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서울 지하철 9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지하철 9호선에서 넘어옴)

서울 지하철 9호선
심벌 마크
서울시메트로 936편성
기본 정보
통칭서울 9호선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도시철도 / 운행 계통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개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종점중앙보훈병원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역 수38
노선 색#BDB092
개통일2009년 7월 24일(개화~신논현)
2015년 3월 28일(신논현~종합운동장)
2018년 12월 1일(종합운동장~종합보훈병원)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시메트로9호선 (관리, 운영)[1][2]
서울교통공사 (운영 위탁)[3][4][5]
차량 기지김포차량사업소
사용 차량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40.9㎞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가공전차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ATC/ATO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C/ATO 구간 80㎞/h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중앙보훈병원)
0.0
901 개화
3.6
902 김포공항
4.4
903 공항시장
5.2
904 신방화
6.1
905 마곡나루
(서울식물원)
7.5
906 양천향교
8.8
907 가양
(부민병원)
9.5
908 증미
10.5
909 등촌
(강서대학교)
11.4
910 염창
12.3
911 신목동
13.5
912 선유도
14.5
913 당산
16.0
914 국회의사당
(KDB산업은행)
16.9
915 여의도
(신한투자증권)
17.7
916 샛강
(KB금융타운)
18.9
917 노량진
20.0
918 노들
21.1
919 흑석
(중앙대입구)
22.5
920 동작
(현충원)
23.5
921 구반포
24.2
922 신반포
25.0
923 고속터미널
26.1
924 사평
27.0
925 신논현
27.8
926 언주
28.7
927 선정릉
29.5
928 삼성중앙
30.3
929 봉은사
31.7
930 종합운동장
33.1
931 삼전
33.9
932 석촌고분
34.9
933 석촌
(한솔병원)
35.7
934 송파나루
36.5
935 한성백제
37.9
936 올림픽공원
(한국체대)
38.9
937 둔촌오륜
40.6
938 중앙보훈병원

범례
급행 정차역
급행 미정차역

서울 지하철 9호선(서울 地下鐵 9號線) 혹은 수도권 전철 9호선(首都圈 電鐵 9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개화역과 서울특별시 강동구중앙보훈병원역을 잇는 서울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노선 안내도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황금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개요

[편집]

개화역 - 중앙보훈병원역 40.9km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 강서 구간(개화역 - 신논현역)은 2009년 7월 24일에, 2단계 강남 구간(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은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다.[6] 3단계 강동 구간은 2009년 12월 21일 종합운동장 - 올림픽공원역 5.94 km 구간 및 2010년 8월 23일 올림픽공원역 - 중앙보훈병원역 3.2 km구간의 공사가 착공되어 2018년 12월 1일에 9호선 전 구간이 최종적으로 개통되었다.[7]

노선 전체의 소유권은 서울특별시에 있다.[8] 전체 구간의 사업 시행 및 차량운행 업무 관리 및 운영과 개화 ~ 신논현 등 강서 구간의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는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30년간 맡게 되고, 언주 ~ 중앙보훈병원 등 강남, 강동 구간의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는 서울교통공사가 위탁 관리한다.[9]

2013년 10월 23일 서울특별시와 변경실시협약 (지하철 9호선 사업 재구조화)를 체결하였다. 협약은 민간사업자 주주 전면교체, 운임결정권 서울특별시로 이전, MRG (Minimum Revenue Guarantee, 최소운영수입보장) 폐지, 사업수익률 조정, 관리운영비 절감, 시민펀드 도입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핵심은 주주교체로 재구조화 이전 건설투자자(현대로템, 포스코 ICT, 현대건설 등 7개사)와 재무투자자(맥쿼리, IBK 기업은행 등 6개사)가 철수하고 2개의 자산운용사와,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재무투자사 11개사가 새롭게 참여한다. 또한 운임결정권이 서울특별시로 귀속되면서 요금 인상에 관한 불필요한 혼란을 최소화 하게 된다.[10]

2018년 12월 1일에 3단계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개통 되었다.

