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곡사
귀곡사(-曲四)는 귀각(바둑판의 네 모서리)에 생긴 곡사궁(ㄴ자 모양의 사궁)을 의미하는 바둑용어로, 귀에 있는 대마를 사석으로 처리하는 특수한 경우이다.
개요
[편집]이와 같은 경우, 언뜻 보면 이는 빅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귀곡사라는 특수한 규칙이 적용되어, 흑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흑은 백 세 점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지만, 백은 특수한 경우에 1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패가 나게 되는데, 이렇듯 바깥쪽의 돌은 안쪽의 돌을 잡으러 가는 시도조차 할 수 없으나, 안쪽의 돌은 팻감을 전부 없애버린 후 바깥쪽의 돌을 잡으러 가서 패를 낼 수 있는 모양이기 때문에, 그대로 둘 경우 계가시 바깥쪽의 돌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다른 형태들
[편집]아래는 귀곡사의 다른 형태다. 붉은 동그라미는 백이 돌을 놓으면 귀곡사궁이 되는 자리를 의미한다.
|
|
또한, 아래 그림에서 흑은 얼핏 보면 완생처럼 보이나, 백이 a에 돌을 놓으면 흑돌은 귀곡사로 죽어버린다.
왜냐하면, 수순이 다음과 같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b는 흑에게 착수 금지 구역이므로 흑돌을 놓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모양은 곧 맨 앞의 그림과 같게 되어서 흑이 귀곡사로 죽는 것이다.
실전 해결
[편집]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다.
위 그림에서는 귀의 흑△를 둘러싸고 있는 두 백 대마 중 백▲가 오궁도화의 형태로 죽는 궁도다. 이 형태에서는 흑△가 사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이 백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1로 두어 패를 내 실로 흑△를 잡자고 하는 수밖에 없다(백3 = 2의 1, 흑4 = 1의 1, 백5 = 2의 2).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약간씩 다른 점이 있다. 중국식 규칙은 실전 해결이 원칙이고, 일본식 규칙은 한국식과 비슷하다.
위 그림은 1981년 혼인보 리그에서 조치훈 9단(흑)과 가토 마사오 9단(백)의 대국 중 마지막 국면이다. 상변으로부터 중앙으로 뻗은 흑 대마(△)가 두 집을 내지 못해서 잡히기 직전으로, 이 흑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이 흑 대마의 활로를 모두 차단하기 전에 a에 두어 패를 내고 잡는 수밖에 없다. 흑 1부터 흑 17까지가 우상귀의 귀곡사를 잡으러 들어가기에 앞서서 팻감을 모두 제거하는 수이다. (흑 9 = 백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