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코악어
보이기
긴코악어 | |
---|---|
긴코악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악어목 |
과: | 크로커다일과 |
속: | 긴코악어속 |
종: | 긴코악어 (M. cataphractus) |
학명 | |
Mecistops cataphractus | |
Cuvier, 1825 | |
긴코악어의 분포 | |
긴코악어의 분포 (초록색) | |
보전상태 | |
|
긴코악어(Slender-snouted crocodile)는 아프리카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악어의 종이다. 전통적으로 크로커다일속에 위치했던 DNA와 형태학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그것이 그 자신의 게놈 긴코악어속에 속하며,[1][2][3][4] 두 개의 종으로 나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각주
[편집]- ↑ McAliley, Willis, Ray, White, Brochu & Densmore (2006). Are crocodiles really monophyletic?—Evidence for subdivisions from sequence and morphological dat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9: 16–32.
- ↑ Brochu, C. A.; Njau, J.; Blumenschine, R. J.; Densmore, L. D. (2010). “A New Horned Crocodile from the Plio-Pleistocene Hominid Sites at Olduvai Gorge, Tanzania”. 《PLoS ONE》 5 (2): e9333. doi:10.1371/journal.pone.0009333. PMC 2827537. PMID 20195356.
- ↑ Robert W. Meredith; Evon R. Hekkala; George Amato & John Gatesy (2011).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Crocodylus (Crocodylia) based on mitochondrial DNA: Evidence for a trans-Atlantic voyage from Africa to the New Worl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0: 183–191. doi:10.1016/j.ympev.2011.03.026. PMID 21459152.
- ↑ Brochu, C. A.; Storrs, G. W. (2012). “A giant crocodile from the Plio-Pleistocene of Kenya,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ogene African crocodylines, and the antiquity of Crocodylus in Afric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2 (3): 587. doi:10.1080/02724634.2012.652324.
- ↑ Shirley; Vliet; Carr; and Austin (2014). “Rigorous approaches to species delimitatio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frican crocodilian systematics and conserva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81 (1776). doi:10.1098/rspb.2013.2483. PMC 3871313.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파충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