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세드나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초로 발견된 세드나족이며 그 이름의 출처인 90377 세드나.

세드나족(sednoid)은 근일점 거리가 50 AU보다 크고 궤도 장반경이 150 AU보다 큰 해왕성 바깥 천체이다.[1][2] 현재까지 발견된 세드나족 천체는 90377 세드나2012 VP113, 2015 TG387 이렇게 셋 뿐이다. 셋 다 근일점 거리가 65 AU를 넘어간다.[3] 그러나 이 셋 외에도 세드나족은 많이 존재할 것으로 추측된다. 세드나족 천체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50 AU부터 시작하는 거의 텅 빈 공간을 그 궤도가 지나가며, 행성과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없다. 이들은 대개 분리천체로 분류된다. 일부 천문학자(Scott Sheppard 등)들은 세드나족을 오르트 구름 천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4] 그러나 예상되어온 오르트 구름의 거리 2,000 AU는 지금까지 발견된 세 개의 세드나족의 원일점보다 훨씬 멀다. 그래서 힐스 구름 또는 내부 오르트 구름 천체라고 한다.

세드나족의 궤도 모양새는 거대가스행성섭동이나[5] 은하조석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될 수 없다.[1] 만일 세드나족 천체들이 현재의 위치에서 형성되었다면, 그들의 궤도는 원래 원형에 가까웠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미행성들의 높은 상대속도로 인해 강착을 통한 천체 형성이 불가능하다.[6] 세드나족의 짜부라진 궤도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있다.

  1. 태양이 탄생 직후 산개성단에 포함되어 있었을 때 성단의 다른 항성이 옆을 지나가면서 영향을 미쳐 궤도와 근일점 위치가 현재처럼 변했다.[7]
  2. 카이퍼대 너머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거대 행성이 존재하여 궤도를 섭동시킨 것이다(제9행성 가설).[8][9]
  3. 본래 다른 항성계의 천체였는데 태양의 중력에 포획된 것이다. 태양과 함께 태어난 산개성단의 항성계가 세드나족의 본래 항성계로서 특히 가능성이 높다.[5][10]

발견된 세드나족 천체 목록

[편집]
세드나족
Number 이름 지름
(km)
근일점 (AU) 궤도장반경 (AU) 원일점 (AU) 근일점 편각 (°) 발견년도
90377 세드나 995 ± 80 76.06 515.79 955.51 311.38 2003
2012 VP113 600 80.50 261.00 441.49 293.78 20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rujillo, Chadwick A.; Sheppard, Scott S. (2014). “A Sedna-like body with a perihelion of 80 astronomical units” (PDF). Nature 507 (7493): 471–474. Bibcode:2014Natur.507..471T. doi:10.1038/nature13156. 2014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1일에 확인함. 
  2. Sheppard, Scott S. “Known Extreme Outer Solar System Objects”.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5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3.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a > 150 (AU) and q > 50 (AU) and data-arc span > 365 (d)”.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4년 10월 15일에 확인함. 
  4. Sheppard, Scott S. “Beyond the Edge of the Solar System: The Inner Oort Cloud Population”.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4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5. Brown, Michael E.; Trujillo, Chadwick A.; Rabinowitz, David L. (2004). “Discovery of a Candidate Inner Oort Cloud Planetoid” (PDF). Astrophysical Journal 617 (1): 645–649. arXiv:astro-ph/0404456. Bibcode:2004ApJ...617..645B. doi:10.1086/422095. 2006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일에 확인함. 
  6. Sheppard, Scott S.; Jewitt, David (2005). “Small Bodies in the Outer Solar System” (PDF). 《Frank N. Bash Symposium》.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9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5일에 확인함. 
  7. Morbidelli, Alessandro; Levison, Harold (2004).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Sedna)”. Astronomical Journal 128 (5): 2564–2576. arXiv:astro-ph/0403358. Bibcode:2004AJ....128.2564M. doi:10.1086/424617. 
  8. Gomes, Rodney S.; Matese, John J.; Lissauer, Jack J. (2006).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Icarus 184 (2): 589–601. Bibcode:2006Icar..184..589G. doi:10.1016/j.icarus.2006.05.026. 
  9. Lykawka, Patryk S.; Mukai, Tadashi (2008).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PDF). 《Astronomical Journal》 135: 1161–1200. arXiv:0712.2198. Bibcode:2008AJ....135.1161L. doi:10.1088/0004-6256/135/4/1161. 
  10. Jílková, Lucie; Portegies Zwart, Simon; Pijloo, Tjibaria; Hammer, Michael (2015). “How Sedna and family were captured in a close encounter with a solar sibling”. MNRAS. arXiv:1506.03105. Bibcode:2015MNRAS.453.3157J. doi:10.1093/mnras/stv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