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놀레라이드산
보이기
![]() | |
이름 | |
---|---|
IUPAC 이름
(9E,12E)-octadeca-9,12-dienoic acid
| |
별칭
trans, trans-9,12-octadecadienoic acid
linoelad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BL | |
ChemSpider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8H32O2 | |
몰 질량 | 280.45 g/mol |
녹는점 | 28–29 °C (82–84 °F; 301–302 K)[3] |
끓는점 | 229 to 230 °C (444 to 446 °F; 502 to 503 K) at 16 mmHg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리놀레라이드산(영어: linolelaidic acid)은 오메가-6 트랜스 지방산이며, 리놀레산의 기하 이성질체이다. 리놀레라이드산은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 기름에서 발견된다. 리놀레라이드산은 또한 두리안의 일종인 두리오 그라베올렌스(Durio graveolens)의 열매에 함유된 지방의 12.39%를 차지한다.[4] 리놀레라이드산은 흰색(또는 무색)의 점성 액체이다.
트랜스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구조적 요소인 -CH=CH-CH=CH- and -CH=CH-CH2-CH=CH-에 각각 상응하는 공액형 및 비공액형으로 분류된다. 비공액 트랜스 지방산은 엘라이드산과 리놀레라이드산으로 대표된다. 이들의 존재는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다. 동물 기원의 트랜스 지방산인 박센산은 건강상의 위험이 적다.[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inolelaidic acid at chemexper.com
- ↑ Linoeladic acid at pubchem.ncbi.nlm.nih.gov
- ↑ Kass, J. P; Burr, G. O (1939). “The Elaidinization of Linoleic Acid”.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1 (5): 1062. Bibcode:1939JAChS..61.2492E. doi:10.1021/ja01874a022.
- ↑ Nasaruddin, Mohd hanif; Noor, Noor Qhairul Izzreen Mohd; Mamat, Hasmadi (2013). “Komposisi Proksimat dan Komponen Asid Lemak Durian Kuning (Durio graveolens) Sabah”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abah Yellow Durian (Durio graveolens)] (PDF). 《Sains Malaysiana》 (말레이어) 42 (9): 1283–1288. ISSN 0126-6039. OCLC 857479186.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Park, Yeonhwa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Good or bad trans fat?"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009, vol. 22, S4-S12. doi:10.1016/j.jfca.2008.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