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태균 (1982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태균
한화 이글스 No.52 (영구 결번)

2010년(지바 롯데 마린스 시절) 김태균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2년 5월 29일(1982-05-29)(42세)
출신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신장 185 cm
체중 11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1루수, 지명타자
프로 입단 연도 2001년
드래프트 순위 2001년 1차 지명(한화 이글스)
첫 출장 KBO / 2001년 4월 17일
수원현대
NPB / 2010년 3월 20일
세이부 돔세이부
마지막 경기 NPB / 2011년 6월 15일
도쿄 돔요미우리
KBO / 2021년 5월 29일
대전SSG
획득 타이틀
계약금 1억 6,000만원
경력

선수 경력

프런트 경력

해설자 경력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WBC 2006년, 2009년, 2013년, 2017년
아시안게임 2010년 광저우
월드컵 2003년 쿠바

김태균(金泰均, 1982년 5월 29일~)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내야수지명타자로 현 KBO 리그 한화 이글스 단장 어드바이저 겸 KBS N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2010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이다.

선수 시절

[편집]

아마추어 시절

[편집]

아버지에 이끌려 천안남산초등학교에서 2학년 2학기부터 야구를 시작했다.[2] 천안북중을 거쳐 북일고에 진학했다. 북일고 시절 야구 유망주에게 주는 박찬호 야구 장학금을 받았다. 2000년에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뽑혀 세계 청소년 야구 국제대회에 출전해 동갑인 이대호, 정근우, 추신수와 함께 청소년 대표팀 우승을 이끌었다. 세계 청소년 야구 국제 대회에 출전해 타율 0.433(30타수 13안타), 3홈런, 11타점을 기록했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

[편집]

200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으로 입단했다. 입단 계약 조건은 계약금 1억 6,000만원, 연봉 2,000만원이었다.[3] 입단 첫 해인 2001년에 88경기에 출전해 3할대 타율, 20홈런을 기록해 그 해 신인왕에 올랐으며, 2002년 10번을 달고 2년차 징크스에 시달렸다. 그 후 등번호를 다시 52번으로 교체했고 이는 그의 상징이 됐다. 2003년에는 31홈런을 쳐 내 팀 내 4번 타자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2005년에는 골든 글러브(1루수 부문)를 수상했다. 2007년 올스타전에 출전해 홈런 레이스에서 9홈런을 쳐서 우승했다. 2005년 시즌 3할대 타율, 146안타, 23홈런, 100타점을 기록해 첫 골든 글러브(1루수 부문)를 수상했다. 2006년 WBC에 국가대표로 선출됐다. 2008년 시즌 타율 5위, 홈런 1위, 타점 4위, 장타율 1위를 기록해 홈런왕과 최고 장타율 타이틀을 수상했고, 2005년 수상 후 두 번째 골든 글러브 상(1루수 부문)을 수상함과 동시에 유효표 346표 중 332표를 얻어 최다 득표를 기록했다.[4] 2009년 WBC에서 홈런, 타점 1위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개막 직후 한때 4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했지만 4월 26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 중 홈으로 쇄도 중 포수 최승환과의 충돌을 피하려다 넘어져 뇌진탕으로 병원으로 후송됐다. 이 후유증으로 한때 2군에서 재활했다. 뇌진탕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19홈런을 쳐 냈다. 이를 일찍부터 지켜 본 지바 롯데 마린스는 FA 자격을 취득하는 그를 영입하기로 했고, 2009년 11월 13일 최장 3년간 총액 7억엔(90억)에 계약을 맺었다.

일본 프로야구 시절

[편집]

2009년 11월에 FA를 신청했다. 많은 국내외 구단에서 러브콜을 받았으나 13일에 일본 진출을 선언했다. 등번호는 한화 이글스에서 쓰던 52번으로 결정했다. 등록명은 본명과 같고, 유니폼 백 네임은 ‘TAEKYUN’으로 정했다. 다비치의 ‘8282’를 개사한 곡과 한화 이글스 시절에 썼던 응원가 두 곡이 응원가로 쓰였다. 일본에 진출한 한국 선수로는 임창용에 이어 두 번째로 올스타전 팬 투표에서 퍼시픽 리그 1루수 부문 1위와 최다 득표 선수로 뽑혔다. 한국 선수가 리그 최다 득표 선수로 뽑힌 것과 일본 진출 첫 해에 팬투표 1위를 차지한 것 모두 최초였다. 그가 일본 진출 첫 해에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를 넘고 일본 시리즈에서 안타와 타점을 올리는 등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개인 첫 우승을 기록했다.