역사

[편집]

운영

[편집]

운행

[편집]

일반 열차와 급행 열차가 운영되는데, 일반 열차는 개화 - 중앙보훈병원간 모든 역에 정차하며, 급행 열차는 김포공항역, 마곡나루역, 가양역, 염창역, 당산역, 여의도역, 노량진역, 동작역, 고속터미널역, 신논현역, 선정릉역, 봉은사역, 종합운동장역, 석촌역, 올림픽공원역, 중앙보훈병원역 등에만 정차한다.[23] 급행 열차 이용에 추가 요금이 필요하지는 않으며, 일반 열차와 급행 열차는 급행 정차역의 같은 승강장에서 탈 수 있도록 되어 있다.[24]

운임

[편집]

서울특별시2009년 3월에,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기본 요금을 기존의 수도권 전철과 동일하게 교통 카드 기준 900원 (현금 1,000원)으로 하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하였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기본 요금을 올릴 것을 주장하였지만,[25] 요금제는 기존의 수도권 전철 요금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필요할 때에는 재협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로 요금이 인상될 여지도 없지 않아서, 2012년에 요금 인상을 추진하였다가 철회하는 사건이 있었다.

수도권 전철 정기권 사용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민자 사업이라는 특성상 수익 배분 문제 때문에 다른 전철노선과의 환승 통로에 별도의 환승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운임 배분 및 통행량 분석 목적에 사용되므로 운임체계가 다른 신분당선과 달리, 별도운임은 부과되지 않는다. 단, 김포공항역은 9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승강장을 각 층과 달리하여 공용하기 때문에, 9호선과 공항철도 간에는 환승 게이트가 없으며 전체적으로는 9호선 자체 운임 구역과 공항철도 자체 운임 구역은 칸막이, 게이트 등이 없이 중첩된다.

2011년 11월 26일부터 M버스경기순환버스에서 하차 후 바로 9호선 게이트로 환승시 환승 처리가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가, 현재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수도권 전철 기본 운임 인상으로 이 제한 조치가 사라져 정상적으로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시설

[편집]

전 구간이 복선이며, 일부 역은 급행열차 운행을 위한 대피선이 송파나루역, 삼전역, 삼성중앙역, 사평역, 동작역, 샛강역, 선유도역, 가양역, 마곡나루역 등에는 양쪽에, 김포공항역과 신논현역, 중앙보훈병원역 등에는 한쪽에 부설되어 있다. 그중 일반열차가 급행열차를 먼저 보내는 역은 가양역, 동작역, 송파나루역 등이다. 모든 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화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개통후 개화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되었다.

승강장은 8량 기준으로 설계하였으며, 현재 9호선 열차는 6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차후에 인천국제공항철도와의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직결 선로가 건설되어 있다.[26][27]

안내

[편집]

9호선은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에서 제시한 정거장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디자인이 갖추어졌다. 각종 안내판은 검은 계통이고, 1단계 구간 서체는 서울남산체[28]를 썼다. 간소화된 역명판, 위성사진 주변안내도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차량

[편집]

역 목록

[편집]

