증이라고도 한다. 머리 위치의 변화로 인해 주변이 돌아가는 느낌이 드는, 짧은 시간의 현훈 증상이 반복된다.[2] 잠결에 돌아눕거나 자세를 바꿀 때 발생할 수 있다. 각 현훈 사건은 일반적으로 1분 미만 지속된다.[1] 보통 구역질이 동반된다.[3] 양성자세현훈은 현훈의 가장 흔한 원인들 가운데 하나이다.[2][4]

양성자세현훈은 두부외상에 의해서나, 나이가 들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내이의 움직이는, 석회화된 작은 이석이 수반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내이염, 메니에르 병과 더불어 균형 난조의 일종이다.[1] 두위변환안진 검사(체위변환검사)를 통해 안구진탕증이 나타나고 다른 잠재적인 원인이 배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석증이라 판단된다. 일반적으로는 의학 화상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2]

이석증은 에플리 수기브랜드-다로프 운동(Brandt-Daroff exercise)과 같은 수많은 단순 운동을 통해 종종 치료된다.[1][5] 약물을 사용하면 구역질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3] 베타히스틴이 현훈에 도움을 준다는 잠정적인 증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일이 필요하지는 않다.[2][6] 이석증은 심각한 질병이 아니다. 보통은 1~2주 안에 해결된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서는 재발할 수 있다.[3]

이 질병은 1921년 로베르트 바라니가 최초로 기술하였다.[7] 사람들 중 약 2.4%는 특정한 시점에 영향을 받는다.[2] 80대까지 생존하는 사람들 가운데 10%가 영향을 받는다.[4] 양성자세현훈은 남성 보다 여성에 2배 더 영향을 미친다.[3] 50대부터 70대 사이에 시작된다.[4]

각주

[편집]
  1. “Balance Disorders”. 《NIDCD》. 2015년 8월 10일. 2016년 7월 25일에 확인함. 
  2. Bhattacharyya, N; Baugh, RF; Orvidas, L; Barrs, D; Bronston, LJ; Cass, S; Chalian, AA; Desmond, AL; Earll, JM; Fife, TD; Fuller, DC; Judge, JO; Mann, NR; Rosenfeld, RM; Schuring, LT; Steiner, RW; Whitney, SL; Haidari, J;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Foundation (November 2008).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39 (5 Suppl 4): S47–81. doi:10.1016/j.otohns.2008.08.022. PMID 18973840. 요약문 – AAO-HNS (2008년 11월 1일). 
  3. “Positional vertigo: Overview”. 《PubMed Health》 (영어). 2014년 1월 30일. 2016년 7월 25일에 확인함. 
  4. Dickson, Gretchen (2014). 《Primary Care ENT, An Issue of Primary Care: Clinics in Office Practice, Volume 41, Issue 1 of The Clinics: Internal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115쪽. ISBN 9780323287173. 2016년 7월 25일에 확인함. 
  5. Hilton, MP; Pinder, DK (2014년 12월 8일). “The Epley (canalith repositioning) manoeuvre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3162. doi:10.1002/14651858.CD003162.pub3. PMID 25485940. 
  6. Murdin, L; Hussain, K; Schilder, AG (2016년 6월 21일). “Betahistine for symptoms of vertigo.”.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CD010696. doi:10.1002/14651858.CD010696.pub2. PMID 27327415. 
  7. Daroff, Robert B. (2012). 〈Chapter 37〉. 《Bradley's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6판.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ISBN 978145572807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