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일영
방일영 | |
---|---|
신상정보 | |
출생 | 1923년 11월 26일 |
사망 | 2003년 8월 8일 | (79세)
성별 | 남성 |
방일영(方一榮, 1923년 11월 26일~2003년 8월 8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경제인·기업인이며 조선일보(朝鮮日報)의 2대 회장이다. 1943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여 1999년까지 근무했다.
그 밖에 일신방직의 사외이사로 초빙되기도 하였고, 각종 장학 사업을 후원하였으며 1994년에는 방일영국악상을 제정하여 매년 한국의 우수 국악인들을 시상하였고, 1995년 5월에는 방일영문화재단을 설립하여 문화예술인 지원사업을 추진했다. 1945년 잠시 양주군청의 면서기로 근무하였다.
조선일보 9대 사장 방응모의 손자이자, 이후 조선일보 회장을 지낸 방우영의 형이다. 첫째 아들 방상훈은 2006년 기준으로 조선일보 사장이며, 둘째 아들 방용훈은 전 코리아나 호텔 대표이사이다.[1] 밤의 대통령[2], 밤의 황제이라는 별칭이 있다. 평안북도 박천출신으로 본관은 온양이며, 아호는 우초(愚礎)이다.
생애
[편집]생애 초기
[편집]1923년 11월 26일 평안북도 박천군 가산변 동문동에서 태어났다.[3] 호는 우초(愚礎)이다.[4] 본관은 온양(溫陽)이고, 본적은 경기도 의정부(議政府市)이며, 출신지는 평안북도 박천군(博川郡) 가산면(嘉山面: 현 남신리)이다.[5] 아버지 방재윤은 방응곤의 아들이었으나, 아들이 없던 삼촌 방응모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그가 태어나기 전에 방재윤은 방응모의 양자가 됐고, 그는 방응모의 손자로 출생했다. 그 뒤 할아버지 방응모를 따라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1963년 시로 승격)로 이주하였다.
경성제일고보(경기중학교 전신)를 거쳐 일본으로 유학 중앙대학 예과를 졸업한 뒤 1943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여, 1999년 이사 고문직을 사임할 때까지 55여 년 동안 조선일보에 몸담아 왔다.
태평양 전쟁 전후
[편집]1943년 입사, 그해 사장비서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경영난에 봉착한 조선일보를 차지한 방응모의 양자로 입적한 방재윤의 장남으로, 1943년 조부인 방응모의 비서로 조선일보에 입사했다. 이 때가 조선일보 폐간 시점이어서 '신문 없는 조선일보사' 직원이 된 셈이다. 그러나 돈이 아까운 줄 모른다는 이유로 조부에 의해 꾸지람을 들었다 한다.
방일영은 1944년 11월 세 살 아래 박현숙과 결혼했다. 박현숙은 한학자인 부친 박순흠과 고영선의 넷째 딸로 숙명여고를 졸업했다. 한 해 전 동생 방우영의 영어교사였던 이용덕이 박현숙의 흑백 사진 한 장을 들고 방응모를 찾아온 것이 결혼으로 이어졌다.[6]
태평양 전쟁 당시 그도 학도병 징집 대상자가 되었다. 할아버지 방응모는 손자 방일영이 학병에 끌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백병원 설립자인 고향 후배 백인제를 불러 상의했다. 이때 백인제는 방일영의 왼쪽 뺨 귀 밑에서부터 턱까지 생살을 째는 수술을 집도했다. 그런 뒤 방일영은 일단 징집이 면제되는 면서기를 했다.[7] 1945년 봄부터 여름까지 양주군청 소속 면서기를 지냈다.
기자 활동
[편집]1945년 11월 23일 조선일보의 복간에 참여하였다. 조선일보가 복간된 뒤인 1950년 7월 사장 방응모가 납북되자 같은 해 10월 17일 취체역(이사)에 선임됐고 한국 전쟁 이후 피난했다가 휴전 후 귀환, 1954년 31살의 젊은 나이로 조선일보의 대표 취체역에 취임해 경영권을 잡았다. 그러나 방응모의 납북 9년 뒤까지는 형식적으로 방응모가 대표였고, 조선일보의 1979년 발행분까지도 발행인은 방응모의 명의로 되어 있었다.
방응모 사후 몰락한 조선일보를 다시 일으켰다. 한독당원에 김구의 노선을 추종한 방응모는 야당 인사로 분류되었고, 한국전쟁으로 납북되어 사망하면서 조선일보는 몰락했으나 내분을 수습하고 다시 회사를 일으켜 세웠다. 1974년 방일영장학회를 조직[8], 고학생들의 장학금을 지급하였다.
조선일보 회장 추대 이후
[편집]1964년 11월 15일 회장에 취임하는 동시에 동생인 방우영 조선일보 명예회장을 조선일보 대표이사 겸 사장으로 임명해 일선 경영을 맡겼으며, 1970년까지도 실질적인 경영권을 행사했다. 방우영은 1970년부터 실질적인 경영권을 넘겨받아 조선일보의 성장기를 주도하게 된다. 1993년 3월에는 지병인 당뇨로 인해 조선일보 이사 고문직까지 사퇴하며 경영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조선일보 재직기간 중이던 1980년대 조선일보를 급팽창시켜 발행유가부수 1위의 신문으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이같은 성장과정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전두환 군사정권과의 유착이 큰 밑바탕이 됐고, 코리아나 호텔 특혜 의혹 등 적잖은 시비를 낳기도 했다.[9] 또한 대통령선거 등 주요한 정치전환기마다 강한 정파성을 드러내 '안티조선' 운동을 자초하기도 했으며 지금도 '족벌언론' 논란에 휘말려있는 상태다.[10]
1975년 방일영의 사재(私財) 출연금으로 '방일영장학회'를 법인으로 발족했다. 방일영은 방우영과 형제가 보유한 15%를 재단의 기금으로 새로 출연하고, 20년간 운영되어 왔던 '방일영장학회'의 장학기금 15억 여원을 합해 그 해 11월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방일영장학회(재단)을 설립했다.