번호
역명 급행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 로마자 한자
901 개화 Gaehwa 開花 미운행 0.0 0.0 서울특별시 강서구
902 김포공항 Gimpo Int'l Airport 金浦空港 수도권 전철 5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서해선
3.6 3.6
903 공항시장 Airport Market 空港市場 0.8 4.4
904 신방화 Sinbanghwa 新傍花 0.8 5.2
905 마곡나루(서울식물원) Magongnaru
(Seoul Botanic Park)
麻谷나루(서울植物院) 인천국제공항철도 0.9 6.1
906 양천향교 Yangcheon Hyanggyo 陽川鄕校 1.4 7.5
907 가양(부민병원) Gayang
(Bumin Hospital)
加陽 1.3 8.8
908 증미 Jeungmi 曾米 0.7 9.5
909 등촌(강서대학교) Deungchon
(Gangseo Univ.)
登村 1.0 10.5
910 염창 Yeomchang 鹽倉 0.9 11.4
911 신목동 Sinmokdong 新木洞 0.9 12.3 양천구
912 선유도 Seonyudo 仙遊島 1.2 13.5 영등포구
913 당산 Dangsan 堂山 서울 지하철 2호선 1.0 14.5
914 국회의사당(KDB산업은행) National Assembly
(KDB Bank)
國會議事堂(KDB産業銀行) 1.5 16.0
915 여의도(신한투자증권) Yeouido
(Shinhan Securities)
汝矣島 수도권 전철 5호선 0.9 16.9
916 샛강(KB금융타운) Saetgang
(KB Financial Town)
賽江(KB金融타운) 서울 경전철 신림선 0.8 17.7
917 노량진 Noryangjin 鷺梁津 수도권 전철 1호선 1.2 18.9 동작구
918 노들 Nodeul 1.1 20.0
919 흑석(중앙대입구) Heukseok
(Chung-Ang Univ.)
黑石(中央大入口) 1.1 21.1
920 동작(현충원) Dongjak
(Seoul Nat'l Cemetery)
銅雀(顯忠院) 수도권 전철 4호선 1.4 22.5
921 구반포 Gubanpo 舊盤浦 1.0 23.5 서초구
922 신반포 Sinbanpo 新盤浦 0.7 24.2
923 고속터미널 Express Bus Terminal 高速터미널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0.8 25.0
924 사평 Sapyeong 砂平 1.1 26.1
925 신논현 Sinnonhyeon 新論峴 신분당선 0.9 27.0 강남구
926 언주 Eonju 彦州 0.8 27.8
927 선정릉 Seonjeongneung 宣靖陵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0.9 28.7
928 삼성중앙 Samseongjungang 三成中央 0.8 29.5
929 봉은사[29] Bongeunsa 奉恩寺 0.8 30.3
930 종합운동장 Sports Complex 綜合運動場 서울 지하철 2호선 1.4 31.7 송파구
931 삼전 Samjeon 三田 1.4 33.1
932 석촌고분 Seokchon Gobun 石村古墳 0.8 33.9
933 석촌(한솔병원) Seokchon
(Hansol Hospital)
石村 수도권 전철 8호선 1.0 34.9
934 송파나루 Songpanaru 松坡나루 0.8 35.7
935 한성백제 Hanseong Baekje 漢城百濟 0.8 36.5
936 올림픽공원(한국체대) Olympic Park
(Korea Nat'l Sport Univ.)
올림픽公園(韓國體大) 수도권 전철 5호선 1.4 37.9
937 둔촌오륜 Dunchon Oryun 遁村五輪 1.0 38.9 강동구
938 중앙보훈병원 VHS Medical Center 中央報勳病院 1.7 40.6

노선 연장

[편집]

강동 구간 연장

[편집]

서울 강동구의 주민들은 지하철 9호선을 강동 지역까지 추가 연장하기를 요구하고 있다.[30] 이와 관련하여 서울특별시 강동구에서는 9호선을 5호선 고덕역까지 추가 연장하도록 정부와 서울시를 설득하는 일을 역점 사업으로 정해 두었다.[31] 2009년 7월 23일, 서울시와 시의회는 기존 3차 종점역인 둔촌오륜역에서 1.5km 연장, 중앙보훈병원역을 종점으로 하는 방안을 확정하였다.[32] 이후 2016년, 강동구 지역의 요구에 따라 고덕역을 거쳐 샘터공원역 (가칭)까지 연장하기로 확정되었다.[33] 2018년 7월 말, 서울특별시에서는 4단계 연장 구간의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였다.[34]

  • 2023년 11월 17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직결운행과 관련해 운영비용 분담 문제를 해결하고, 기반시설을 만들어놓고도 이어지지 않았던 두 노선 직결에 대해 서로 합의했다.[35]

논란

[편집]

919 정거장의 역명 제정

[편집]

중앙대학교흑석동의 주민들이 919 정거장의 역명을 놓고 대립한 일이 있었다. 당시에 중앙대학교 측은 역의 이름을 '중앙대역', 또는 '중앙대흑석역'으로 할 것을 주장하였고, 흑석동의 주민들은 '흑석역'으로 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학은 대학교가 지역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을, 주민들은 역명 제정 기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점과, 지역의 이름을 지하철역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지역이 효과적으로 홍보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었다.[36]

처음에 지명위원회는 919 정거장의 이름을, 역명 제정 기준의 원칙을 우선시하여 '흑석역'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중앙대학교 측의 요구를 수용하여 역명을 '흑석(중앙대입구)역'으로 확정함으로써, 두 이름을 병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도역의 부역명 '중앙대앞'은 2009년 6월 12일부터 삭제되었다.

