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한군
수학에서 사유한군(射有限群, 영어: profinite group)은 유한군의 사영 극한으로 얻어지는 위상군이다.
정의
[편집]위상군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군을 사유한군이라고 한다.[1]:5, Proposition 1.1.3
- 하우스도르프 콤팩트 완전 분리 위상군이다. 즉, 스톤 공간인 위상군이다.
- 하우스도르프 콤팩트 위상군이며, 열린 부분군들로 구성된 의 국소 기저가 존재한다.
- 하우스도르프 콤팩트 위상군이며, 열린 정규 부분군들로 구성된 의 국소 기저가 존재한다.
- 이산 유한군들의 사영 극한과 동형이다.
증명 (넷째 조건 ⇒ 첫째 조건):
증명 (첫째 조건 ⇒ 둘째 조건):
위상군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콤팩트 공간이며, 완전 분리 공간이라고 하자. 임의의 열린 근방 에 대하여, 인 열린 부분군 를 찾으면 충분하다. 하우스도르프 콤팩트 완전 분리 공간의 작은 귀납적 차원은 0이므로, 는 열린닫힌집합들로 구성된 기저를 가지며, 인 열린닫힌집합 가 존재한다. 이제,
라고 하자. 자명하게 이며 이므로, 가 열린집합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이므로, 가 열린집합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므로, 인 열린 근방 및 가 존재한다. 는 의 에서의 열린 덮개이며, 는 콤팩트 공간의 닫힌집합이므로 콤팩트 공간이다. 따라서, 유한 부분 덮개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증명 (둘째 조건 ⇒ 셋째 조건):
증명 (셋째 조건 ⇒ 넷째 조건):
이 의 열린 정규 부분군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가정에 따라, 은 1의 국소 기저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몫군 은 몫위상을 주었을 때 위상군을 이룬다. 은 콤팩트 공간의 연속적 상이므로 콤팩트 공간이며, 의 원상 가 열린집합이므로 이산 공간이다. 특히, 은 유한군이다. 또한, 은 (포함 관계에 대하여) 하향 원순서 집합을 이루므로, 표준적인 전사 연속 군 준동형
들을 사용하여 사영 극한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표준적인 전사 연속 군 준동형
을 생각하자. 사영 극한의 보편 성질에 따라, 연속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가 위상군의 동형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와 모두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므로, 가 전단사 함수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성질
[편집]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 (무한할 수도 있는 개수의) 사유한군들의 (곱위상이 주어진) 직접곱은 사유한군이다. 사유한군의 닫힌 부분군은 사유한군이다.
- 사유한군의 부분군이 열린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이 부분군이 유한 지표의 닫힌집합이라는 것이다.
증명:
사유한 완비화
[편집]임의의 군 의 사유한 완비화(射有限完備化, 영어: profinite completion) 는 다음과 같다.
즉, 의 모든 유한 지표 정규 부분군 에 대한 몫군들의 사영 극한이다. 는 자연스럽게 사유한군을 이룬다. 또한,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가 존재하며, 이 준동형의 상은 의 조밀 집합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사 사상이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유한 완비화 연산은 멱등이 아니다. 즉, 일 수 있다.
사유한 완비화는 사유한군의 범주 와 군의 범주 사이의 망각 함자
의 왼쪽 수반 함자
를 이룬다.[2]:345
함자의 구성:
예
[편집]p진 정수 는 사유한군을 이룬다. 이는 순환군 들의 사영 극한으로 정의된다. 정수군 의 사유한 완비화는 모든 p진 정수군의 직접곱과 동형이다.
사유한군은 갈루아 이론에서 등장한다. 구체적으로, 갈루아 확대 가 주어지면 를 고정시키는 체 자기 동형 사상들의 군 는 사유한군이다. 이는 유한 갈루아 확대 들의 사영 극한이다. 모든 사유한군은 갈루아 확대의 갈루아 군과 동형이다.[3]
대수기하학의 에탈 기본군은 사유한군이다. (그러나 대수적 위상수학의 기본군들은 일반적으로 사유한군이 아니다.)
참고 문헌
[편집]- ↑ Neukirch, Jürgen; Schmidt, Alexander; Wingberg, Kay (2008). 《Cohomology of number field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323 2판. Berlin: Springer. doi:10.1007/978-3-540-37889-1. ISBN 978-3-540-37888-4. ISSN 0072-7830. LCCN 2008921043. MR 2392026. Zbl 1136.11001.
- ↑ Horel, Geoffroy (2017). “Profinite completion of operads and the Grothendieck-Teichmüller group” (영어) 321: 326-390. arXiv:1504.01605. doi:10.1016/j.aim.2017.09.030. ISSN 0001-8708. MR 3715714. Zbl 1385.55007.
- ↑ Waterhouse, William C. (1974). “Profinite groups are Galois group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42 (2): 639–640. doi:10.2307/2039560. JSTOR 2039560. Zbl 0281.20031.
- Fried, Michael D.; Jarden, Moshe (2008). 《Field arithmetic》.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3. Folge (영어) 11 3판. Springer-Verlag. ISBN 978-3-540-77269-9. Zbl 1145.12001.
- Nikolov, Nikolay; Segal, Dan (2006). “On finitely generated profinite groups. I. Strong completeness and uniform bounds” (영어). arXiv:math/0604399.
- Nikolov, Nikolay; Segal, Dan (2006). “On finitely generated profinite groups. II. Products in quasisimple groups” (영어). arXiv:math/0604400.
- Serre, Jean-Pierre (1994). 《Cohomologie galoisienne》.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프랑스어) 5 5판. Springer-Verlag. doi:10.1007/BFb0108758. ISBN 978-3-540-58002-7. MR 1324577. Zbl 0812.12002.
외부 링크
[편집]- “Profinite group”.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Profinite group”. 《nLab》 (영어).
- “Profinite completion of a group”. 《nLab》 (영어).
- “Profinite completion of the integers”. 《nLab》 (영어).
- “Profinite group”. 《Groupprops》 (영어).
- “Profinite completion”. 《Groupprops》 (영어).
- “Profinite completion of the integers”. 《Groupprops》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