한국 프로야구 복귀

[편집]

2011년에 한국으로 돌아온 후 12월 12일에 역대 최고 연봉인 15억원을 받으며 복귀하였다. 2012년 전체적으로 장타력이 감소해 홈런이 줄었으나 9월까지 4할에 육박하는 타율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펼쳤다. 2013년 시즌에는 팀의 주장으로 선임됐으나 시즌 초반 팀이 심각한 부진에 빠지며 주저앉았고, 상대 팀의 집중 견제로 성적 부진에 시달려 시즌 중후반 타율은 3할 초반대, 홈런은 7개밖에 치지 못했다. 여기에 허리 부상까지 겹쳤으나 10월 2일 LG전에서 우규민을 상대로 9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5] 2019년 시즌 후 FA 자격을 취득해 1년 총액 10억원에 잔류했다.[6] 2020년 10월 21일에 은퇴를 선언했다.[7]

야구선수 은퇴 후

[편집]

2021년부터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단장 어드바이저 겸 KBS N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한다.

에피소드

[편집]

홈 경기에서 홈런을 쳤을 때 홈런을 친 순간부터 그의 등번호와 같은 숫자인 52개 한정으로 통상 가격 400엔의 8분의 1인 50엔으로 가격 인하해 판매했다.

2010년 5월 3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7차전에서 홈구장 첫 홈런이자 시즌 6호 홈런을 치면서 ‘김치 태균 버거’의 첫 가격 인하가 실시됐고 8분 만에 52개가 모두 팔려나갔다.

그러나 5회말에 그의 연타석 홈런이 터지며 다시 ‘김치 태균 버거’의 가격 인하가 실시됐는데 이미 이 날 준비했던 ‘김치 태균 버거’가 모두 팔려나가고 없었기 때문에 통상 가격 410엔의 치즈 버거를 급하게 52개 한정 50엔으로 인하해 판매하는 해프닝이 생겼다. 이 기획의 발안은 당시의 팀 메이트였던 지바 롯데 마린스의 이구치 감독. 그에게 이야기를 했을 때의 정말 빛나는 표정은 잊을 수 없다는 것.

미디어

[편집]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활약

[편집]

2006년

[편집]
  • 본선 미국전을 포함 총 3경기에 나와 1타수 무안타, 2볼넷, 1득점을 기록했다.[8]

2009년

[편집]
2009년 3월 16일 본선 멕시코 전(펫코 파크) : 선발 1루수, 5타수 2안타, 3타점, 1홈런, 2득점
1 2 3 4 5 6 7 8 9 R H E
멕시코 0 2 0 0 0 0 0 0 0 2 9 1
대한민국 0 2 0 1 1 0 4 0 X 8 12 1
승리 투수: 정현욱  패전 투수: 올리버 페레스
홈런:  한국이범호 (2회 1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 김태균 (4회 무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 고영민 (5회 2사, 올리버 페레스를 상대로 1점 홈런[9]
2009년 3월 18일 본선 일본 전(펫코 파크) : 선발 1루수, 2타수 1안타, 볼넷 2개(8회말 일본 투수 와쿠이에게 고의사구 얻어냄)
1 2 3 4 5 6 7 8 9 R H E
일본 0 0 0 0 1 0 0 0 0 1 7 1
대한민국 3 0 0 0 0 0 0 1 X 4 4 0
승리 투수: 봉중근  패전 투수: 다르빗슈 유  세이브: 임창용[10]
2009년 3월 22일 준결승 베네수엘라 전(다저 스타디움) : 선발 1루수, 4타수 2안타 점, 홈런 1개, 볼넷 1개
1 2 3 4 5 6 7 8 9 R H E
대한민국 5 2 0 1 0 2 0 0 0 10 10 1
베네수엘라 0 0 1 0 0 0 1 0 0 2 9 5
승리 투수: 윤석민  패전 투수: 카를로스 실바  세이브: 없음
홈런:  한국추신수 (1회 1사, 카를로스 실바를 상대로 중월 3점 홈런), 김태균 (2회 1사, 카를로스 실바를 상대로 좌월 2점 홈런)  베네수엘라카를로스 기엔 (7회 무사, 윤석민을 상대로 우월 1점 홈런)[11]
  • 이 대회에서 홈런왕(3홈런)와 타점왕(11타점)에 올랐다.[12]

2017년

[편집]

예선 3경기(이스라엘전,네덜란드전 선발 출전 3번타자,대만전 7번타자 박건우 교체 출전)에 나와 이스라엘전 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 네덜란드전 4타수 무안타, 대만전 10회초 2점 홈런을 기록하며 1타수 1안타(1홈런) 2타점 1득점을 기록해 총 3경기에서 8타수 1안타(1홈런) 타율 0.125, 1볼넷, 2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편집]

대만전에 4타석에 나와 4볼넷을 기록했다.