운임 인상 논란

[편집]

서울특별시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운임을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에 통합할 것을 주장하였고,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과도한 적자 발생의 이유로 기본운임을 1,582원으로 책정하여야 한다며 맞서서 한때 논란이 되었다. 이는 2009년 3월 31일에 9호선이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에 참여하여 기본운임을 900원으로 정하면서 일단락되었다.[37] 하지만 2012년 2월 말 경,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누적 적자가 심각하다는 이유로 9호선 별도운임을 받을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38] 또한, 같은 해 4월 14일에는 9호선 각 역사와 자사 홈페이지에 6월 16일부터 기본운임을 최대 500원 인상한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39][40] 그러나 서울특별시는 이에 대해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위반으로 1천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며, 운임 인상을 일방적으로 강행할 경우에는 사업자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41] 또한, 시는 9호선 단독으로 운임을 인상할 경우 운임 정산 시스템에도 오류가 발생하며,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2차적 소송도 제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42] 9호선 운임은 현재도 수도권 환승할인제도의 수준에서만 인상되고 있다.

개통 일정 연기

[편집]

서울특별시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개통 일정을 계속 연기하였다. 특히 2009년 6월 12일을 앞두고 개통이 한 달 동안 지연되어 비판을 받았다.[43] 이는 9호선의 운임 정산 시스템이 기존 노선의 시스템과 맞지 않아 오류를 일으켰기 때문이며,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7월 초 아르바이트생을 선발하여 운임 계산 테스트를 거친 뒤 7월 24일개화 ~ 신논현 구간을 최종 개통하였다.

혼잡도 문제

[편집]

서울 지하철 9호선은 다른 노선과 달리 개통 초기에는 4량 편성이었고, 배차간격도 다른 지하철 노선에 비해 긴 편이었다. 2015년 신논현 ~ 종합운동장 개통 당시에는 증차 소식이 없었다. 그 당시 배차 간격이 더 길어지고 승객이 많아져 특히 염창역에서 당산역 구간은 지옥철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이후 혼잡도 완화 차원에서 모든 전동차가 4량 편성에서 6량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부수차를 제작한 뒤 김포차량사업소로 반입하여 6량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였다. 2017년 12월부터 일부 급행열차가 6량으로 전환하였으며,[44] 2019년 하반기까지 모든 전동차가 6량으로 최종 완료되었다.

이용객 변동

[편집]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구분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개화 ~ 신논현 구간) 2019년 (신논현 ~ 중앙보훈병원 구간) 2020년 (개화 ~ 신논현 구간) 2020년 (신논현 ~ 중앙보훈병원 구간)
승차 214,239 266,152 300,186 340,913 368,536 384,976 391,058 421,202 431,673 438,697 465,983 83,734 359,536 68,542 [45][46]
하차 203,860 265,284 300,273 341,834 368,641 393,789 393,030 424,751 435,688 443,179 470,716 15,332 362,974 13,592

