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벨 다양체
대수기하학에서 아벨 다양체(Abel多樣體, 영어: Abelian variety) 또는 가환다양체(可換多樣體)는 아벨 군을 이루는 대수다양체다. 가환 리 군에 대응되는 대수기하학적 개념이다.
정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아벨 다양체는 에 대한, 대수군을 이루는 (기약 연결) 사영 대수다양체이다.
등원사상(等原寫像, 영어: isogeny 아이소제니[*])은 두 아벨 다양체 사이의, 핵이 유한 집합인 전사 군 준동형이다.[1]:329 영어명 영어: isogeny 아이소제니[*]는 고대 그리스어: ἰσογενής 이소게네스[*](같은 종족·출신·종류의)에서 왔는데, 이는 등원사상이 아벨 다양체의 원점(군의 항등원)을 보존시키기 때문이다.
아벨 다양체의 극성화(極性化, 영어: polarization)는 다양체로부터 그 쌍대 다양체로의 등원사상이다. 주극성화(영어: principal polarization)는 동형사상인 극성화 (즉, 다양체로부터 그 쌍대 다양체로의 동형사상)이다.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영어: (principally) polarized Abelian variety)는 (주)극성화를 갖춘 아벨 다양체이다.
복소수체 위의 아벨 다양체
[편집]아벨 함수와 세타 함수
[편집]복소수 아벨 다양체 위의 유리형 함수를 아벨 함수(Abel函數, 영어: Abelian function)라고 한다. 즉, 이는 개의 복소수 변수를 갖고, 모든 변수에 대하여 주기적인 유리형 함수이다. 이는 타원 함수의 고차원 일반화이다.
복소수 아벨 다양체 위의 해석적 선다발의 해석적 단면을 세타 함수라고 한다.
리만 조건
[편집]복소수체 에 대한 차원 아벨 다양체는 해석적으로 원점을 갖춘 복소수 원환면
이다. 여기서
- 는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이다.
- 는 속의 격자이다.
이러한 해석적 복소수 원환면 위의 리만 형식(Riemann形式, 영어: Riemann form) 은 격자에 제한한다면 허수 성분은 정수인 반쌍선형 형식이다. 즉,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
- (에르미트성) 임의의 에 대해,
- (반쌍선형성) 임의의 , 에 대해,
- (정부호성) 임의의 0이 아닌 에 대하여, 이다.
- (정수성)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그렇다면 복소수 원환면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리만 형식이 존재한다면, 이로 인하여 는 켈러 다양체를 이루며, 그 켈러 형식
은 정수 계수 코호몰로지에 속한다. 따라서, 고다이라 매장 정리에 따라 는 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 이 경우, 매장의 좌표는 구체적으로 위의 세타 함수들로 주어진다.
리만 조건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서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르미트 형식 의 허수 부분
은 정수 행렬을 이루며, 이로부터 에르미트 형식 전체를 다음과 같이 복구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실수 계수 선형 확대이다. 따라서, 리만 조건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또는 이는 대신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로 놓으면,
등원사상과 극성화
[편집]복소수체 위에서의 등원사상은 아벨 다양체를 정의하는 격자로서 다룰 수 있다. 두 아벨 다양체 , 에서 등원사상
이 주어졌다면, 이는 격자의 포함 관계 와 같다. 즉, 이는 (격자를 자유 아벨 군으로 여길 때) 유한 지표 부분군으로 주어진다.
복소수체에 대한 아벨 다양체의 경우, 주극성화는 리만 형식의 동치류에 의하여 주어진다. 구체적으로, 두 리만 형식 이 양의 정수 이 존재해 인 경우, 으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리만 형식의 동치류 는 주극성화를 정의한다.
모듈러스 공간
[편집]복소수 차원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의 모듈라이 공간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리만 형식을 보존하는 심플렉틱 변환들의 집합이고, 는 리만 형식의 동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군이다. 여기서 를 지겔 상반평면(Siegel上半平面, 영어: Siegel upper half-plane)이라고 하는데, 이는 일 경우 일반적인 복소수 상반평면이기 때문이다.
이는 복소수 차원 오비폴드이다. 모든 (대수다양체가 아닐 수 있는) 복소수 원환면들의 모듈러스 공간의 차원은 복소수 차원이므로, 인 경우 거의 모든 복소수 원환면은 아벨 다양체가 아니다. 다만, 인 경우 (타원곡선) 모든 복소수 원환면은 대수적이다.
예를 들어, 인 경우 는 모듈러 군이고,
는 (아핀) 복소수 상반평면이므로
는 복소수 타원 곡선의 모듈러스 공간이다.
예
[편집]아벨 다양체의 주된 예는 대수 곡선의 야코비 다양체 또는 일반적인 대수다양체의 피카르 다양체 및 알바네세 다양체이다. 1차원 아벨 다양체는 타원 곡선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 가 나 Griffiths, Philip; Harris, Joseph (1994년 8월). 《Principles of algebraic geometry》. Wiley Classics Library (영어) 2판. Wiley. doi:10.1002/9781118032527. ISBN 978-0-471-05059-9. MR 1288523. Zbl 0836.14001.
- ↑ Milne, J. S. (2008년 3월 16일). “Abelian varieties” (영어) 2.0판.
- Birkenhake, Christina; H. Lange (2004). 《Complex Abelian varietie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302 2판. Springer. doi:10.1007/978-3-662-06307-1. ISBN 978-0-387-54747-3. Zbl 1056.14063.
- Mumford, David (2008). 《Abelian varieties》 (영어) 2판. 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 ISBN 978-81-85931-86-9. Zbl 1177.14001.
- Murty, V. Kumar (1993). 《Introduction to Abelian varieties》. CRM Monograph Series (영어) 3.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Centre de Recherches Mathématiques. ISBN 978-0-8218-1179-5. Zbl 0779.14013.
- Debarre, Olivier (2005). 《Complex Tori and Abelian Varieties》. SMF/AMS Texts and Monographs (영어) 1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ISBN 978-0-8218-3165-6.
외부 링크
[편집]- van der Geer, Gerard; Ben Moonen. “Abelian varieties” (영어). 2011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Arapura, Donu (2012년 4월 19일). “Abelian varieties and moduli” (PDF) (영어).
- Venkov, B.B. (2001). “Abelian variet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Dolgachev, I.V. (2001). “Abelian schem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Dolgachev, I.V. (2001). “Isogen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Abelian fun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