수상 경력

[편집]

주요 기록

[편집]

대한민국

[편집]

2001년

[편집]

2003년

[편집]

2008년

[편집]
  • 7월 17일 대전 LG 트윈스전 : 만루홈런 (5회말 2-3 풀카운트에서 투수 이재영을 상대로)

2009년

[편집]

2012년

[편집]

2016년

[편집]

일본

[편집]

첫 기록

[편집]

기타

[편집]
  • 한일 통산 200 홈런 : 2010년 6월 1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차전 (도쿄 돔), 8회 후쿠다 사토시에게 투런 홈런
  • KBO 리그 최초 단일 시즌 300출루
  • 야구 역사상 최초 86경기 연속 출루

등번호

[편집]
  • 52 (2001년, 2003년 ~ 2009년, 2012년 ~)(영구 결번)
  • 10 (2002년)
  • 52 (2010년 ~ 2011년)

가족 관계

[편집]
  • 배우자 김석류 (2010년 ~ 현재)
  • 자녀 김효린, 김하린

출신 학교

[편집]

통산 기록

[편집]














1

2

3



















O
P
S












4
2001 한화 19 88 289 245 51 82 13 2 20 54 2 0 40 72 .335 .436 .649 1.085 159 4 4 0 0 2
2002 20 105 344 298 25 76 11 0 7 34 2 1 41 103 .255 .347 .362 .709 108 13 2 1 2 2
2003 21 133 573 479 67 153 24 2 31 95 3 2 79 106 .319 .424 .572 .996 274 13 9 4 2 6
2004 22 129 556 473 76 153 26 1 23 106 2 1 70 99 .323 .412 .529 .940 250 11 6 0 7 3
2005 23 124 529 461 73 146 33 2 23 100 3 1 60 73 .317 .401 .547 .947 252 20 6 0 2 5
2006 24 124 511 423 66 123 27 0 13 73 2 0 82 89 .291 .405 .447 .852 189 18 2 0 4 1
2007 25 118 491 393 62 114 13 0 21 85 2 1 90 70 .290 .420 .483 .903 190 13 2 0 6 4
2008 26 115 484 410 81 133 27 1 31 92 2 0 64 67 .324 .417 .622 1.039 255 8 5 0 5 4
2009 27 95 389 336 63 111 15 0 19 62 0 0 45 71 .330 .417 .545 .961 183 12 6 0 2 4
2010 지바
롯데
28 141 614 527 68 141 22 0 21 92 0 0 74 140 .268 .357 .429 .786 226 24 4 0 9 1
2011 29 31 119 104 7 26 5 0 1 14 0 0 12 23 .250 .336 .327 .663 34 4 2 0 1 0
2012 한화 30 126 513 416 61 151 24 0 16 80 3 1 81 69 .363 .474 .536 1.010 223 11 11 0 5 8
2013 31 101 430 345 41 110 24 0 10 52 0 3 73 67 .319 .444 .475 .920 164 14 8 0 4 7
2014 32 118 508 422 66 154 30 0 18 84 0 2 70 73 .365 .463 .564 1.027 238 18 11 0 5 1
2015 33 133 524 408 61 129 28 0 21 104 3 1 98 80 .316 .457 .539 .996 220 19 12 1 5 12
2016 34 144 652 529 94 193 39 0 23 136 1 0 108 97 .365 .475 .569 1.044 301 11 9 0 6 10
2017 35 94 407 356 51 121 22 0 17 76 0 0 43 56 .340 .413 .545 .958 194 13 4 0 4 7
2018 36 73 271 254 25 80 11 0 10 34 0 1 13 56 .315 .358 .476 .834 121 7 4 0 0 1
2019 37 127 500 433 47 132 21 0 6 62 3 0 54 94 .305 .382 .395 .777 171 15 5 0 8 5
2020 38 67 254 219 14 48 11 0 2 29 0 0 30 42 .219 .316 .297 .613 65 8 2 1 2 3
KBO 통산: 18년 2014 8225 6900 1024 2209 399 8 311 1358 28 14 1141 1384 .320 .421 .516 .936 3557 228 108 7 69 85
NPB 통산: 2년 172 733 631 75 167 27 0 22 106 0 0 86 163 .259 .346 .378 .724 260 28 6 0 10 1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