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가상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상수(假象水, virtual water, embedded water, embodied water)는 토니 앨런이 도입한 개념의 하나로, 음식이나 기타 상품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교역되는 동안 보이지 않는 물의 흐름을 말한다. 이를테면 1톤의 생산에 1,340입방 미터의 물이 소요된다. 정확한 부피는 기후 조건과 농업 방식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 Hoekstra는 상품 내 가상수를 "제품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장소에서 측정되는, 제품 생산에 쓰이는 민물의 부피"로 정의하였다.[1] 여러 단계의 생산 체인에 쓰인 물의 총합을 가리킨다.

선별된 산물의 가상수

[편집]

다음 표는 수많은 선별 국가의 일부 선별된 산물의 평균 가상수(m3/톤)를 나타낸 것이다:[2]

산물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일본 멕시코 이탈리아 네덜란드 세계 평균
(논벼) 1,275 1,321 2,850 2,401 2,150 1,022 3,082 1,221 2,182 1,679 2,291
쌀 (겉껍질) 1,656 1,716 3,702 3,118 2,793 1,327 4,003 1,586 2,834 2,180 2,975
쌀 (싸라기) 1,903 1,972 4,254 3,584 3,209 1,525 4,600 1,822 3,257 2,506 3,419
849 690 1,654 2,375 1,588 1,616 734 1,066 2,421 619 1,334
옥수수 489 801 1,937 1,397 1,285 744 1,180 1,493 1,744 530 408 909
1,869 2,617 4,124 3,933 2,030 2,106 1,076 2,326 3,177 1,506 1,789
사탕수수 103 117 159 164 141 155 120 171 175
면섬유 2,535 1,419 8,264 4,453 1,887 2,777 2,127 3,644
면직 보푸라기 5,733 3,210 18,694 10,072 4,268 6,281 4,812 8,242
보리 702 848 1,966 2,359 1,425 1,373 697 2,120 1,822 718 1,388
수수새 782 863 4,053 1,212 582 2,853
코코넛 749 2,255 1,954 2,545
서곡 2,143 1,863 3,269 4,534 4,596
커피(녹색원두) 4,864 6,290 12,180 28,119 17,373
커피(로스트) 5,790 7,488 14,500 33,475 20,682
11,110 7,002 9,205
쇠고기 13,193 12,560 16,482 37,762 21,167 11,681 15,497
돼지고기 3,946 2,211 4,397 6,559 6,377 3,790 4,856
염소고기 3,082 3,994 5,187 10,252 4,180 2,791 4,043
양고기 5,977 5,202 6,692 16,878 7,572 5,298 6,143
닭고기 2,389 3,652 7,736 5,013 2,198 2,222 3,918
1,510 3,550 7,531 4,277 1,389 1,404 3,340
695 1,000 1,369 1,345 1,143 915 1,001 812 2,382 861 641 990
분유 3,234 4,648 6,368 6,253 5,317 4,255 4,654 3,774 11,077 4,005 2,982 4,602
치즈 3,457 4,963 6,793 6,671 5,675 4,544 4,969 4,032 11,805 4,278 3,190 4,914
피혁(소) 14,190 13,513 17,710 22,575 15,929 18,384 18,222 11,864 40,482 22,724 12,572 16,656

참고 문헌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oekstra AY, Chapagain AK (2007). “Water footprints of nations: water use by people as a function of their consumption pattern”. 《Water Resources Management》 21 (1): 35–48. doi:10.1007/s11269-006-9039-x. 2015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7일에 확인함. 
  2. Craswell, E.; Bonnell, M.; Bossio, D.; Demuth, S.; van de Giesen, N. (2007). 《Integrated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and Global Change: A North-South Analysis》. Springer Netherlands. 40쪽. ISBN 978-1-4020-5591-1. 2015년 8월 8일에 확인함.