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원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의 도원수
都元帥
좌독기
소속조선군
품계정2품
지명자조선국왕
임명자조선국왕
임기일정하지 않음
역할사령관
부관삼도수군통제사

도원수(都元帥)는 고려, 조선 시대 임시로 임명되었던 관직으로 품계는 정2품이다.

내용

[편집]

일반적으로 도원수는 임시 관직으로 전쟁시 부여되며, 군정(軍政) 양쪽을 통솔하는 역할로 인해 보통 문관 중에서 최고위 관료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특정 지방 전체를 할당하여 그 지역 병권을 장악하였다.

임시 관직인 성향으로 인해 동원시 항시 도원수를 임명하는 것은 아니고, 외침이나 중앙 편제에 의해 집중이 강할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려 후기에 몽골족의 침입 이래 왜구 등의 외침이 잦아지자 각 지방에 원수를 두었는데, 원수 파견의 숫자가 증가하자 도원수 제도가 생겼고 함께 운영하였다. 고려사(高麗史) 및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보면 고려 후기에 "서북면도원수"(西北面都元帥)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 관직은 상설 관직처럼 6개월 정도를 1기로 두어 임명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대규모 군 동원이 있을 경우 임명하였다.

삼도수군통제사를 부하로 두는 직책이다.

사례

[편집]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