방일영장학회는 1974년부터 서울대·연대·고대 학생들을 매년 10여명 선발해 수업료 전액과 생활비를 지급해 왔다. 지금까지 3백30여명이 장학금을 받았고, 최근에는 대학원생에까지 수혜 폭을 넓혔다. 이들은 졸업 후에도 서중회라는 이름으로 활발히 교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1993년 조선일보 회장직을 사퇴, 회장직을 동생 방우영에게 넘기고 조선일보 명예회장이 되었다.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1994년 방일영국악상 등을 제정하여 우수 국악인을 발굴하여 직접 포상하기도 했다. 그 밖에 온양방씨 중앙종친회 제3대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말년
[편집]1995년 5월에는 방일영문화재단을 설립하여 문화예술인에 대한 후원사업을 주관했다.
1999년 일신방직 사외이사에 선임되었고, 동년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그해에 할아버지 방응모의 가묘를 마련하기도 했다. 2003년 조선일보사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2003년 8월 8일 새벽 2시 5분경 서울대 병원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만81세였다.
사후
[편집]8월 8일 오전 10시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 빈소가 마련됐다.[3] 그 날 오후, 이복 숙부 방재선이 가족을 데리고 빈소에 조문하러 왔다가 상주들로부터 조문거부를 당하고 강제로 추방되어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3] 2004년 6월 충남 아산시 용화동 '온양방씨(溫陽方氏) 중시조신단묘원'에 방일영 송덕비가 세워졌다.
평가와 비판
[편집]언론문화의 창달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비판으로는 제3공화국, 4공화국 당시 밤의 황제으로 군림하며 권언유착에 가담한 장본인의 한사람이라는 비판이 있다. 그 밖에 안티조선 운동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있다.
기타
[편집]2001년 9월 숙부 방재선으로부터 호주상속권 소송을 당했다. 그러나 법원은 서자와 양손자가 있을 경우 양손자에게 호주상속권이 적용된다며 방일영의 손을 들어주었다.
사생활
[편집]방일영은 성적으로 문란한 삶을 살았다. 사후의 유산다툼에서 장남 방상훈의 변호사는 '잘 아시겠지만, 선대 회장님은 대한민국 기생들 머리를 가장 많이 올리신 분'이라고 말했다.[1] 사후 일부 혼외자들이 조선일보와 방일영의 혼내자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가계
[편집]그의 장남 방상훈은 독립운동가 겸 계몽운동가 윤치호의 증손녀이자 철도청 부이사관 윤영구의 딸 윤순명과 결혼했다.
혼내자 3명(1녀 2남), 혼외자 6명(첫 번째 간통상간녀 3남, 두 번째 간통상간녀 2녀 1남)이 있다.[12]
- 생조부: 방응곤(方應坤, 방응모의 형)
- 양조부: 방응모(方應謨, 1883년 ~ 1950년)
기타
[편집]- 1945년 경기도 양주군청 공무원
- 1963년 한국신문발행인 협회 이사장
- 1965년 국제언론인협회(IPI) 위원
- 1969년 아시아 신문재단(PFA) 부이사장
- 1976년 국제언론인협회(IPI)한국위원회 위원장 역임
- 아시아신문재단(PFA) 이사장
- 1993년 조선일보 명예회장
- 2003년 조선일보사 고문
수상 경력
[편집]참조
[편집]- ↑ 가 나 박현철 (2008년 8월 21일). “'밤의 대통령' 2세들 재산다툼 한매듭”. 한겨레.
- ↑ 지요하 기자 (2009년 7월 14일). “노친과의 아픈 타협, 그 약속을 지키다”. 오마이뉴스. 2010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빈소 표정] 노대통령도 조화...방재선씨 조문 거부당해 - 오마이뉴스
- ↑ “:: 방일영문화재단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2022년 8월 3일에 확인함.
-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201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깨진 링크([https://web.archive.org/web/*/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180 과거 내용 찾기)] [新 한국의 가벌] #22. 윤보선·정몽준·홍정욱 등과 혼맥] 시사저널 2015.04.16.
- ↑ [깨진 링크([https://web.archive.org/web/*/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180 과거 내용 찾기)] [新 한국의 가벌] #22. 윤보선·정몽준·홍정욱 등과 혼맥] 시사저널 2015.04.16.
- ↑ “:: 방일영문화재단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2022년 8월 3일에 확인함.
- ↑ 신학림 (2009년 7월 2일). “'혼맥'을 알면 '조·중·동의 대한민국'이 보인다”. 프레시안. 2010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방일영 조선일보 전 고문 사망 - 숙환으로 8일 새벽, '밤의 대통령'으로 불리며 조선일보 팽창
- ↑ 시사저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방일영 전 조선일보 회장, 혼외자식만 4남 2녀. 미디어오늘. 기사입력 2013년 9월 11일. 기사수정 2013년 9월 13일.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 방일영문화재단, 《격랑60년 방일영과 조선일보》 (방일영문화재단, 1999)
- 이동욱, 《계초 방응모》 (방일영문화재단,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