2010년의 일평균 통행량은 예측 통행량 대비 97% 수준이었으며, 일평균 172,840명(환승 승차 제외)이 이용하고 있었다.[47] 2012년의 일평균 통행량은 예측 통행량 대비 103.8%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평균 222,320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48]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사업 시행 및 차량운행,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2. 1단계(개화~신논현) 구간
  3.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4. 2~3단계(언주~중앙보훈병원) 구간
  5. 서울교통공사 직영
  6. 2010년 1월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을 잇는 2단계(강남) 4.5 km의 구간이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 개통
  7. "지하철 9호선 잔여구간 조기 착공”. 한국경제. 2008년 11월 20일.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8. “고속 지하철 시대 열린다”. 연합뉴스(디지털 타임즈). 2009년 1월 27일. 2009년 1월 27일에 확인함. 
  9. "지하철 9호선 2~3단계 구간 사업자에 서울메트로". 연합뉴스. 2014년 8월 1일. 2015년 1월 9일에 확인함. 
  10. “9호선 ‘서울형 민자사업 혁신모델’로 거듭나, 3조 2천억원 절감”. 2014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1.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 2008년 9월 18일.
  12.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 2009년 5월 28일.
  13. 지하철 9호선 보훈병원까지 연장 - 올림픽공원역서 1.5km 추가, 《세계일보》, 2010년 4월 5일
  14. “지하철 9호선 2~3단계 구간 사업자에 서울메트로”. 2018년 5월 18일에 확인함. 
  15.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 2014년 12월 18일.
  16.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 시승체험 Archived 2017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서울특별시도시기반건설본부, 2015년 3월 10일.
  17. “서울 지하철 9호선 내일(30일)부터 6량 급행열차 운행(종합)”. tbs. 2017년 12월 29일. 201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8. “9호선 3단계 구간 주간(`18. 1.22 ~ 1.26 )시운전 계획 송부”. 2018년 5월 18일에 확인함. 
  19. 서울특별시고시 제2018-251호, 2018년 8월 9일.
  20. “지하철 9호선 2·3단계 구간, 서울교통공사 직영 전환”. 연합뉴스. 2018년 11월 28일. 
  21. 교통정책과 (2018년 11월 28일). “강동→강남 20분대! 9호선 종합운동장~보훈병원 개통”. 《내 손안에 서울》 (서울특별시). 2019년 1월 7일에 확인함. 
  22.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2019년 2월 26일.
  23. 가양역, 염창역, 봉은사역, 중앙보훈병원역을 제외하고는 급행 열차 정차역이 모두 환승역이다. 또한 마곡나루역은 원래 계획대로라면 급행 열차가 정차할 계획이 있으나, 마곡지구 개발 및 수요 저조 등의 이유로 현재는 무정차 통과하고 있으나, 2018년 12월 1일에 9호선 3단계 구간 개통과 동시에 급행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24. 다만 쌍섬식 승강장인 마곡나루역, 가양역, 동작역 그리고 혼합식 승강장인 신논현역과 중앙보훈병원역 상행 방향 승강장의 경우 일반 열차와 급행 열차의 승강장이 분리된 경우가 있다.
  25. 김보은 (2009년 5월 7일). “지하철 9호선 개통, 요금에 '발목'. 세계일보. 
  26. “공항철도-9호선 직결 ‘가속도’”. 경인일보. 2015년 12월 2일. 
  27. “2019년 인천공항~송파 환승 않고 한 열차로 간다”. 경향신문. 2015년 5월 26일. 
  28. 개화-신논현 구간에서 사용
  29. 영동대로 환승센터가 완공되면 2호선 삼성역과 연결 될 예정이다.
  30. 정현철 (2008년 8월 13일). "지역 균형위한 9호선 연장 필수". 서울동부신문.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5일에 확인함. 
  31. 강동구 열린구청장실-주요 역점사업[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특별시 강동구청. 2009년 7월 26일 확인.
  32. 서동욱 (2009년 7월 23일). “지하철9호선 보훈병원까지 연장”. 머니투데이. 2009년 7월 25일에 확인함. 
  33. 이태무 (2016년 5월 11일). “서울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 선정”. 한국일보. 
  34. 양길성 (2018년 8월 1일). '9호선 4단계' 기본계획 수립 착수”. 한국경제. 2018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일에 확인함. 
  35. 포커스인천 (2023년 11월 17일). “[속보] 서울9호선, 마침내 공항철도 직결한다…운영비 분담 해결”. 202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6. 송주민 (2008년 1월 24일). '흑석역' vs '중앙대흑석역'... 새 지하철역 이름은?”. 오마이뉴스. 
  37. “지하철 9호선 요금 900원 잠정 결정”. 한국일보. 2009년 4월 1일. 
  38. “KTX 민영화 모델이 궁금한가? 지하철 9호선을 보라!”. 프레시안. 2012년 3월 2일. 
  39. “서울9호선 "500원 인상" 공고…서울시 "안돼" 마찰”. 연합뉴스. 2012년 4월 15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40. http://www.metro9.co.kr/popup/popup_20120413_2.html Archived 2012년 5월 4일 - 웨이백 머신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지사항
  41. “메트로9호선 “6월 16일부터 500원 인상” 기습 공고… 서울시 “강행땐 사업자 지정 취소””. 서울신문. 2012년 4월 16일. 
  42. “서울시 "지하철 9호선만 올리면 환승시스템 오류 발생". 한국일보. 2012년 4월 21일. 2012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43. “<지하철9호선 개통>①우여곡절 끝에 24일 본격 운행”. 굿데이스포츠. 2009년 7월 23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5일에 확인함. 
  44. 2017년 12월 30일 지하철 9호선 급행에 6량 열차 첫 투입, 연합뉴스
  45.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2016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1일에 확인함. 
  46.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47. “2010년 사업연도 실적발표” (PDF). 2011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9일에 확인함. 
  48. “2012년 사업연도 실적발표” (pdf). 2013년 5월 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